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승(1913-1975)
평양 출생. 기독교 장로교목사인 아버지에서 태어나다.
아버지의 목회지(牧會地)를 따라 제주시에서 유년시절을 보냈으며, 7세 되던 해에 전라남도 광주로 이주하여 기독교계통의 숭일학교(崇一學校)와 평양의 숭실중학교를 졸업하고, 1936년 숭실전문학교 문과 3년을 수료하였다. 그 뒤 모교인 숭일학교 교사(1936), 조선대학교 교수(1951∼1959), 숭전대학 교수(1960∼1975),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1970) 등을 역임하였다.
장시(長詩) 「쓸쓸한 겨울저녁이 올 때 당신들은」이 양주동(梁柱東)의 추천으로 『동아일보』(1934)에 게재되면서부터 문학활동을 시작했다.
독실한 기독교인으로서 기독교정신과 인간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내용을 시로 형상화하여 독특한 시세계를 이루었다. 제1시집 『김현승시초(金顯承詩抄)』(1957)와 제2시집 『옹호자(擁護者)의 노래』(1963)에 나타난 전반기의 시적 경향은 주로 자연에 대한 주관적 서정과 감각적 인상을 노래하였으며, 점차 사회정의에 대한 윤리적 관심과 도덕적 열정을 표현하였다.
일상적 현실 속의 구체적인 대상을 노래하기보다는 감각의 차원을 넘어서는 추상적인 관념의 세계를 표현하였다. 관념의 대상에다 실감의 정서를 부여했다. 이러한 시작법은 김현승이 일관되게 추구해 왔다. 첫 시집 ‘김현승 시초(1957)에 수록된 작품은 비교적 발랄한 낭만적인 감성을 토대로 자연을 노해한 것이 많다.
1950년 대를 넘어서면서 일상에서의 사색과 지적 통찰을 보여줌으로,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내면의 통찰을 통하여 그가 도달한 곳이 절대자의 존재와, 그 존재의 고귀함이다.
김현승의 시 세계는 흔히 식민지 민족의 비애를 낭만적 자연 예찬과 깨끗한 인간 탐구 정신으로 표현한 전기 시, 그리고 1950년(38세) 이후 주로 기독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여 존재와 고독, 생명, 진실 등의 관념을 탐구한 후기 구분된다. 대표작들은 대개 후기의 작품들이다.
그가 추구하는 이미지들의 특징은 가을의 이미지로 많이 나타나는데, 덧없이 사라지는 비본질적이고 지상적인 가치를 상징하는 꽃잎 · 낙엽 · 재의 이미지와, 본질적이며 천상적인 가치를 상징하는 뿌리 · 보석 · 열매의 단단한 물체의 이미지의 이원적 대립으로 표현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가 표현한 시적 방법의 특징은 절제된 언어를 통하여 추상적 관념을 사물화(事物化)하거나, 구체적 사물을 관념화하는 조소성(彫塑性)과 명징성(明澄性)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의 후기 시세계는 950년(38세)에는 <생명의 날>, <가을 시첩> 등을 발표하는데, 이때부터 김현승은 기독교 정신에 입각한 고독, 허무 등 삶의 근원 문제로 눈길을 돌린다. 1951년(39세)에는 조선대학교에 임용되었으며 계간지 <신문학> 창간에 참여하고, 당시 전쟁 충격으로 정신분열증에 시달리던 서정주에게 거처를 마련하기도 한다. 서정주에게 조선대 부교수 자리를 알선한 것도 김현승이었다. 그러나 정작 자신은 네 살짜리 아들을 가난 때문에 약도 제대로 못 써보고 잃는 아픔을 겪는데, 이 슬픔을 빚어낸 것이 <눈물>이다.
김현승의 시에는 투명한 언어 감각이 살아있다. 그것이 감각 그 자체로 머무르지 않는다. 그의 언어는 관조적 자세를 곁들이고, 지적으로 세련되어 있다. 시어들은 정결하고, 단아하다. 그러나 그는 절대자를 노래하지만, 절대자 안에 고독하게 서 있는 인간을 옹호한다.
시집 ’견고한 고독(1968)‘에서 ’절대 고독(1970)‘에 이르는 김현승의 시에는 인간의 존재 공간을 고독이라는 절대 상황으로 표현하였다.
1973년(61세)에는 <김현승 시 전집>을 내고 서울시 문화상을 받는데, 차남의 결혼식을 치르고 나오다가 고혈압으로 쓰러지는 바람에 시작 활동을 중단하다시피 한다. 결국 1975년(63세) 김현승은 채플 시간에 쓰러진 뒤 일어나지 못하고 삶을 마감하였다.
1955년 제1회 전라남도문화상, 1973년 서울시문화상을 받았다. 광주 무등산도립공원에 그의 시비가 세워져 있다.
*나는 고등학교를 다닐 때의, 문학소년 시절에 왠지 김형승 시인의 시가 좋았다. 문예반을 함께 한 친구들에게 말해보면, ’김현승이 누군데‘ 하는 시인인데도, 나는 그 시인이 좋았다.
낭만주의적 경향으로, 야들야들하고, 보드라운 시들보다. 김현승의 시는 무게가 있어 보이고 생각을 하게 하는 시라고 느꼈다. 왜 그런 시가 좋았는지는 모른다.
하여간에 이런 것이 내가 문과를 선택하지 않고, 이과로 진로를 잡았는지 모르겠다.
’가을 기도‘도 얼마나 좋은 시인가.’
첫댓글 아! 절대고독의 시인...
가을이 되면 <기도>라는 시가 생각납니다... 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