삽자루를 들고 논으로 가면 바람 을 가르는 재비들 사이에서 하루 를 보냈고 호미를 들고 밭에 나가 면 간밤에 파 놓은 두더지 굴 바 뚜버리에 들쥐가족 뽕나무에 걸 쳐진 새박이 그런 땅에 이랑을 치고 씨앗뿌리고 해마다 숨이 칵 칵 막히는 7-8월 땡볕에는 목줄 을 타고 내리는 소금덩어리가 서 너 말은 넘었다.
그렇게 순 땅만 파먹고 뼈가 녹도 록 일하여 9남매를 다 키워 객지 로 내 보내고 살만하니 덜컥 할머 니가 먼저 세상을 뜨시고 홀로 고 향에서 살다가 나이가 80을 넘기 니 다리가 후들거려서 더 이상 농 사도 못 지을 정도로 노쇠해져가 도 9남매 중 아무도 "아부지요 이 제 농사 일 그만 하세요.." 위로하 는 자식 없다가 그늠의 정치 꾼들 이 경북 도청을 이전한다며 20년 넘게 떠들었는데 그 때마다 경북 도청이 구미로 간다니, 영천으로 간다니..하다가 영배미 골 넘어 양배미로 결정이 나고 난 이후
여기저기 "땅 매입 합니다"라고 하는 현수막이 펄럭이고 땅도 별 로 좋치 아니하던 산 아래 천수답 김 노인 땅도 덩달아 올랐다.
부동산 업자는 김노인 산 아래 땅은 절대농지도 아니고 잡종지 이고 도청이전 예정지로부터 불 과 2km 떨어지고 산 속이라서 "모텔이나 식당하면 아주 좋은 자리!"라며 돈을 더 쳐 줄터이니 땅을 팔라고 몇번이고 찾아왔지 만 김 노인은 "문전옥답을 우째 파닛껴..안파니더" 고개를 저었 다.
평당 3만원에도 팔리지 아니하던 땅이 읍내에 20개도 넘는 부동산 사무실이 들어서고 나서 십만원 이 훌쩍 넘어서자 영배미 마실에 도 도시 자가용들이 들락거리고 객지 자식들도 갑자기 양철영감 뽕밭뚜버리에 땡벌집에 벌 들락 거리듯이 자주 고향 부모님들을 찾았다.
한마디로 孝女孝子 家家在라 갑 자기 영배미 마실에도 도시 효자 들이 득실 거렸다.
자연 한두집 늙은 농부들은 평생 땅만 파고 살던 고향집을 정리하 고 며느리 성화에 못 이기는척 대구로도 가고 인천으로도 떠나 갔다.
김 노인도 그리 내키지 아니하지 만 유독 맏 며느리가 땅을 정리하 고 서울 올라오시면 남은 여생을 더운 물이 콸콸 나 오는 아파트에 서 편하게 지내시게 해 준다며 사정 사정 하여 결국 조상이 물려 준 문전 옥답을 정리하기로 마음 을 먹었다.
첫째 아들도 둘째 아들도 셋째 아들도....
"한 일억씩만 도와주시면 이참에 30평 짜리 아파트를 팔고 40평 으로 늘리겠니더"하면서 늙은 아 비에게 보챘다.
허긴 땅이 오르고 벌써 몇 집이 형제간에 싸움도 벌어지고 심지 어 미국 이민갔던 아들도 돌아와 서는 자기 몫을 요구하는 집도 있었다.
김노인은 깊은 고민에 빠졌다.
이러다간 자신이 죽고나서 자식 들이 땅 싸움에 휘말려 자신의 묘 앞에 술 따라야 할 제삿 날에는 여느 집처럼 형제들이 따로 따로 올 것 같은 걱정도 앞섰기 때문이 다.
결국 땅을 정리하고 서울 맏 아들 집으로 가기로 했다.
땅 판 돈을 자식들에게 나누어 주는 날...
서울서 제법 사는 둘째 며느리와 자신을 모시겠다는 맏 며느리 사 이에 결국 설전이 오가고 ...
부산서 아파트 앞에서 채소 장사 하면서 어렵게 사는 딸은 눈물 찔 끔 거리면서 떠 났다.
폭삭 늙은 농부가 서울로 떠날 준 비를 할 즈음 ....
이미 반년 전에 땅을 팔고 일산에 사는 아들 집에 갔던 논실댁이가 도로 시골로 내려 왔는데...
돈은 자식들에게 다 빼앗끼고 고 향에서 기거 할 방이 없어서 본동 네는 살지 못하고 절뒤마을 빈집 에 들어 갔다는 이야기가 자꾸 마 음에 걸렸다.
마을 늙은 친구들 배웅을 받으면 서 눈물을 비치며 고향을 떠 났던 김노인이 무슨 연유인지 3개 월 만에 다시 고향으로 내려 오셨다.
달랑 옷 보따리 하나만 들고 읍내 버스 정류장에 내린 김노인은 밝 은 대낮에는 고향 마실로 들어서 기 너무 부끄러워 읍내 뒷 쪽 천 방 뚝 아래 쭈그리고 앉아 있다가 캄캄한 밤이 되어서야 고향 마을 로 돌아와서, 석달 전 버리고 간 고향 빈집으로 더듬더듬 다시 들 어가셨는데
간간히 꺼이꺼이 낮은 헛 기침 소 리가 새벽이 다 되도록 들리셨다.
마을에 늙은 할매들이 그런 김노 인에게 먹을 음식을 갖다 주었지 만 당체 입에 넣치 아니하시고 도로 밀어 내시었고 그런 중에도 9홉명의 자식들은 단 한명도 찾 아 오지 않았다.
고향 빈집에서 며칠 밤을 보낸 다음 날 풍산 장날이 서던 날이 다.
김 노인은 새벽에 일어나 마당 우 물 물을 가마솥에 부어서 펄펄 끓 인 후 자신이 오래세월 소를 키웟 던 마굿 칸에서 목욕을 하기 시작 했다.
목욕하는 사이 낮익은 쥐가 물끄 러니 김 노인을 처다보고 앞 마당 에 첫 아들 낳던 해에 심었던 반 수감나무에서 평소처럼 까치도 울었다.
목욕을 마친 김노인은 할머니가 살아 있을 때 만들어 주신 깨끗한 한복을 갈아입으시고.....
다시 고향 집을 나섰다.
마침 느티나무 아래서 당파 씨를 고르던 이웃집 시울실 할매와 구담댁 할매가 뽀오햔 한복을 입고 나서는 김 노인을 보시고는
첫댓글 가슴아픈 현실이네요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