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머니 낭(嚢,囊)자는 주머니의 모양처럼 쓴 입 구(口)자 아래에 발음을 표시하는 도울 양(襄)자를 했습니다. 도울 양(襄)자는 옷 의(衣)자 안에 입 구(口)자, 손 수(手)자 ‘X’표를 위아래로 겹쳐 쓴 것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글자들이 들어 있습니다. 낭하(囊下) 낭중(囊中) 낭핍(囊乏) 낭저(囊儲) 낭중지추(囊中之錐) 낭저(囊底) 시낭(詩囊) 잡낭(雜囊)
아가씨 낭(娘)자는 아가씨는 여자이니까, 의부(義符)로 여자 여(女)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좋을 량(良)자를 했습니다. 좋을 량(良)자는 어질 량(良)자라고 전주(轉注)되기도 합니다. 낭자(娘子) 생낭(生娘) 애랑(愛娘) 영낭(令娘) 낭심(娘心)
이에 내(迺)자는 쉬엄쉬엄 갈 착(辵,辶)자에 서녘 서(西)자를 했습니다. 이에 내(迺)자는 서녘을 향해서 걸어간다는 뜻입니다. 해가 저물어 가는 쪽으로 걸어가는 것입니다. 삶이 끝나간다는 뜻도 있습니다. 이에 어찌할 것인가? 이에 생각하게 하는 글자입니다.
가마솥 내(鼐)자는 의부(義符)로 솥 정(鼎)자에 성부(聲符)로 이에 내(乃)자를 했습니다. 이에 내(乃)자는 생명 탄생의 시초 같이 구불구불한 도형의 그림입니다. 바로 이 자리 여기서부터 시작이라는 뜻입니다.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