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란 시장에 춘향골이란 주점이 있다는데
모주꾼들에게 평이 좋다하니 아니 들릴 수 없어
산우와 날짜를 잡아 놀러 가보기로 하였다.
<1차 산행;목동산/인릉산>
목동산-인릉산-벼락바위봉-대모산-구룡산 산행을 하고
양재시민의숲역에서 전철로 모란시장에 가는 코스.

청계산 입구역서 양박님을 만나
코카 콜라 한병을 사가지고 1번 출구로 나간다.
어제 짐빔을 한병 샀으니
산에서 버본 콕을 만들어 마실려고 산 것인데..
우연히 양박님도 버본 한병을 가지고 왔다.
집구석에 굴러 다니던 것을 상할까봐 가져왔다는데,
고급 버본이라 버본 콕으론 안먹는 것일 듯.
서초포레스타 5단지 앞으로 가서
산에 오른다.
(들머리 안내도)
날은 봄이라도 온 듯 따뜻하고
어차피 하산후에도 주점에 들릴 것이니
봄바람 쐬러 소풍이라도 나온 듯하고..

(청계산 매봉)
게다가 베낭엔
난생 첨 보는 고급양주가 있지않는가?
그러니 아무래도 산에 집중하기가 어렵다.
막걸리로 목을 축인다는 핑계로
매봉이 잘보이는 전망터 의자에서 쉬면서,
더이상 참지 못하고
고급 양주를 기어이 꺼내고야 만다.



블랑톤은 싱글 배럴 버본 위스키로
경마로 유명한 켄터키 주에서 생산되는데
병뚜껑에는 경주말이 달려있다.
말 모양이 총 8개로
이것만 모으는 마니아도 있다는
유명하고 상도 많이 탄 위스키라 한다.
각설하고 떨리는 손으로 병을 개봉하니
오래된 코르크 마개가 부숴져서리..

(위스키를 일단 물병으로 옮겨 담고)
(입이 찢어져 마신다..)
맨날 소주만 먹던 입에
모처럼 호강 한번 하려고 짐빔을 사왔는데
듯보못하던 싱글 배럴 버본이라니..
주눅이 들어 어찌 맛을 평하겠는가? 마는
아무튼 부드럽게 넘어가는 게
버본이지만 꼬냑항도 나는 듯했도다.

(253.8봉)

지도에 목동산이라 표시된 봉우리는
철조망으로 접근 금지..

(목동산)


(인릉산)
술 맛을 봤으니 어찌 느긋할 수 있으랴?
맘은 벌써 날라가 한잔하고 있는 듯하고..
법바위 쉼터 아래에서 서둘러 점심상을 편다.


우선 짐빔과 블랑톤을 비교 감상하고..
담엔 펩시 버본콕과 코카 버본콕을 비교하고
또 다시 다시 반복..

(막창 볶음밥)
그러다가 중국산 고량주 한컵과
캔맥주도 마신 듯한데..
잠깐 졸았던가? 정신을 차려보니
날은 벌써 어두어졌고
몸은 강남역행 버스 안에 있다..
지금시간은 6시반,
벼락바위에 도착후 6시간이나 경과..
하지만 점심 먹은 것만 기억이 나니
어디서 신선놀음이라도 했나? 하여
핸폰 사진을 뒤져보니
버스타기 전 아래와 같은 사진이 더 발견 되었다.

(두시경)

(두시반경)


(다섯시경..)
차고 간 시계는 안보이고
양박님은 귀가후 옷을 찾으러 벼락바위까지
야등을 한번 더 하였다는후문..
2021.02.21 일요일
<2차 산행;구룡산/대모산>
지난 산행후 반성의 시간을 가지다가
토요일 오후 복수혈전의 시간을 갖는다.
양재시민의숲역-구룡산-대모산- 모란시장의 코스이다.

반성도 많이 한 만큼 각오도 대단하여
입산시 주류반입을 안하려다가..


(하루전 예약해야 살 수 있는 편의점 김밥)
양박님이 사전 주문으로만 구입이 가능한
어찌보면 쉽게 먹을 수 없는 김밥을 가지고 와서리..
막걸리 딱~ 한 통만 사가지고 입산 한다.



(들머리는 코이카 건물 옆 쪽문이다.)

(구룡산 정상 아래 전밍대)






그래도 인릉산보다는 전망구경이 가능하다.
건너편 인릉산을 쳐다 보며..
어찌 저산을 다녀오며 하루 종일 걸렸던고?

(오래된 철탑)



(구룡산 정상에도 조망명소가 있다.)

(안부로 길게 내려갔다 올라가면)


(대모산 정상이다.)
정자가 있는 258.5봉 직전에서
철조망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


LH 강남 힐스테이트 아파트에서 버스 타고
복정역으로 가서 지하철로 모란 시장에 간다.
<춘향골>
ㅁ 자로 철판이 있고 그주위에 둘러 앉아
주인이 고기를 구어주면 먹는 시스템이다.
비닐 천막을 열어놔서 반쯤은 열린 공간이니
코로나에서도 조금은 자유롭다.



(오리고기)
오리고기나, 돼지 부속 고기를 무한 리필 하여 주는 데,
소주는 한병에 8000원이나
오리와 돼지를 같이 맛보려면 한병당 만원을 내야 한다.
술이 부족하여 한병 더 시켜도
병당 같은 값을 내야 하니
고기와 술을 마음껏 먹으려면 그리 녹녹치 않다.
머리를 굴린 끝에
약속한 중턱님 오기까지 각자 한병으로 버티다가 ..


(옆 테이블 돼지부속고기)
시간에 늦게 온 중턱님이 고기는 싫다하기에..
근처 편의점서 입가심으로 한잔 더 하고 귀가한다.




2021.02.27 토요일, 순천 여행 하루 전날.
첫댓글 30여년전까지는 성남이 나와바리라 모란장에 자주 갔었지요
그 당시 소주가 3,4천원 정도 했었는데...
구리한 도야지 냄새땜시 쐬주만 벌컥벌컥,,흠
요즘은 살코기 오리고기도 함께 파나봅니다.
ㅎㅎ 한번 호기심에 가 봤는데 부러 갈 마음은 안들더군요. 즐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