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한복 바로 입기
1. 머리말
우리의 전통의상인 한복은 누구에게나 잘 어울리는 우아한 옷이며, 어느 민족의 옷과 비교하여도 아름답고 고상함을 자랑할 만한 옷이다. 삼국시대에는 대체로 유(襦).고(袴)와 상(裳).포(袍)를 중심으로 한 복장으로 관모(冠帽).대(帶).화(靴) 또는 이(履)가 첨부된 북방 호복(胡服)계통의 옷이었다. 저고리는 길이가 엉덩이까지 긴 승려들이 입는 동방과 비슷한 것으로 허리에는 띠를 둘렀고 깃과 도련, 소맷부리에 선을 두른 옷이었다. 조선시대에는 저고리 길이가 짧아지고 옷고름을 매게 되었다.
색깔과 직물에 있어서도 복식 금제를 받아 서민들은 주로 담백한 색조나 흰색의 소박한 재료로 만든 옷을 입었고, 남여 복식은 물론 계급과 신분에 따른 의례복식과 일반복식의 구분이 있었다.
성인 남자의 평상복은 바지, 저고리, 조끼, 마고자가 있고, 손님을 맞이할 때는 집에서도 두루마기를 입고 갓을 반드시 쓰는 것이 예의였다. 여자의 평상복으로서는 치마와 저고리를 입었고, 방한용으로는 배자, 마고자, 두루마기 등을 입었다. 조선시대 궁중예복에는 스란치마, 대란치마, 당의(唐衣), 원삼(圓衫), 활옷(闊衣)이 있었다. 개화기에는 양복과 양장이 들어왔으며, 한복을 개량하여 짧은치마와 긴 저고리를 착용하여 활동하기에 편리하게 하였고, 양말과 구두를 신었으며 장옷 대신 양산을 들고 다녔다. 아래에서 한복 예절 중에서도 남여의 한복 바로 입는 방법에 대해서 언급하기로 한다.
2. 한복 바로 입는 법
(1) 여자 한복
1) 치마 입는 법
. 잘 갖추어 입은 속옷은 겉옷의 실루엣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속옷을 잘 입어 야 한복선의 아름다움을 살릴 수 있다. 옛날의 여성들이 착용하였던 치마아래속옷은
다리속곳, 속속곳(內襯衣),고쟁이(또는 바지), 단속곳, 너른바지, 대슘치마, 무지기 등 여러 겹의 속옷
을 입어서 치마의 풍만 감을 살렸으나 지금은 속바지, 속치마 등을 입는다.
. 내의를 입은 다음 그 위에 속바지와 속치마를 입고 속적삼을 입는다.
. 치마와 속바지가 달라붙지 않도록 입는 속치마는 겉의 치마보다 2~3㎝ 정도 짧게 입는다.
. 속치마를 갖춰 입은 위에 치마를 입고, 앞에서부터 뒤로 돌려 치마끈을 교차 시킨다.
. 치마 입을 때는 치마 안자락과 뒷자락 겹치는 부분은 층이 나지 않도록 가지런히 여미고, 뒷 중심에서
양쪽으로 7 ~ 10㎝정도 여민다.
이때 치마 자락은 이 때 겉자락이 왼쪽에 오도록 하여 왼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입는다.
. 오른 폭 끈은 겨드랑이 아래쪽으로 빼서 앞으로 돌린다.
. 치마를 입은 후 치마끈을 앞가슴 위에서 꼭 묶어준다.
2) 옷고름은 남성의 방법과 같다.
3) 나이에 어울리는 색상 고르기
. 미혼 여성은 꽃 분홍치마, 노랑 저고리
. 새색시는 다홍치마, 연두저고리
. 젊은 부인은 감색치마, 흰 저고리 , 짙은 색 저고리는 화사한 색 등 명도 차이를 크게 해 명확한 느낌
치마가 감색, 검정, 밤색일 경우에 저고리 색은 빨강, 비취색, 귤색 등
. 중년 이상 부인은 감색치마, 옥색 저고리 아래위 모두 중간 톤을 고르고 치마가 저고리보다 약간만
어둡게 해준다. 팥 색 치마와 연한 미색저고리, 연보라색 치마와 연두 또는 꽃분홍색 저고리가 잘 맞는
한 벌이 된다.
. 자주치마에 회색저고리는 세련된 느낌을 주고 연령에 관계없이 잘 어울림
(2) 남자 한복
1) 대님 매는법
① 작은사폭이 왼쪽으로 가도록 입는다.
② 허리 오른쪽의 큰사폭을 허리 중앙에 접어서 왼쪽의 작은사폭을 접어서 포갠 후 허리띠를 매고
여분이 저고리 아래로 내려와 겉으로 보이도록 한다.
③ 바지의 배래 솔기 선을 안쪽 복숭아 뼈에 고정시킨다.
④ 바지폭을 모아서 뒤로 돌려 끝이 바깥쪽 복숭아 뼈 위에 오도록 한 다.
⑤ 대님 한쪽 끝을 배래선에 고정시킨 다음 두 번 돌려서 묶어 준다.
너무 조여지지 않도록 묶어 마무리 한다.
2) 고름 매는법
① 오른쪽 짧은 고름을 왼쪽 긴 고름 위로 포갠 다음 묶는다 .
② 긴 고름으로 고를 만들고 짧은 고름으로 고를 감아서 묶는다.
너무 조여지지 않도록 당겨주면서 모양을 만든다.
③ 마무리된 고름의 모양. 이때 두 개의 고름은 길이가 약간 차이가 난다.
④ 저고리는 동정니가 잘 맞도록 맞춰서 목선을 깔끔하게 정리해서 입는다.
깃고대와 어깨솔기가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약간 앞으로 숙여입어야한다.
속적삼이나 바지허리 부분이 저고리 밑으로 보이지 않도록 조심 할 것.
3) 두루마기
. 남자는 외출 시에는 반드시 두루마기를 입어야 하며, 마고자 차림으로 외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실내에서도 두루마기는 벗지 않는 것이 바른 예의다
. 두루마기를 입을 때는 속에 입은 한복이 완전히 감춰지도록 할 것.
(3) 한복 차림의 바른 예의
. 기본적인 것은 청결과 몸가짐이다. 신부들의 경우 처음 입는 한복이기 때문에 쩔쩔매기 일쑤지만,
한복 입는 것에 자신감을 갖고 시작하면 된다.
. 길을 걷거나 계단을 오를 때는 치맛자락을 살짝 잡아 땅에 끌리지 않도록 주의
. 신발 속에는 버선을 신는데 버선은 수눅(시접)이 바깥쪽을 향하게 하며,
. 앉을 때는 치맛자락이 구겨지지 않게 하고 무릎을 굽혀 두 손을 올려놓는 다.
. 등을 기대고 앉으면 옷도 구겨지거니와 어른들 보기에도 좋지 않다.
. 속옷은 반드시 갖춰 입는다.
. 한복의 맵시는 속옷을 제대로 갖춰 입었을 때 살아난다.
. 저고리는 약간 앞으로 숙여 입는다.
. 화장은 은은하게, 머리는 단정하게 빗는다.
. 버선을 신어야 진정한 한복의 태가 난다.
. 때와 장소에 따라 제대로 갖춰 입는다.
. 계절에 어울리는 소재를 선택한다.
3. 맺음 말
의식주(衣食住) 생활 중에서 의(衣)를 먼저 내세우는 것은 예절 적 측면이 강하기 때문이며, 한복을 입었을 때에는 예의범절에 맞도록 몸가짐에 더욱 주의하여야겠다. 옛날 한복을 입은 군자(君子)는 비오는 날에도 천천히 걸었고 처마 밑에서도 비를 피하지 않았다고 한다.
우리 옛 조상들은 봄과 가을, 여름, 겨울에 따라 소재를 달리하여 계절에 맞는 옷을 입어왔으며, 제철에 맞는 옷감 선택은 한복의 멋과 품위를 살렸다. 요즈음 명절 등에 연예인 혹은 사회 저명인사들이 TV에 출연할 때 남여 한복을 많이 입고 나오는데 남자는 두루마기까지 입는 것이 예의이고 여자는 방한복이기에 실내에서는 벗어야만 전통 한복을 올바르게 입는 것이라고 하겠다. 요즈음엔 편리한 양복을 많이 착용하고 용도에 맞게 개량된 한복이 멋과 아름다움을 이어가고 있다. 개량한복이 편리하긴 하지만 행사시엔 우리의 한복차림이 단정하고 우아한 품위와 아름다움과 예스러운 멋이 풍기는 옷이라고 하겠다.
장점을 가꾸고 단점은 버리는 민족의 슬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