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해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금속함량비 식 [Fe/H] = log[N(Fe)/N(H)](별) / log[N(Fe)/N(H)](태양) 식이 성립한다.
태양과 같은 금속성을 가진 별은 금속함량비 [Fe/H]가 0이 된다.
태양과 같은 금속성을 가진 별은 [N(Fe)/N(H)](별) / [N(Fe)/N(H)](태양) = 1이 되기에
log1 = 0이 되기 때문에 log[N(Fe)/N(H)](별) / log[N(Fe)/N(H)](태양) = 0이 된다.
태양보다 작은 금속성을 가진(금속이 희박한) 별은 늙은 별인데 [Fe/H]가 (-)값이 나온다.
즉, [Fe/H] < 0이다. 우리은하에서 늙고 극도로 금속성이 희박한 별은 [Fe/H]값이 (-)5.4이다
태양보다 작은 금속성을 가진(금속이 희박한) 별은
[N(Fe)/N(H)](별) / [N(Fe)/N(H)](태양) < 1이므로 log(1보다 작은 양수) = (-)가 되기 때문에
log[N(Fe)/N(H)](별) / log[N(Fe)/N(H)](태양) = (-)값이 나온다.
한편, 태양보다 큰 금속성을 가진(금속이 풍부한) 별은 젊은 별인데 [Fe/H]가 (+)값이 나온다.
즉, [Fe/H] > 0이다. 우리은하에서 젊고 금속성이 풍부한 별은 (+)0.6이다.
태양보다 큰 금속성을 가진(금속이 풍부한) 별은 [N(Fe)/N(H)](별) / [N(Fe)/N(H)](태양) > 1이므로 log(1보다 큰 양수) = (+)가 되기 때문에 log[N(Fe)/N(H)](별) / log[N(Fe)/N(H)](태양) = (+)값이 나온다.
질문의 내용 중 태양보다 큰 금속성을 가진(금속이 풍부한) 별은 [Fe/H] < (-)1이 아니라 [Fe/H] > 0이 올바르다.
다른 곳에서 강의를 들은 내용이라면 크게 잘못된 내용을 들은 것으로 오류이다.
* 작년에 들은 수강생으로 내일 임용1차시험을 잘 보고 후에 최종임용합격하면 물화생지 카페에 강산임용 지구과학에 대하여 널리 좋은 평을 해주기 바랍니다.
첫댓글 작년 수강생인데도 이렇게 길게 답변 달아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ㅠ 교수님 혹시 21년도 B형 문제와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여쭤봐도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