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년3월6일(水 : 경칩 警蟄) 간추린 뉴스 신문 소식☆
■ 헤드라인 뉴스 ■
1. 전국서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수도권 사상 첫 6일 연속
2. "학교 안 보낼 수도 없고", 최악 미세먼지
에 불안한 부모들
3. 국정원, "영변 원자로 가동 중단…동창리 복구 징후"
4. 신규 항공사 3곳 면허…가격하락 '기대' vs 인력 빼가기 '우려'
5. 조희연, "한유총 허가취소…개학연기는 공익 害하는 행위"
6. 3월 임시국회 7일 개회…19∼22일 對 정부 질문
7. 文대통령, "한결같이 평화 추구하면 한 반도 비핵화 될 것"
8. 이강래 도로공사 사장, "졸음운전 퇴치위 해 순찰요원에게 단속권 추진"
9. 씨그랜드 몰고 첫입항 러 선장, 술까지 마셔 지휘능력 상실
10. 코스피 외인·기관 매도에 3일째 하락, 2,180선 내줘
11. [국민소득 3만불시대] 고용부진·양극
화, 서민 삶 여전히 팍팍
12. 경찰, '승리 성접대 의혹', 카톡대화 일 부 확보
13. 중국 전인대 엄중한 경비속에 개막, 시
진핑 시종 '무표정'
14. '1조389억원'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정
안, 국무회의 의결
15. 조명균, "금강산관광 단계적 접근, 개성 기업인 방북, 美와 협의"
16. 민주노총 6일 총파업, 대부분 조업중단
없이 집회만 할 듯
17. 日관방, 징용피해자 미쓰비시 압류 표
명에 "극히 심각한 상황"
18. 태안화력 또 협력업체 직원 사고, 장비
에 끼어 부상
19. 검찰, 손혜원 의혹 '목포 창성장' 등 4곳 압수수색
20. 10명 사상 황화수소 누출사고, 포스코 관계자 2명 영장 기각
21. 검찰, 포스코건설 압수수색…'김태우 스
폰서' 수주 경위 추적
22.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황교안 17.9% 유시민 13.2% 이낙연 11.5%
23. 흡연자 87%, '담배회사가 꽁초 수거' 찬성
24. "한국 직원들, 고용주 신뢰도 全 세계서 가장 낮아"
25. 정부, 마약과의 전쟁…SNS 뒤지고 '물
뽕' 탐지장비 5배 확대
26. 환경미화원, 새벽·밤 대신 낮에 일한다, 작업안전지침 마련
27. 무역전쟁 안 끝난다, 美中 합의도 前에 기대감 시들
28. "클린턴 부부, 딸 남친 장학금 못 받자 해당 단체 지원 끊어"
29. 25명 살해 암매장 美연쇄살인범, 85세
로 감옥에서 生 마감
30. 故장자연 동료 윤지오, "고인 문건에 한 언론사 동일姓 3명 포함"
31. '전속계약 분쟁' 강다니엘 측 "법리검토
중, 활동 지장없게 노력"
32. "한라산이 사라졌다"…제주마저 삼킨 미세먼지
33. 靑국민청원 서명 10만 넘은 글, 가짜로 판명
34. '미스터리' 1조6천894억원 잭팟, 당첨
자 나타났다
35. 北TV, 귀환 김정은 '열렬한 환영' 부각, '빈손' 불식 의도?
36. 눈 더 낮추자…반도체1분기 실적기대
치 줄하향 조짐
37. '공정한 입시전형' 68개 대학에 559억, '학종공정성' 평가 강화
38. 캐나다 세계 최고 건강한 나라…한국은 9위
39. 박원순 "제로페이 확산, 민주당원들이 도와달라"
40. 재계 '큰어른' 박용곤, 두산그룹 명예회
장 빈소에 조문 발길
41. 청소년 연예인 보호 위한 '표준 부속합
의서' 제정
42. 한국인 2명, 최근 2년간 스위스에서 안
락사 선택
43. 작년 M&A 건수 11년만에 최다, "사업
재편 활발"
44. 경실련, '가습기 살균제' SK케미칼 관
계자들 구속수사 촉구
45. 요르단, 민간항공사에 '시리아 항로' 7 년만에 허용
46. 모든 생보사에 '불완전판매 예방 시스
템' 확대 적용
47. "면역체계 '핸드브레이크' 역할 하는 유
전자 발견"
48. LG·SK·포스코 등 상반기, 대기업 채용
시즌 막 올라
49. 교육부, '세월호 시국선언' 참여교사
284명 고발 취하
50. '갑질' 사건, 공정위 직권으로 분쟁조정 의뢰
51. 신협, "사회적경제기금 200억 조성, 저
리 대출 확대"
52. 경기도, 버스 요금 인상 놓고 '속앓이'
53. 지난해 증권사 순이익 4.2조원…11년 만에 최대
54. 세포의 단백질이 떠는 이유, '진동지문' 으로 읽는다
55. 힐러리 클린턴, "2020년 美대선 출마 안한다"
56. 일왕 퇴위의식, 12일부터 시작…한 달 반 동안 진행
57. 품질검사 통과못한 CT·MRI 사용 병원 3년이하 징역
58. 日 홍역환자 올해 258명…오사카·도쿄 중심 확산
59. '월수익15%' 허위광고 등 유사투자 자
문사 26곳 적발
60. 中서 SNS팔로워· '좋아요' 대량 거래, 페북 소송제기
61. 文대통령, "유치원·학교에 대용량 공기
정화기 지원방안 강구"
62. [코스닥] 0.12p(0.02%) 내린 747.95
63. [코스피]11.43p(0.52%)내린2,179.2
3
♤자료출처☞http://:goo.gl/GU8MEk♤
■ 오늘의 영어 한마디 ■
* 임대 계약서를 주시겠습니까?☞Do you have the lease?
* 언제 이사 하시겠어요? ☞When will you be moving in?
*다음 週에 할게요.☞I thought I'd move in next week.
■ 오늘의 건강상식 ■
* 소금 과다섭취가 아토피의 원인?
보기 ㅡ>https://shealth.life/v4/conten
tsView?contsId=6446&areaType=DISCOVER_PLUS
■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 들 ■
1. 재난수준의 미세먼지→13개 市·道 최고 농도 경신. 초미세먼지 237㎍로 전국 최고 기록한 전북, 종전 최고 기록(2018년 3월
108㎍/㎥)의 2배 넘어...(문화)
2. OECD 100대 공기 오염도시 중 44개가
한국 도시 → 회원국 중 最多. 글로벌 대기
오염 조사기관 에어비주얼 지난해 초미세
먼지 분석 보고서.(매경)
3. 대책은 전기료 인하? → 24시간 공기청 정기 가동에 따른 가정, 기업 전기료 부담 경감을 위해 전기료 한시 인하 검토.(국민)
4. 소금과 나트륨→소금(NaCl)의 나트륨
(Na) 함량은 40%...즉 소금 1g은 나트륨
400mg 함유. 세계보건기구 나트륨 1일 권장섭취량 2000mg(2g)을 소금으로 환
산하면 5g.(헤럴드경제)
5. 막걸리의 재부상?→2012년~2015년
연속 10~15% 마이너스 성장, 최근까지 제
자리 걸음하던 막걸리 매출, 지난해 25.8
% 급성장(롯데마트 기준). 1만원대 프리미
엄 막걸리들 등장 덕분.(헤럴드경제)
6. 국민소득 3만불의 그늘→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 3만 1349달러로 처음으
로 3만달러 돌파. 한국은행. 그러나 환율,물 가 등을 감안하면 실질구매력은 하락.(아시
아경제)
▼소득 3만불 돌파....실질구매력 증가율은
은 2015년 이후 계속 감소
7. ‘교황 비오 12세’ 문서 조기 공개→2차 대전 나치학살 방치했다고 비판받는 비오
12세 문서 10년 앞당겨 내년 공개. 보통
사후 70년 되어야 공개하는 것이 바티칸 관례.(경향 외)
8. 선거구별 허용되는 인구 편차 기준→
상하 50%까지 즉 선거구별로 인구 차이
3배 이내 여야 함. 헌재, 인천,경주 등 일부 광역의회 선거구 허용치 벗어나 헌법 불합
치 판결.(문화)
9.1kg에 200만원, 코끼리 똥 커피 →'블랙
아이보리 커피(Black Ivory Coffee).코끼
리에게 생두를 먹여 배설물에서 원두를 찾
아낸다고. 33Kg 먹여야 1kg 나와. 루왁보
다 비싸.(국민)
10. 기타 →
① 美 노인 25%는 ‘고립감’ 느끼고, 3명중
1명은 친구 없어. 미시건大 조사
② 北, 영변 원자로는 가동 중단, 동창리 미
사일 발사장은 복구 징후... 서훈 국정원장 국회답변
③ 오늘 경칩,미세먼지에 봄의 정취는 실종
♤자료출처☞http://:goo.gl/GU8MEk♤
❒ 알아두면 좋을 생활 뉴스 ❒
1. 미세먼지 마스크
* 사상 유례없는 미세먼지를 경험하는 요즘
인데요. 마스크 꼭 써야 하는데 잘 골라 써
야겠죠. 기본적으로 'KF'라는 문자가 붙은 마스크를 써야 입자차단 성능이 있는데요.
* 그 뒤에 붙는 80, 94 등 숫자가 클수록 차
단 효과가 더 큽니다. 하지만 숨쉬기가 불편
할 수도 있어서 개인별로 맞는 마스크를 선
택하는 게 좋습니다. 또 사용한 제품은 먼지
나 세균에 오염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재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고 합니다.
2. 공기청정기
* 미세먼지의 공습으로 실내에서는 공기청
정기를 많이 쓰게 되는데요. 공기청정기 제
대로 쓰는 방법도 알려드립니다.
* 일단 공기청정기는 미세먼지를 낮추는데 만 효과가 있어서 이산화탄소 같은 가스 상 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선 바깥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도 하루에 한 번 이상은 환기를 해주는 게 필요합니다.
또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하거나 청소를 해야 한다는 사실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3. 대중교통
* 안심카드~지금까지 전국 버스와 지하철, 기차에서 쓸 수 있었던 '레일 플러스 대중
교통 안심 카드'로 -->앞으로는 고속도로 통행료도 결제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이 카드는 홈페이지에 미리 등록만 하면 잃어버렸을 때 잔액을 돌려받을 수 있는 선
불 충전식 교통카드인데요.
* 코레일이 이번 달부터 사용처를 고속도로 요금소까지 늘린 겁니다. 코레일이 운영하
는 수도권 전철역 자동발매기에서 살 수 있
고, 충전도 할 수 있 다고 하니 한번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4. 봄철 어린이 교통사고
*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요즘, 걷다가 교통
사고를 당해 입원하는 어린이가 겨울보다 2배 많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질병관리본부가 2012년부터 5년 동안 어린이 보행자 사고통계를 분석한 내용인
데요.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대는 오후 3~5시였고, 특히 차도와 횡단보도에서 사고가 많이 났다고 합니다.
* 사고는 예방이 최선이겠죠. 아이가 길을 걸을 때 꼭 보도를 이용하도록 지도하고,눈 이 오거나 밤처럼 앞이 잘 보이지 않을땐 밝
은 옷을 입히는 게 좋다고 합니다.
5. 아큐테인 우울증
* 여드름 치료제인 아큐테인이 우울증을 일
으킨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요. 미국 노스
웨스턴대 의대 연구팀이 17년 동안 여드름 환자들을 분석해봤더니 이 약을 먹는다고 우울증 위험을 높이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
왔다고 합니다.
* 여드름 자체로 인해 기분변화나 우울증 위험증가가 나타나는 거지, 약 자체가 우울
증 위험을 높이진 않는다는 겁니다.
* 연구팀은 여드름 약으로 여드름을 치료하
는 게 우울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
라고 설명했습니다.
6. 100주년 기념주화 2차분
* 한국은행이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
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2차분 기념주화를
공개했습니다.
* 은화 3종류로 구성된 2차분 기념주화는 다음달 11일 발행되고, 농협과 우리은행을
통해 오는 8일까지 예약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 ☞http://:goo.gl/GU8MEk
❒오늘의 역사(3월 6일)❒
✿2003년 3월 6일
'노무현 대통령 청남대 개방 지시'.....
2003년 3월 6일 노무현 대통령의 청남대 개방 지시와 함께 대통령 한 사람만을 위한 여름피서지였던 청남대(靑南臺)가 20년만 에 주민들의 품으로 돌아오게 됐다. 충청북
도와 주민들은 “기대는 했지만 이렇게 빨리 실현될지는 몰랐다”며 크게 반겼다.
*청남대는 충청북도 청원군 대청댐 부근 약 55만평의 면적에 전두환 전대통령이 “이런 곳에 별장 하나 있으면 좋겠다”고 말한 것
이 계기가 되어 생긴 대통령 전용 별장으로 ‘남쪽에 있는 청와대’라는 의미이다.
그동안 일반인들의 출입이 전면 통제되어 ‘미스터리’의 대상으로 남아있던 청남대가 개방됨으로써 이 지역 주민들은 이 일대가 전국적인 관광명소로 급부상할 것으로 기 대, 이튿날 3월 7일 오후 문의파출소 앞 광
장에서 주민대회를 갖기도 했다.
▶ 2011년 동아출판사 창업주 김상문 전 회장 별세
▶2010년 조경철 박사 별세
▶2009년 요리연구가 하선정씨 별세
▶2003년‘세종대왕자태실(世宗大王子胎室)’ 사적 444호로 지정
▶2003년알제리 여객기 추락,102명 사망
▶1997년 소설 ‘남부군’ 저자 이태씨 별세
▶1995년 유럽연합(EU), 터키와 관세동 맹 결성
▶1992년'아야즈 무탈리보프' 아제르바이
잔 대통령 사임
▶1991년 국제해사위성국 개통
▶1985년 전두환 대통령, 김대중.김영삼.
김종필씨 등 14명에 대한 정치해금 단행
▶1985년 미국의 교향곡 작곡가 세션슨 사망
▶1983년 서독 녹색당 의회 진출
▶1983년 콜 서독수상 재집권
▶1983년 한국 해적출판 세계1위
▶1981년 가정의례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
▶1980년 박정희대통령 시해사건으로 사
형 확정된 박흥주 총살형 집행
▶1980년 엘살바도르 전국에 계엄령 선포
▶1979년 한국-멕시코, 일반사증면제협정 체결
▶1977년 프랑스 역사의 현장인 클래리지 호텔 문 닫음
▶1973년 미국 소설가 펄 벅 사망
▶1971년 케냐, 최악의 가뭄
▶1970년 체코 자유화 기수 두브체크, 공
산당서 축출
▶1967년 헝가리 민속음악의 권위자인 대
표적작곡가 졸탄 코다이 사망
▶1965년 미국 해병대 2개부대,파월 결정
▶1963년 4대의혹사건 관련자 유원식, 천
병규 등 15명 구속
▶1958년 아랍연맹과 예멘 정식합병 조인
▶1958년 납북 KNA기 승객 32명 귀환
▶1957년 김종원 치안국장, 판사를 향해 법정모욕
▶1957년 가나공화국, 영국연방으로부터 독립
▶1953년 소련 수상 후임에 말렌코프, 외
상에 몰로토프
▶1950년 프랑스 제3공화정의 마지막 대
통령(1932~40) 르브룅 사망
▶1945년 유고, 티토 임시정부 성립
▶1937년 거룩함에 대한 인간의 체험을 연구·발표 한 독일의 신학자 오토 사망
▶1936년 조선일보 여성지, 월간 '여성' 창 간
▶1935년 독일 재군비 선언
▶1926년 제8대 중앙정보부장 김재규 출 생
▶1921년 발렌티노 첫 주연 영화, '묵시록
의 네 기사' 개봉
▶1918년 러시아 사회민주당, 러시아 공
산당으로 개칭
▶1905년 멕시코 이민, 1천33명 인천항 출발
▶1883년 고종황제,태극기를 국기로 제정
▶1853년 베르디 오페라, '라트라비아타' 베네치아에서 초연
▶1834년영국 풍자만화가 뒤 모리에 출생
▶1806년 영국의 여류 시인, 엘리자베스 브라우닝 출생
▶1779년 프랑스 장군 조미니 출생
▶1672년 영국이 네덜란드에 선전포고
▶1475년 천재 예술가, 미켈란젤로 출생
■ 시사 만화 評 ■
첫댓글 미세먼지 땜시 ~ 개구리 숨도
제대로 못 쉬고 ~ 다시 들어
가는 ~ 사항이 벌어지게 ^^
생겼네요 ㅎ ~ 건강 위협 하는
미세 먼지 걷히는 날은 언제
오려는지 ~ 오리무중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