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문제를 풀다가 예전에 교육을 받으면서 필기한 ★의 내용이 생각나서 질문 드립니다.
유효전력과 주파수의 관계는 동기발전기의 주파수를 증가하면 회전수가 증가하고 회전수가 증가하면
그만큼 더 유효전력을 생산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게 맞게 생각한 건지요?
그리고 무효전력과 계통 전압 변동은 어떤 관계가 있는 건가요?
아래 과년도 문제 처럼 계통에 콘덴서나 리액터를 삽입하여 무효전력을 조정하여 무효 손실을 없애고 전압강하도 없애서
계통 전압의 변동을 덜?하게 하는 거을 의미하는 건지요? 제가 제대로 이해를 하고 잇는 건지 궁금합니다.
더운 날씨에 항상 명쾌한 답변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전력계통의 전압 조정을 위한 방법으로 적당한 것은??
1. 계통에 콘덴서 또는 병렬 리액터 투입 <---- 정답!!!
2. 발전기의 유효전력 조정
3. 부하의 유효전력 조정
4. 계통의 주파수 조정
===============================================
★)
유효전력 수급균형
-> 계통 주파수 변동 특성(전국적)
무효전력 수급균형
-> 계통 전압 변동 특성(국지적)
첫댓글 1. 유효전력-주파수
전력사용량 증가 -> 발전기 전기적토크 증가(터빈의 기계적 토크는 일정) -> 발전기 감속 -> 주파수 감소
한 지역의 유효전력 균형붕괴는 계통 전체의 주파수 변화로 나타나게 됩니다.
2. 무효전력 - 전압
(1) 지상무효전력 공급 부족시 -> 발전기 진상운전 (증자작용, 단자전압 상승)
(2) 지상무효전력 공급 과잉시 -> 발전기 지상운전 (감자작용, 단자전압 감소)
전압이 상승시 : 기기의 열화, 고조파 발생
전압이 저하시 : 유효전력 손실 증가, 전류용량과 안정도 감소 -> 송전용량저하, 발전기 출력 저하
이재현 원장님 상세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