이문열씨 `변경'
“우리는 분열된 세계 제국의 변경인이다.(…)그런 변경에 제국이 가져올 것은 뻔하다. 그것이 변경의 확대를 위한 것이건, 유지를 위한 것이건, 제국이 가장 힘주어 그 원주민에게 주입시키려는 것은 적대의 논리다. 결국 당신들이 요란하게 떠드는 것도 따지고 보면 오늘날 아메리카와 소비에트로 표상되는 두 제국의 적대 논리 내지 그 변형에 지나지 않으며, 또한 그것이 당신들이 이념이라고 부르는 것의 정체다.”
이문열(48)씨는 장편소설 <변경>으로써 `한 시대의 거대한 벽화'를 그리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50년대 말에서 70년대 초까지의 십수년간 우리 사회의 정치·경제·사회·문화적 풍경을 이 소설에 담겠다는 것이다. 전9권으로 완결 예정인 가운데 지금까지 나와 있는 6권은 60년대 중반까지를 시간 배경으로 삼고 있다.
한 시대의 총체적 면모를 담기 위해 작가는 명훈, 영희, 인철 3남매를 번갈아가며 초점 화자로 내세우는 방식을 택한다. 이들 남매는 작가의 앞선 장편 <영웅시대>의 비극적 주인공 이동영의 자녀들이다. 그러니까 <변경>은 <영웅시대>의 뒷얘기에 해당한다. 이문열씨에게 있어 `이걸 위해 나는 쓰기 시작했다'는 글감의 앞토막이 <영웅시대>였다면, <변경>은 그뒷토막이라는 말이다. 그 말은 또한 <영웅시대>가 작가의 아버지 얘기를 다룬 가족사 소설인 데 비해 <변경>은 작가 자신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자전소설임을 뜻하기도 한다.
<변경>은 작가의 분신인 인철을 주인공 삼은 자전적 성장소설인 동시에, 그 인철이 미적인 목적을 위해 글을 다루는 장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일종의 예술가소설이기도 하고, 또한 `한 시대의 벽화'를 자임하는 사회소설 또는 세태소설이기도 하다.
전체의 3분의 2 가량만이 출간돼 있는 현재 인철의 성장사는 그다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 같지는 않다. 그보다는 형인 명훈과 누나인 영희의 편력이 더 다채롭고 극적이다. 인철의 성장은 그가 대학생이 되고 젊음의 몸살을 앓게 될 마지막 제3부에서 좀더 본격적으로 그려질 터이다.
앞의 여섯권에서 보이는 그의 성장은 월북한 좌익을 아버지로 둔 탓에 불안정하고도 곤궁한 삶을 견뎌야 했던 소년의 그것이다. 그 성장은 그러나 명혜라는 또래의 소녀와 나누는 푸릇한 첫사랑으로 고통스러우면서도 아름다이 채색되는 성장이며, 문학을 향한 치명적 매혹에 점차로 함몰되는 성장이기도 하다.
작가의 성장사를 다루는 <변경>이 예술가소설적 특성을 내비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작가로서 문학에 대한 애증어린 정의를 내리는 것은 그한 예이리라: “이 정체 모를, 허망한, 그러면서도 언제나 현란한 가치의 갑옷으로 무장되어 있고, 늘 패배하면서도 지칠 줄 모르는 호전성으로 사회의 다른 가치들을 간섭하며, 그래서 항시 고단하고 가끔씩은 피해망상 에까지 시달려야 하는 고약한 일….”
사회소설로서의 <변경>은 명훈과 영희의 동선(動線)을 따라 두개의 축으로 진행된다. 영희가 산업화의 진행과 더불어 성장한 호스티스 산업을 대변한다면, 명훈이 담당하는 것은 4·19와 5·16과 같은 커다란 정치적 사건, 주먹세계의 내막, 그리고 농촌의 붕괴 따위다. 특히 소설의 초반부에서 명훈의 주변에 배치된 두 대학생들을 매개로 다루어지는 4·19에 대한 묘사는 작가 자신의 역사관을 잘 보여주는 대목으로 관심을 끈다.
4·19가 일어나기 전이나 진행중인 한가운데, 그리고 그것이 실패로 돌아간 나중까지도 줄기차게 등장하는 그에 대한 정의는 `우연히 한 판 잘 맞아떨어진 역사의 복권'이라는 것이다. 이 정의는 작가의 이념을 대변하는 어느 한 인물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이념적·계급적으로 다종다양한 여러 인물들의 입을 통해 되풀이 반복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자신의 이념을 무리하게 전파하려는 작가의 무의식적 욕망이 소설적 질서와 개연성을 훼손하는 경우를 여기서 보기 때문이다.
“당신들은 내 전망의 결여를 걱정하지만 나는 오히려 지나치게 무성한 당신들의 전망을 걱정한다. 당신들은 내 무이념을 의심쩍어하지만 나는 또한 오히려 당신들의 이념 과잉이 못 미덥다.”
훗날 작가가 된 인철의 말에서 보듯 작가 이문열씨는 이념과 전망, 진보 따위에 지극히 회의적이다. 그런 점에서 <변경>은 보수적 세계관의 한 전범이자 정점으로서도 의미를 지닌다. “내 정신은 어렸을 적부터 공산주의 또는 사회주의에 대한 혐오와 부정 속에 자랐다”는 구절은 그같은 보수적 세계관이 `아버지 콤플렉스'로 요약되는 가족사적 배경과 무관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작가의 세계관에 대한 평가를 뒤로 돌린다면 <변경>에서 우선 잡히는 것은 서울에서 밀양으로, 밀양에서 돌내골로, 돌내골에서 다시 어딘가로 정처없이 떠도는 일가의 슬픈 뒷모습이다. 좀더 시야를 넓힌다면, 60년대 산업화가 거느린 두개의 그늘, 그러니까 호스티스 산업으로 일컬어지는 향락업의 대두와 농촌의 피폐에 따른 이농의 문제가 이 소설에서 힘주어 그려지고 있는 것들이다.
“대지는 시들었다, 이제는 떠나야 할 때./은성한 제국의 도회에서 불어오는 바람이여/뜨겁고 매서운 유혹이여, 채찍이여./사랑하는 이 하나둘 불려가고/가고는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잘 있거라, 내 나고 자란 변경의 산과 들이여./캄캄한 원주민의 밤, 황무(荒無)한 대지를 떠돌던 꿈이여.”
고향 돌내골에서 개간에 매달렸던 명훈이 끝내 상록수의 꿈을 포기하고 돌내골을 떠나면서 읊은 시의 한구절은 그가 맛본 좌절과 농촌의 아픔을 서투르지만 진솔하게 노래하고 있다.
소설 속 돌내골은 작가의 고향인 경북 영양군 석보면 원리에서 청송군 진보쪽으로 1㎞ 정도 나가 있는 선산 일대의 언덕받이다. 작가와 함께 찾은 개간지에는 장마 뒤의 한여름 땡볕 아래 고추며 담배, 사과·대추나무 따위가 푸르게 자라고 있었다. 하지만, 그 푸른 잎사귀들이 가려 덮고 있는 황토 비탈 어디쯤에선가는 척박한 운명을 갈아엎기라도 하겠다는 듯 하염없이 곡괭이를 내리치는 명훈의 앙다문 입술과 땀에 젖은 얼굴이 보이는 듯도 하다.
“나에게 고향이란 추상적이지 않고 생생한 개념과도 같다. 고향은 나를 앞서 살아갔던 나의 핏줄들의 경험의 총체로서 때로는 나를 감시도 하고 때로는 격려도 하는, 구체적으로 살아 있는 인격체라고 할 수 있다.”
기쁨과 행복보다는 고통과 슬픔을 더 많이 가져다 주었을 고향 원리와 개간지를 둘러보며 작가는 사뭇 상기된 표정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