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면서 사주간명 통변하기6
壬戊乙戊
子戌卯戌
癸壬辛庚己戊丁丙 大運
亥戌酉申未午巳辰(5)
▪戊土日主가 木旺당절인 卯月에 乙木사령에 태어나 正官格이다.
▪戊戌日柱는 天干 기궁공이다. 외로운 사람이다. 어디 의지 할데가 없다. 年,戊戌도 조상님도 외롭게 사신분이다. 月, 乙卯 간여지동 부모님도 형제들도 외롭게 산다. 時柱, 壬子도 간여지동이다, 간여지동도 외롭다는 뜻이있다. 四柱 전체가 외로움에 처해있다. 세상에 혼자있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戊戌日柱 공망은 辰巳이다. 月干 乙木도(辰) 공망이다.
▪天干 대부분이 공망이면서 地支 허살도 있다.
▪이성관계가 어려운 관계이다.
▪세속에는 실효성이 없고 정신세계에 직업을 가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세속에서는 재미도 없고 고통만 따를 뿐이다.
▪종교인 八字이다.
▪화개살과 정관이 六合을 하고 있다.
▪종교계에서 근무하는 사주다.
▪子卯刑은 무례지형으로 모습은 체면 없는 행동하는 모습이다.
▪天干 壬戊乙戊는 어느소속에서 活用하여 결실을 맺는 역할을 하고 있다. 地支 卯戌卯戌은 활동환경에서 비공식 애인관계를 얘기한다.
▪나이먹은 남자와 젊은 여자의 관계이다. 빗나간 사랑이다.
▪卯 한여자가 두 남자를 좋아할 수 있다.
▪戊戌物象은 산속의 광곡이다. 깊은 산이다, 호랑이가 나타난다.
▪호랑이 물상도 된다.
▪戊戌=외로운 산, 기궁공=외로움을 이겨낸다. 혼자사는 것을 즐긴다.
▪戊戌=납음오행은 平地木이다. 남을 편안하게 하는 소질이 있다.
▪戊戌=재고귀인. 괴강살. 간여지동,음욕살
▪戊戌=좋은살과 꺼리는 살이 같이있다.
★성운율사 글에서
-음식점 손님 많이오게 하는 부적
(形用, 형용) 2장을 쓴다.
-경면주사로 부적종이에 형용을 써서
-한장는 출입문위에 붙이고
-한장은 지니고 다닌다.
충주서광사 철학)
*윤창역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