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바꾼 역사적 30가지 문서
세상을 바꾼 역사적 30가지 문서
©Getty Images
문서는 글이나 기호 따위로 일정한
의사나 관념 또는 사상을 나타낸 것이다.
인간의 삶을 어떤 방식으로든 바꾸어놓은,
중대한 영향을 미친 기록들은 뭐가 있을까?
동서양을 넘나들며 세상을 바꾼,
파피루스의 고대 잉크에서부터
인터넷에 출판된 디지털 기록물까지
다양하고 중요한 문서들을 한자리에 모아보았다.
사포의 시, 기원전 6세기
©Public Domain
사포 (c. 630–c. 570 BCE)는 약 1만 행의 서정시를 쓴
고대 그리스 유명한 시인이다.
그러나 현전하는 사포의 시는 불과 650행에 불과하다.
이 중 파피루스에 쓰여진 '형제의 시' (사진)의 한 조각은
현존하는 가장 중요한 고문서 중 하나이다.
키루스 실린더, 기원전 539-538년
©Getty Images
키루스 실린더는 기원전 539년 키루스에 의한 바빌로니아 정복에 대한
바빌로니아의 설명이 새겨진 2,600년 된 점토로 만든 원기둥이다.
고대 세계로부터 살아남은 가장 유명한 아이콘들 중 하나이며
바빌로니아의 패배, 성지의 복원, 추방된 사람들과 그들의 신들의
귀환과 함께 키루스 대왕에 의한 페르시아 통치의 수립을 명시하고 있다
'손자병법', 기원전 5세기
©Getty Images
고대 중국의 장군이자 군사 전략가인 손자로부터 전해진
'손자병법'은 군사 전략에 관한 최초의 문서 중 하나이다.
이 책은 미군 필수 도서이기도 하며, 동서양의 군사적
사고에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마그나카르타, 1215년
©Getty Images
1215년 영국에서 만들어진 이 중세 왕실 헌장은
인권이라는 주제를 언급한 최초의 공식 문서다.
존 왕이 부여한 자유는 최초로 모든 "자유인"에게
정의와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주는
유명한 조항이 필사되어있다.
구텐베르크 42행 성경, 1455년
©Getty Images
창시자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1400–1468)의 이름을 딴
구텐베르크 42행 성경은 가동활자를 이용해서 인쇄된
유럽 최초의 서적이다. 구텐베르크의 발명으로
책의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했고 세상을 바꾸었다.
'신학대전,' 1485년
©Getty Images
토마스 아퀴나스 (1225–1274)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이지만
1485년에 출판된 '신학대전'은 가톨릭 교회의
모든 주요 신학적 가르침의 개요이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 책에서 합리적 추론을 사용하여
신의 존재를 증명하려고 시도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신앙과 지성의 조화를 꾀하였다.
독립선언문, 1776년
©Getty Images
미국의 13개 식민지는 1776년 7월 4일 대륙회의에서 채택한
독립선언문을 발표함으로써 영국과의 정치적 관계를 단절했다.
이 문서의 초안은 토머스 제퍼슨이 작성했다.
파리 조약,1783년
©Getty Images
파리 조약은 1783년 9월 3일 미국과 영국 대표들에 의해
체결되어 미국 독립 전쟁이 공식적으로 종결되었다.
미국 헌법, 1787년
©Getty Images
1787년 9월 17일 발의되어 1789년 3월 4일부터 시행된
미국의 헌법은 세계 최초의 성문 헌법이다.
모든 주들이 헌법을 즉시 비준한 것은 아니었다:
많은 주들이 개인의 자유에 대한 더 큰 헌법적
보호를 요구하고 있었다.
이것은 결국 권리장전의 통과로 이어졌다.
인간과 시민의 권리에 관한 선언, 1789년
©Getty Images
1789년 8월 26일 프랑스 제헌의회는
프랑스 대혁명 당시 개인과 집단의 권리를 규정한
'인간과 시민의 권리에 관한 선언'을 발표했다.
초기의 인권 문서로서 유럽과 전 세계에서
개인의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한 대중적 개념의
발전에 주요한 영향을 미쳤다.
미국의 권리장전, 1791년
©Getty Images
미국의 권리장전은 미국 헌법의 첫 번째
10개의 개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1791년에 비준된 이 문서는 그들의 정부와
관련된 미국인의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노예제 폐지법, 1833년
©Public Domain
노예제 폐지법은 1833년 8월 28일에 왕실에 수여되었고
1834년 8월 1일에 발효되었다.
이 법은 대영제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노예제를 즉시
폐지하도록 규정했다. 이 문서와 함께 사진에는
대영제국에서 노예 무역에 반대하는 선두적인 운동가인
영국인 노예제 폐지론자 토마스 클락슨(1760–1846)이 있다.
다윈의 메모, 1837년
©Getty Images
1837년 영국의 박물학자, 지질학자, 생물학자 찰스 다윈(1809~1882)이
수첩에 적은 이 메모는 그에게 진화생물학의 토대로 여겨지는
1859년 저서 '종의 기원에 관하여'의 중요한 자료를 제공했다.
공산당 선언, 1848년
©Getty Images
1848년 독일 철학자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쓴
간단한 팸플릿이 공산당 선언문이 됐다. 이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정치 문서 중 하나로 인정받았다.
1848년 런던에서 출간된 초판의 제목이 사진이다.
노예해방선언문, 1863년
©Getty Images
1863년 1월 1일 미국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이 발표한 노예해방령은
연방에 대한 반란으로 남부연합 주들의 노예들을 해방시켰다.
이 선언은 또한 흑인 군인들이 연방을 위해 필사적으로
필요했던 군인들을 위해 싸울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이 문서는 노예제 문제를 내전과 직접적으로 연관시켰다.
게티즈버그 연설, 1863년
©Getty Images
1863년 11월 19일 남북전쟁 중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펜실베이니아주 게티즈버그 국립묘지 봉헌식에서
전몰장병들을 추념하여 행한 연설이다.
짧은 연설이지만, 남북전쟁의 역사적 의미와 건국 정신 및
민주주의의 핵심적 의미를 가장 정확하게 요약하였다.
흔히 영어로 쓰여진 최고의 명연설로 평가된다.
제2차 선거법 개정, 1867년
©Getty Images
1867년에 제정되어 1869년 1월 1일에 완전히 제정된,
제2차 제2차 선거법 개정은 선거에 투표할 수 있는
남성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1832년에 통과된 제1차 개혁법에 따라 확대되었다.
1868년 말까지, 모든 남성 가구주가 권리를 얻어서,
잉글랜드와 웨일즈에서 투표할 수 있는 성인 남성의
수가 사실상 백만 명에서 200만 명으로 두 배가 되었다.
'꿈의 해석,' 1899년
©Getty Images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인 오스트리아의
신경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그의 1899년의 중요한 저작인 '꿈의 해석'의
주석이 달린 원고를 확인하는 모습의 사진이다.
꿈의 해석에 관한 그의 무의식 이론은
훗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이론이 되었다.
베르사유 조약, 1919년
©Getty Images
1919년 6월 28일 독일과 연합국의 전쟁 상태를 종식시킨
평화협정인 베르사유 조약이 체결되어 제1차 세계대전이
공식적으로 종결되었다.
서명에는 미국의 우드로 윌슨과
영국의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가 있다.
미국 수정 헌법 제19조 , 1920년
©Getty Images
1920년 8월 18일, 공식적으로 선거권을 여성까지
확대하는 조치인 미국 수정헌법 제19조가 비준되었다.
이는 미국 역사상 민주적 투표권의 단일 최대 연장이었고,
이는 70년이 넘는 시간이 걸린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베버리지 보고서, 1942년
©Getty Images
영국의 사회경제학자 윌리엄 베버리지(1879-1963)는
'사회보험과 연합서비스'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맡았는데,
이 보고서는 후에 베버리지 보고서로 알려지게 되었다.
1942년 11월에 발간된 이 보고서는 전후 영국의 사회정책의
청사진을 제공했으며, 이후 많은 사회입법의 토대를 형성하였다.
나치 독일과의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조약, 1945년
©Getty Images
1945년 5월 7일, 프랑스 랭스에서 조들 장군이 서명하고,
소련군 최고사령관인 발터 베델 스미스와
소련군 최고사령관인 이반 수슬로파로프 장군이 반대 서명한
나치 독일의 연합군 항복을 알리는 문서로 유럽의 전쟁은 막을 내린다.
일본과의 제2차 세계대전 종전조약, 1945년
©Getty Images
일본과 전쟁을 끝내는 유명한 조약은 도쿄 베이에서
USS 미주리함에서 1945년 9월 2일에 서명되었다.
서명자로는 연합군 최고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과
일본 외무상 마모루 시게미츠가 있다.
세계 인권 선언, 1948년
©Getty Images
1948년 12월 10일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세계인권선언문은
모든 인간의 권리와 자유를 봉안한 문서이다.
사진은 1933년부터 1945년까지 프랭클린 델라노 루스벨트의 부인이자
미국의 영부인이었던 엘리너 루스벨트가 선언문의 포스터 크기의
복사본을 들고 있는 모습이다.
그녀는 선언문의 조항들을 작성하는 임무를 맡은 초안 위원회의 의장이었다.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의 인구등록법, 1950년
©Public Domain
이 수치스러운 행위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아파르트헤이드 체제를 만들었다.
이는 아파르트헤이드 체제의 일환으로, 남아프리카의 각 주민이
그들의 인종적 특성에 따라 분류되고 등록되어야 했다.
이 법은 1991년 6월에 폐지되었다.
사진은 남아프리카 정부가 1988년에 발행한
인구 등록법에 따른 인종 분류 등록증이다
브라운v.보드국립사적지, 1954년
©Public Domain
1954년 5월 17일 미국 대법원은 만장일치로
공립학교에서 아동을 인종적으로 분리하는 것은
위헌이라는 판결을 내렸다.
브라운 판결이라고도 알려진 이 판결은
당시에는 획기적이였으며,
1950년대 민권운동의 초석 중 하나가 되었다.
이미지: 미국 국립기록보관소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문, 1963년
©Getty Images
1963년 8월 28일,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워싱턴 D.C.에서 열린 시민권 집회에서
그의 상징인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을 했다.
이 연설은 시민권 운동의 결정적 순간이자
미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연설 중 하나가 되었다.
이 역사적인 문서는 펜실베니아의 빌라노바 대학에 보존되어 있다.
아폴로 11호 비행 계획, 1969년
©Getty Images
아폴로 11호 비행 계획은 본질적으로
닐 암스트롱, 버즈 올드린, 마이클 콜린스를
1969년 7월 20일의 역사적인 달 착륙으로 안내했다.
이 문서는 국립 기록 보관소에 보존되어 있다.
사진은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모의 훈련을 하는 동안
우주 비행 계획을 연구하는 우주 비행사 마이클 콜린스의 모습이다.
위키리크스, 현재진행 중
©Getty Images
국제 비영리단체 위키리크스가 2006년 출범한 이래 고발된 문서에는
군사작전 절차 매뉴얼, 전쟁 일기, 매우 민감한 정보와 이메일 등이 포함돼 있다.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수십 개의 문서는 앞으로 수년간
역사가들과 학자들에 의해 검토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사진은 위키리크스 웹사이트 설립자 줄리안 어산지(Julian Assange)가
2010년 10월 23일자 한 페이지의 글을 보여주고 있다.
출처:
(British Museum) (National Geographic)
(Smithsonian Magazine) (NA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