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제자 안회는
학문이 뛰어났지만
지독한 가난으로도 유명했다.
워낙 가진 게 없어
끼니를 거르는 일이 허다했는데도
배움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논어 옹야편엔
공자가 이런 안회를
칭찬하는 장면이 나온다.
“한 그릇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로
누추한 곳에 살면
다른 이는 근심을 견디지 못할 진데
안회는 즐거움을 잃지 않으니 참으로 어질다.”
청빈한 선비를 이르는
‘단사표음(簞食瓢飮)’이 여기서 나왔다.
공직자 재산공개 첫해였던 1993년
조무제 전 대법관은
신고 대상 고위법관
103명 중 꼴찌를 했다.
당시 그의 재산은
25평짜리 아파트 한 채를 포함해
겨우 6400만원이었다.
5년 뒤 대법관에 임명될 때도
7200만원에 불과했다.
퇴임 후엔 ‘전관’이라는
달콤한 유혹을 뿌리치고
교수직을 택했다.
법원조정위원으로 근무할 때는
일에 비해 수당이 너무 많다며
삭감을 요청한 적도 있다.
꼭 가난해야 청빈한 것은 아니다.
김장하 진주 남성당한약방 원장은
부자여도 재물이 목적이 아닌
삶이 가능하다는 걸 보여줬다.
그는 한약방을 하며 번 100억원 넘는 돈을
수십 년에 걸쳐 아낌없이 나눴다.
지역사회 고학생과
민주화운동을 하던 이들을 도왔고,
차별과 불평등이 있는 곳엔 어디든 나섰다.
자신을 위해 남긴 건
작은 집과 허름한 양복 몇 벌이었다.
청빈의 형태는 다양해도
관통하는 공통점은 있다.
그런 삶을 당연하게 여길 뿐,
절대 내세우지 않는다는 점이다.
부족한 환경조차 충분하다 여겼던 안회는
결국 벼슬길에 나서지 않았다.
조 대법관은 ‘딸깍발이 판사’란
별명을 좋아하지 않았는데
법관이 그런 식으로 포장되는 걸 경계해서다.
김 원장은 자신을 알리는
모든 인터뷰를 거절했다.
연초 김 원장의 일생을 다룬 책이 출간됐는데
제목부터 『줬으면 그만이지』다.
매일 라면을 먹고,
낡은 운동화를 신고,
20년 동안 같은 안경을 쓰고,
아버지가 물려준 차를 탈 만큼
아끼고 살았다던 한 국회의원이
가상화폐 투자 의혹으로 수사 대상이 됐다.
현대판 단사표음인 줄 알았는데
계좌에 수십억을 쌓아둔 걸 보면
돈이 없어 라면을 먹은 건 아닌 듯하다.
라면을 엄청 좋아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나도 한달에 라면 두박스 먹는다.
할마이가 그런다
"할아부지 밥을 잡솨 밥을
라면이 더 비싸."
우얀둥
가난 코스프레 하며
청빈 호소인을 자처 하는 그 국회의원
사법적 판단은 둘째 치고
가난을 모독한 죄는
형량이 만만치 않을 것 같다.
우중충 하니 날씨 참 조으다.
참고: 딸깍발이
가난한 선비를 이르는 말
카페 게시글
자유게시판
라면을 사랑한 국회의원
차라리
추천 3
조회 41
23.05.18 10:46
댓글 8
다음검색
첫댓글 헛웃음이 나올 뿐 이지요
그럴려고
죽자 사자 국회의원 하지않겠어요.
차라리님을
국회로
모셔야 하는데
말이지요 ㅎㅎ^^
핫핫핫핫
제가 국회의원 하면
제주도나 독도 팔아 잡술걸요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젊어 입신 하지 마라는
옛 선인들의 말씀
딱 이런 경우죠
나뿐시끼
신고된 재산 외에는
다 국고로 환수해야쥬
하하하하
저는 능력 이라고 봅니다.
아무나 할 수 있는게 아니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