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간 |
甲 戊 庚 |
乙 己 |
丙 丁 |
辛 |
壬 癸 |
지 지 |
丑 未 |
子 申 |
亥 酉 |
寅 午 |
巳 卯 |
도표에서 보면 일간 갑무경(甲戊庚)은 귀인이 丑-未에 있고 을기(乙己)는 귀인이 子-申에 있으며 병정(丙丁)은 귀인이 亥-酉에 있고 신(辛)은 귀인이 寅-午에 있으며 임계(壬癸)는 귀인이 巳-卯에 있는데 지지 辰-戌은 천라(天羅)며 지망(地網)으로 귀인이 임하지 않는다.
그 방법을 살펴보면 양귀인은 선천의 곤(坤)에서 찾고 음귀인은 후천의 곤(坤)에서 찾는데 선천의 곤(坤)은 북방 자(子)에 있으며 그곳에 갑간(甲干)을 일으키고 후천의 곤(坤)은 서남방 신(申)에 있으며 그곳에 갑간(甲干)을 일으키는데 양귀인(陽貴人)은 시계방향으로 순행(順行)하고 음귀인(陰貴人)은 시계반대방향으로 역행(逆行)한다.
양귀인-선천-순행도표
위 도표에서 보면 선천의 곤(坤)은 북방 자(子)에 있으며 그곳에 천간 갑(甲)을 일으키고 기(己)와 甲-己合土 간합하니 기(己)는 자(子)를 양귀인(陽貴人)으로 삼는데 양귀인은 순행(順行)하므로 을(乙)의 덕은 축(丑)에 있고 경(庚)과 乙-庚合金 간합하니 경(庚)은 축(丑)을 양귀인으로 삼으며 병(丙)의 덕은 인(寅)에 있고 신(辛)과 丙-辛合水 간합하니 신(辛)은 인(寅)을 양귀인으로 삼는다.
다시 정(丁)의 덕은 묘(卯)에 있고 임(壬)과 丁-壬合木 간합하니 임(壬)은 묘(卯)를 양귀인으로 삼고 진(辰)은 지망(地網)으로 귀인이 임하지 않으니 건너뛰며 무(戊)의 덕은 사(巳)에 있고 계(癸)와 戊-癸合火 간합하니 계(癸)는 사(巳)를 양귀인으로 삼는데 오(午)는 자(子)를 상충하는 귀인의 천공(天空)으로 셈하지 않고 건너뛴다.
같은 맥락으로 기(己)의 덕은 미(未)에 있고 갑(甲)과 甲-己合土 간합하니 갑(甲)은 미(未)를 양귀인으로 삼고 경(庚)의 덕은 신(申)에 있고 을(乙)과 乙-庚合金 간합하니 을(乙)은 신(申)을 양귀인으로 삼으며 신(辛)의 덕은 유(酉)에 있고 병(丙)과 丙-辛合水 간합하니 병(丙)은 유(酉)를 양귀인으로 삼는다.
또한 술(戌)은 천라(天羅)로 귀인이 임하지 않으니 건너뛰며 임(壬)의 덕은 해(亥)에 있는데 정(丁)과 丁-壬合木 간합하니 정(丁)은 해(亥)를 양귀인으로 삼고 자(子)는 선천의 곤(坤)으로 귀인을 일으키는 곳이니 재림하지 못하고 건너뛰며 계(癸)의 덕은 축(丑)에 있고 무(戊)와 戊-癸合火 간합하니 무(戊)는 축(丑)을 양귀인으로 삼는다.
음귀인-후천-역행도표
도표에서 보면 후천(後天)의 곤(坤)은 서남방 신(申)에 있으며 그곳에 천간 갑(甲)을 일으키고 기(己)와 甲-己合土 간합하니 기(己)는 신(申)을 음귀인(陰貴人)으로 삼고 음귀인은 역행(逆行)하므로 을(乙)의 덕은 미(未)에 있고 경(庚)과 乙-庚合金 간합하니 경(庚)은 미(未)를 음귀인으로 삼으며 병(丙)의 덕은 오(午)에 있고 신(辛)과 丙-辛合水 간합하니 신(辛)은 오(午)를 음귀인으로 삼는다.
다시 정(丁)의 덕은 사(巳)에 있고 임(壬)과 丁-壬合木 간합하니 임(壬)은 사(巳)를 음귀인으로 삼고 진(辰)은 지망(地網)으로 귀인이 임하지 않으니 건너뛰며 무(戊)의 덕은 묘(卯)에 있고 계(癸)와 戊-癸合火 간합하니 계(癸)는 묘(卯)를 음귀인으로 삼는데 인(寅)은 신(申)을 상충하는 귀인의 천공(天空)으로 셈하지 않고 건너뛴다.
같은 방법으로 기(己)의 덕은 축(丑)에 있고 갑(甲)과 甲-己合土 간합하니 갑(甲)은 축(丑)을 음귀인으로 삼고 경(庚)의 덕은 자(子)에 있고 을(乙)과 乙-庚合金 간합하니 을(乙)은 자(子)를 음귀인으로 삼으며 신(辛)의 덕은 해(亥)에 있고 병(丙)과 丙-辛合水 간합하니 병(丙)은 해(亥)를 음귀인으로 삼는다.
또한 술(戌)은 천라(天羅)로 귀인이 임하지 않으니 건너뛰며 임(壬)의 덕은 유(酉)에 있고 정(丁)과 丁-壬合木 간합하니 정(丁)은 유(酉)를 음귀인으로 삼고 신(申)은 후천의 곤(坤)으로 귀인을 일으키는 곳이니 재림하지 못하고 건너뛰며 계(癸)의 덕은 미(未)에 있고 무(戊)와 戊-癸合火 간합하니 무(戊)는 미(未)를 음귀인으로 삼는다.
결론적으로 일간 갑무경(甲戊庚)은 丑-未를 기뻐하니 소와 양이 귀인이고 을기(乙己)는 子-申을 기뻐하니 쥐와 원숭이가 귀인이며 병정(丙丁)은 亥-酉를 기뻐하니 돼지와 닭이 귀인이고 신(辛)은 寅-午를 기뻐하니 호랑이와 말이 귀인이며 임계(壬癸)는 巳-卯를 기뻐하니 뱀과 토끼가 귀인인데 사주원국의 귀인이 길신이면 길함이 배가 된다.
천을귀인(天乙貴人)의 통변법
1.사주원국의 천을귀인이 있으면 예술/문학/학문적 재능을 보이며 다재다능하다.
2.천을귀인은 십이운성 장생-건록-제왕을 좋아하고 사-절과 동주하면 길함이 사라진다.
3.천을귀인은 간합-지합을 좋아하고 형-충-파-해-공망이 되면 한평생 고생이 많다.
4.사주원국의 천을귀인이 길신이면 길함이 배가되고 운로인 대운/세운에서 재차 천을귀인을 만나면 크게 발복한다.
조모씨
1960년 12월 11일 해시 충북청원출생 (남자/음력)
대운천간 임수(壬水)는 일간에 대한 식신이며 길신으로 사주원국의 시상 정관 정화(丁火)를 丁-壬合木 목기로 기반(羈絆)되는 기신으로 작용하는 시상 정관 정화(丁火)가 변하여 길신으로 돌아서는 것이라 전화위복이다.
상황이 이럴 진데 대운지지 진토(辰土)가 합세하여 사주원국을 申-子-辰 삼합 수국을 건설함은 대세를 따르는 식상운의 절정이라 타고난 재주/재능을 발휘하고도 남음이 있다.
이때 사주주인공은 울산의 H중공업 기술직으로 입사해 근무하던 중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제27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장식미술부분에서 금메달을 받아 세상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하였는데 바로 1983년 그의 나이 23세의 일이었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세운천간 계수(癸水)는 일간에 대한 상관이며 길신으로 사주원국의 월상 인수 기토(己土)를 己-癸상충으로 가격하고 다시 시상 정관 정화(丁火)를 丁-癸상충으로 파극하는 것은 지지의 뿌리를 두지 못하는 기신 기토(己土)와 정화(丁火)를 제거하는 것이라 그 흉의가 일시에 사라지고 있다.
더욱 좋은 것은 세운지지 해수(亥水)가 합세하여 사주원국을 亥-子-丑 방합 수국을 이루고 있음인데 이는 천을귀인(天乙貴人)에 해당하는 월지 인수 축토(丑土)가 합을 하여 길신으로 돌아서는 순간이며 그 길함이 배가 됨을 알 수 있다.
사주해설
경(庚) 일간 축(丑)월에 태어나 득령(得令)하였으며 일지 비견 신금(申金)에 득지(得地)하고 그 속에 뿌리를 둔 년간 비견 경금(庚金) 및 월상 인수 기토(己土)가 투출하여 일간을 생조하는 것은 일간의 천군만마를 얻는 것과 진배없음이라 신왕으로 귀착한다.
이렇게 일간이 신왕하면 외격의 종격/가종격으로 돌아가지 않는 한 이를 적절히 억제하는 기운이 필요한데 마침 년지 상관 자수(자수)와 시지 식신 해수(亥水)가 자리 잡고 있는 중에 시상의 정관 정화(丁火)가 투출하여 일간을 극루(극루) 함은 능히 신왕한 일간을 억제하고도 남음이 있음이라 종하지 않으며 내격 준한 용신을 설정함이 마땅하다.
그러나 월지 식신 축토가 수기를 머금은 습토로 亥-子-丑 방합 수국을 이루고 다시 申-子합수 준삼합(準三合)을 투합하여 동일오행 수기(水氣)로 돌아서는 것은 강력한 지지 수국을 이루고도 남음이 있음이라 일간을 비롯한 월상 인수 기토(己土)와 시상 정관 정화(丁火)의 의지처를 상실하고 말았는데 그렇다면 강력한 왕신 수기(수기)를 따를 수밖에 없다.
고로 왕쇠의 격국은 외격(外格)의 가종아격(假從兒格)을 성격하며 용신은 대세를 따르는 식상 수기(水氣)를 용신하고 이를 생조하는 비겁 금기(金氣)와 재성 목기(木氣)를 길신으로 삼는데 운로에서 들어오는 비겁 금기(金氣)는 일간의 뿌리가 되므로 사용할 수 없다.
이렇게 사주 격국과 용신을 설정하고 사주원국을 자세히 살펴보니 월지 인수 축토(丑土)가 일간을 주동하여 천을귀인(天乙貴人)에 해당하고 지지 亥-子-丑 방합 수국을 건설하는 것은 본장에 준한 천을귀인(天乙貴人)의 길함이 절정이라 귀격임에 틀림없다.
더욱 좋은 것은 사주 내 용신의 강령함과 더불어 형/충으로 인한 파극(破剋) 됨이 없다는 것이며 더하면 기신으로 작용하는 월상 인수 기토(己土)와 시상의 정관 정화(丁火)가 지지의 뿌리를 두지 못하는 것은 더 이상 왕신 수국을 대적할 수 없음이라 운로에서 재차 길신을 맞아 제거해준다면 큰 발전을 이룰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위 사주주인공은 2003년 계미(癸未)년 스위스에서 열린 제37회 국제올림픽대회 장식미술분야 심사위원에 위촉되어 화제였는데 대학교수나 기업체 최고경영자 등이 주로 맡는 국제기능올림픽 심사위원에 기업체 근로자가 위촉된 것은 이례적이었으며 특히 중졸학력으로 대기업에 입사해 주경야독으로 대학까지 마칠 수 있었던 것은 지극정성인 아내의 내조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회고하고 있다.
도표에서 보면 대운천간 갑목(甲木)은 일간에 대한 편재며 길신으로 사주원국의 년간과 일간 경금(庚金)을 甲-庚상충으로 가격하는 것은 쟁재(爭財)의 성질을 갖는 것이라 무언중에 금전-재물-보증-채무-부친관련 불리함을 암시하고 있다.
이때 사주주인공은 가까운 지인에게 빌려준 돈을 받지 못해 속을 끓이고 있었는데 설상가상으로 부친마저 지병으로 세상을 등지고 말았으니 이시기가 사주주인공에겐 가장 힘든 시기였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라 하겠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월상 인수 기토(己土)가 중재에 나서 甲-己合土로 흉의를 완화하고 있다는 것이며 특히 2003년 계미(癸未)년을 맞이하는 것은 인성운의 장점을 유감없이 발휘하는 형국이라 대길한데 세운천간 계수(癸水)가 일간에 대한 상관이며 길신으로 사주원국을 己-癸상충 및 丁-癸상충으로 가격하는 것은 지지의 뿌리를 두지 못하는 천간의 기신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음이라 그 흉의가 사라지고 있다.
상황이 이럴 진데 세운지지 미토(未土)가 합세하여 대운지지 오화(午火)를 午-未합으로 다스려 子-午상충을 해극하고 다시 사주원국의 시지 식신 해수(亥水)를 亥-未合木으로 대접하고 있음인데 이것은 바로 세운지지 미토(未土)가 천을귀인(天乙貴人)으로 합을 하여 길신으로 돌아서는 순간이라 어찌 그 발복함을 말로 다할 수 있겠는가?
지금은 퇴사 후 독립하여 다니던 회사에 필요한 제품을 조달하고 있음을 보고 있는데 이것은 바로 선천적으로 타고난 명(命)을 바탕으로 펼쳐지는 운(運)의 변화무쌍함이 끝이 없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라 사주학(四柱學)의 끈을 놓지 못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운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