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에 이른 백정의 칼질
어떤 백정이 문혜군(文惠君)을 위해 소를 잡았다. 고기는 쩍쩍 소리를 내면서 갈라지고 칼은 싹싹 소리를 내는데, 음률에 맞지 않는 것이 없었다. 그 몸놀림은 마치 아름다운 춤과도 같았고, 그 칼 쓰는 소리는 아름다운 음악의 곡조와 같았다. 문혜군이 이를 보고 감탄하며 말했다.
“참으로 훌륭하구나! 기술이 어찌 이렇게 훌륭한 데 까지 미칠 수가 있는가?”
백정이 칼을 놓고 대답했다.
“제가 좋아하는 것은 도道로서, 그것은 이미 기교의 단계를 넘어섰습니다. 옛날 제가 처음으로 소를 잡을 때엔 소가 전부 온전한 한 마리의 소로만 보였습니다. 그러나 3년이 지난 뒤에는 전혀 온전한 소로 보이지 않았습니다. 지금은 오직 마음으로 소와 만날 뿐 눈으로 보지 않습니다. 곧 귀나 눈 따위의 감각기관은 멈춰버리고 마음만이 작용하는 것입니다. 소 몸뚱이에 있는 본연의 구조를 따라 힘줄과 뼈가 붙어 있는 큰 틈바귀를 자르고, 뼈마디가 이어져 있는 큰 구멍에 칼을 넣습니다. 모두 소가 생긴 자연의 구조 그대로를 좇아하기 때문에 아직 한번도 경락(經絡)이 연결된 곳이나 뼈와 힘줄이 맺힌 곳에서 칼이 부딪힌 일이 없습니다. 하물며 큰 뼈다귀야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
솜씨 있는 백정은 한 해에 한 번 칼을 바꾸는데, 그것은 살을 베기 때문입니다. 보통의 백정은 한 달에 한 번 칼을 바꾸는데, 그것은 뼈다귀에 부딪혀 칼을 부러뜨리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제 칼은 사용한 지 열아홉 해나 지났고 잡은 소는 수천 마리에 이르는데도 그 칼날이 막 숫돌에 간 것과 같습니다. 소의 뼈마디 사이에는 틈이 있고 칼날은 두께가 없습니다. 두께가 없는 것을 틈이 있는 사이에 집어넣기 때문에, 그 공간이 넓고 넓어 칼날을 놀리는 데 충분한 여유가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뼈와 힘줄이 한데 얽혀 있는 곳을 만날 때는 그것이 다루기 어려움을 알고 몹시 조심합니다. 눈길을 그곳에 멈추고 몸놀림을 느리게 하고, 칼은 아주 가만가만 놀립니다. 그러면 뼈와 살이 ‘철썩’ 하고 갈라지는데, 마치 흙덩이가 땅에 떨어지는 듯합니다. 그러면 저는 칼을 들고 일어서서 사방을 한번 둘러보고는 흐뭇한 마음으로 칼을 닦아 간직합니다. ‘문혜군이 이 말을 듣고 말했다.
“훌륭하구나! 나는 백정의 말을 듣고 생명을 기르는 도를 깨달아 얻었도다!“
유명한 포정해우(庖丁解牛)의 구절이다.
나는 지난 번 ‘豊江 도를 얻다.’ 라는 글에서 도에 이르는 방법을 說하였다.
그 방법은 한마디로, 멀리서, 높은 곳에서 보라는 것이었다.
그 글에는 달팽이 양쪽 뿔위에 각각의 나라를 건설하고 두 나라가 전쟁을 하는 모습이 그려져있다.
다들 그걸 황당한 이야기, 이야깃꾼의 이야기로 받아들였나 보다. 대체 달팽이 뿔위에 무슨 나라를 세워? 하고.
그러나 한번 생각해보라.
달에서 지구를 한번 보자.
거기에서는 빌딩 숲을 이루고 있는 서울의 모습도 보이지 않고, 수 많은 선들로 이어진 각 나라의 국경도 보이지 않는다. 그저 푸르고 흰 큰 원으로만 보일 뿐이다. 물과 공기가 있어서 우리가 달을 보는 모습과는 다르다.
좀 더 먼 곳에서 지구를 보자. 그러면 지구는 우리가 밤 하늘에 보는 그런 작은 별에 불과할 것이요. 더 멀리 가면 그조차 보이지 않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가 내집, 네집이 보이기나 할 것이며, 내 나라 네 나라가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그러니 그런 나라의 의미가 달팽이 뿔위에 건설된 그 나라들와 무엇이 다르다는 것인가?
이렇게 만사를 보고 이해하는 경지에 이르는 것을 ‘도를 얻었다. 득도()했다’한다 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제, 포정해우의 글을 통해서 도에 도달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을 했다.
만유의 이치를 깨달아가는 세밀한 방법이다.
당신은 과연 어떤 백정인가?
매일 매일 숫돌에 칼을 갈아야하는 백정인가, 한 달에 한 번 칼을 가는 백정이가? 아니면 포정처럼 19년이나 칼을 갈지 않아도 되는 백정인가?
어설픈 낚싯꾼은 바다 갯바위에 오르면 낚싯대부터 펼친다.
그러나, 노련한 낚싯꾼은 우선 딛고 선 갯바위가 어느 산 줄기에서 출발한 것인지 주위의 지형을 살피고, 밑밥을 던져서 물의 흐르는 방향과 속도를 알아내고, 미끼나 손으로 수온을 알고서야 낚싯대를 펼친다.
혹시 당신을 소만 보면 칼부터 들고 나서는 백정은 아니가?
이로써 나의 도에 대한 글을 마친다.
사서와 삼경을 읽고 한비자, 정관정요로 역사를 읽고 몇 년에 걸쳐서 노자를 알고 장자를 알아나갔다.
내가 읽고 터득한 것의 반대가 그 글의 크기다.
즉 공맹의 도는 알기가 쉬우나 노장은 해득하기가 어려웠다. 이제 이런 글의 소개를 간단히 마치면서 잠자리에서 읽을 책이 다 사라졌다.
모두의 행복을 빈다.
첫댓글 저의 짧은 지식으로 그 높은 경지의 글을 도무지 이해가 어려워
감히 무어라 답할 말이 없었나 봅니다.
지식의 차이지요.
글을 써 놓고 반응이 얼마나 큰 힘이란 걸 저는 압니다.
그래서 이해는 됩니다.
그렇게 힘들여 써놓은 글이 메아리가 되어 돌아 올때의 허탈함을 알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