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나다 헬스케어 분야에서 인재 영입을 위한 노력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Express Entry 카테고리 기반 선발에서 헬스케어 분야를 따로 선발하는 것을 비롯해, BC PNP 등의 주 정부 이민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헬스케어 분야를 선별해 이민자를 초청하는 것도 모두 이 때문인데요. 헬스케어 분야 인력에 대한 캐나다의 요구가 커지고 있고, 이에 따라 앞으로 더욱더 헬스케어를 통한 캐나다 이민의 전망은 매우 밝은 상태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헬스케어 분야로 캐나다 취업 및 이민에 도전하는 분들을 위해, 캐나다에서의 헬스케어 분야 발전 가능성과 대표 직종 등에 대한 정보를 다루고자 합니다.
캐나다 헬스케어 분야 발전 가능성
2024년 현재, 캐나다 헬스케어 분야는 노동력 부족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 이는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했는데요. 캐나다는 더욱더 많은 헬스케어 분야 인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1) 노동력 부족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헬스케어 분야는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팬데믹이라는 특수 상황으로 인해 스트레스와 과로 등의 이유로 많은 의료 직원들이 지치거나 퇴사를 하는 바람에 헬스케어 분야에 대한 인력 수급이 절실해졌습니다. 또한 캐나다 보건 정보 연구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캐나다인 천 명당 2.46명의 의사가 있는데, 이는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입니다.
2) 고령화와 의료 자원 수요 증가
캐나다는 대표적인 고령화 국가입니다. 2022년 7월 기준으로, 캐나다 인구 중 약 18.8%가 65세 이상인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730만 명 이상의 고령 인구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캐나다 고령화는 의료 자원에 큰 부담을 주고 있으며 장기 요양 시설 부족, 간병인 부족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3) 캐나다 정부의 노력
캐나다 정부와 각 주 정부는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의료 인력의 증원, 의료 시스템의 효율성 향상, 디지털 건강 기록 시스템의 현대화 등을 통해 더 나은 의료 환경을 만들고자 하는 중입니다. 이민 제도를 통해 적극적으로 전문 의료인을 캐나다로 초대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향후 몇 년 동안 캐나다의 보건 의료 정책 및 시스템에 지속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캐나다 건강 및 생명과학에 관한 경제 전략표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까지 캐나다는 건강 및 생명과학 부문의 규모를 두 배로 늘릴 것이라고 합니다. 글로벌 허브를 목표로 다음과 같은 3대 주요 계획을 세운 상태입니다.
✔ 혁신적인 기술을 활용하고 발전시킨다
✔ 자본, 기술, 재능을 유치하고 유지한다
✔ 해당 부문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고 의료 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환경을 보장한다
헬스케어 이민 이점
헬스케어 분야 인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해당 분야에 특화된 이민 프로그램을 운영, 더 많은 의료 인재가 캐나다로 올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Express Entry 카테고리 기반 선발을 예로 들 수 있는데요. 또한 PNP에서도 헬스케어 분야를 따로 우선 선발하고 있는데 두 프로그램 모두 더 낮은 점수로 초청장을 받을 수 있는 확률이 크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Express Entry 일반 선발의 경우 컷 오프 점수가 540점 대인 것에 반해 헬스케어 분야는 430점대를 기록해 큰 점수 차이가 있습니다. BC 주 정부 이민 프로그램 BC PNP를 통해서 보아도 일반 선발은 120점이지만 헬스케어는 그 절반 수준인 60점이면 초청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영주권 취득에 큰 이점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Express Entry와 BC PNP 헬스케어 분야 선발의 특징을 프로그램별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Express Entry 카테고리 기반 선발
Express Entry는 2023년부터 카테고리 기반 선발 프로그램을 도입해, 5가지 직업군과 프랑스어 능력자를 중심으로 따로 선발해 우선 선발될 수 있는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헬스케어 프로그램은 캐나다의 의료 인재 요구와 맞물려 적극 운영 중인 분야이기도 합니다.
해당 스트림을 통해 선발되기 위해선, 우선 Express Entry의 세 가지 경로, 숙련직 이민(FSW), 기술직 이민(FST), 경험이민(CEC) 중 하나 이상의 조건에 부합되어야 하며, 풀에 접수하면 직업 코드인 NOC 분류에 따라 카테고리로 구분돼 따로 선발됩니다.
Express Entry 세 가지 경로 지원 조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경험이민
※숙련직 이민
※기술직 이민
위의 조건 중 하나에 해당하고, 아래의 헬스케어 분야 직업에 속하면 카테고리 기반 선발 대상자가 됩니다.
직업은 NOC를 통해 구분하는데, 다음과 같은 직업이 이에 해당합니다.
▶ Express Entry 헬스케어 분야 해당 직업
31100 Specialists in clinical and laboratory medicine
31101 Specialists in surgery
31102 General practitioners and family physicians
31103 Veterinarians
31110 Dentists
31111 Optometrists
31112 Audiologists and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31121 Dieticians and nutritionists
31200 Psychologists
31201 Chiropractors
31202 Physiotherapists
31203 Occupational therapists
31204 Kinesiologists and other professional occupation in therapy and assessment
31209 Other professional occupations in health diagnosing and treating
31300 Nursing co-ordinators and supervisors
31301 Registered nurses and registered psychiatric nurses
31302 Nurse practitioners
31303 Physician assistants, midwives and allied health professionals
32101 Licensed practical nurses
32102 Paramedical occupations
32103 Respiratory therapists, clinical perfusionists and cardiopulmonary technologists
32109 Other technical occupations in therapy and assessment
32120 Med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32121 Medical radiation technologists
32122 Medical sonographers
32200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actitioners and acupuncturists
32201 Massage therapists
32209 Other practitioners of natural healing
33101 Medical laboratory assistants and related technical occupations
33102 Nurse aides, orderlies and patient service associates
33103 Pharmacy technical assistants and pharmacy assistants
33109 Other assisting occupations in support of health services
41301 Therapists in counselling and related specialized therapies
41320 Education counsellors
42203 Instructor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2) BC PNP Targeted Draw
BC 주 정부 이민 프로그램에선 이미 Targeted Draw 시행을 연방 정부보다 우선해 시작해 이미 주요 이민 경로로 자리 잡은 상태인데요. 우선 선발에 해당하는 직종은 유아교사, 헬스케어, 동물의료, 건설 직종과 BC 주 정부가 지정한 29개의 TECH 직업이 있습니다.
BC PNP에 프로그램도 해당 프로그램 지원 조건에 충족해 지원하게 되면, 자동으로 직업별로 분류되어 우선 선발이 이루어집니다.
BC PNP에 지원하는 지원 요건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면 됩니다.
※ BC PNP 지원 조건
이때, BC 주 정부에서 지정한 헬스케어 직업군은 Express Entry와 다소 차이가 있는데요. 다음과 같은 직업군에 속할 경우 헬스케어 우선 선발 조건을 충족하게 됩니다.
30010 Managers in health care
31100 Specialists in clinical and laboratory medicine
31101 Specialists in surgery
31102 General practitioners and family physicians
31110 Dentists
31112 Audiologist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31120 Pharmacists
31121 Dietitians and nutritionists
31200 Psychologists
31201 Chiropractors
31202 Physiotherapists
31203 Occupational therapists
31204 Kinesiologists and other professional occupations in therapy and assessment
31209 Other professional occupations in health diagnosing and treating
31300 Nursing coordinators and supervisors
31301 Registered nurses and registered psychiatric nurses
31302 Nurse practitioners
31303 Physician assistants, midwives and allied health professionals
32101 Licensed practical nurses
32102 Paramedical occupations
32103 Respiratory therapists, clinical perfusionists and cardiopulmonary technologists
32109 Other technical occupations in therapy and assessment
32110 Denturists
32111 Dental hygienists and dental therapists
32112 Dental technologists and technicians
32120 Med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32121 Medical radiation technologists
32122 Medical sonographers
32123 Cardiology technologists and electrophysiological diagnostic technologists
32124 Pharmacy technicians
32129 Other medical technologists and technicians
32200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actitioners and acupuncturists
33100 Dental assistants and dental laboratory assistants
33101 Medical laboratory assistants and related technical occupations
33102 Nurse aides, orderlies and patient service associates
33103 Pharmacy technical assistants and pharmacy assistants
41300 Social workers
41301 Therapists in counselling and related specialized therapies
42201 Social and community service workers
3. 헬스케어 이민 인기 직종
이 중에서도 가장 접근성이 높고 인기 있는 헬스케어 분야는 간호, 헬스케어, 치과 근무, 약국 이렇게 4가지를 꼽을 수 있습니다. 해당 분야는 캐나다 내에서 학교를 졸업 후 취업할 수 있는 길이 열려있을 뿐만 아니라 취업처가 많기 때문에 구직도 쉽게 이루어집니다.
또한 주요 지역에서 각 직업에 대한 3년간의 전망도 매우 밝은 수준입니다.
※ 간호사
※ 치과보조
※헬스케어 보조
※약국
따라서 해당 분야에 취업해 캐나다에서 근무한 후, 영주권 취득을 시도하게 되면 안정적인 생활과 더불어 영주권 취득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캐나다 헬스케어 분야에서 근무를 원하는 경우, 캐나다 학교에서 공부 후 자격증을 취득하거나 자격증 변환을 통해 우선 근무할 수 있는 요건을 갖추는 것이 필요한데요. 자격증 변환하는 방법은 물론 주요 직업군 자격증 취득을 위해 어디서 공부해야 하는지 등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다음 포스팅을 통해 또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이 밖에도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저희 둥지이민 컨설팅 카카오 플러스 통해서 문의하시면 빠르게 답변 받으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