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어텍스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빗물은 막아주고 투습, 즉 땀과 같은 습기는 뺴준다는 기능성 원단이요. 방수과 발수가 있는데, 발수는 빗물이 또로로 떨어지는 겁니다. 방수보다 더 성능이 좋은 거죠.
고어텍스는 방수, 발수는 되는데 투습은 거의 효과가 없습니다. 나가야할 땀이 100이라면 10 정도만 빼준다는 느낌이랄까요. 생각해보세요. 땀은 나오는 순간 잠깐 습기가 되지만 곧바로 물방울이 돼 이마 등 피부에 맺힙니다. 고어텍스 원단이 빗물을 중간에서 막아주니 물방울이 된 땀이 나갈 구멍도 없는 거죠. 고어텍스는 투습이 아닌 방수, 발수에 초점을 맞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2. 방수, 발수도 오래 가지 않는다.
고어텍스 옷을 빨거나 비오는데 몇 번 입고나면 발수 성능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등산복 전문 세탁 매장도 있고 방수 스프레이로 있습니다. 그거 쓰고 나면 그나마 있는 투습 성능이 더 떨어지겠죠. 결론적으로 고어텍스 의류는 비싸기만 할뿐 가성비는 떨어집니다. 사실 웬만한 빳빳한 원단의 자켓(전문용어로 하드쉘이라고 합니다)은 폭우가 아닌 이상 웬만큼 방수가 다 됩니다. 고어텍스가 들어간 등산화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방수가 잘된다는데 산다니면서 첨벙청범 물 밟을 일이 거의 없습니다. 특히 등산화 모든 부위에 고어텍스를 골고루 쓴 게 아닙니다.
3. 비오는 날, 산가지 않는다.
최선은 비 예보가 있으면 산 가지 않는 겁니다. 길은 미끄럽고 사람도 없고 정상 가봐야 구름 때문에 아무것도 안보이고 춥고 등산가방 젖어 안에 음식물도 젖는데 그냥 집에서 쉬는 게 낫습니다. 다만 날씨예측이 불가능하고 다양하게 변하는 1500미터 이상 높은 산을 가신다면 방수자켓을 비상용으로 꼭 챙겨가셔야 합니다.
4. 등산은 땀내는 운동이 아니다.
땀이 그렇게 나는데 등산이 땀내는 운동이 아니라뇨. 맞습니다. 등산은 땀이 나는데 그 땀과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해주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가장 손쉽고 과학적이고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은 그냥 옷을 벗는 겁니다.
지난 겨울, 태백산을 간 적 있습니다. 출발점인 주차장 온도가 영하 15도입니다. 정상은 서있기 힘들 정도로 거센 바람까지 불어 체감 온도가 아마 영하 30도에 달했을 겁니다. 그런데 어떤 분이 반팔에 땀을 뻘뻘 흘리며 산을 오르더군요. 상상이 가시나요? 저 역시 올해 3월에 지리산과 한라산을 다녀오면서 반팔로 정상까지 올라갔습니다. 숨이 차고 몸은 더운데 땀은 하나도 나지 않는, 신기한 경험을 했습니다.
5. 그럼 왜 자켓이 필요한가?
산 중간이나 정상에서 잠깐 쉴 때 바람을 막아주고 보온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덥기 전에 벗고 춥기 전에 입어라. 이게 등산복 입는 방법(레이어링)입니다. 정상 부근에 거의 다 왔다 싶으면 그 아래에서 옷을 두세겹 겹쳐있어야 춥지 않게 정상에서 경치도 보고 간단한 라면이라도 드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설악산 정상 부근엔 이런 안내문도 있습니다. “이제 곧 정상이고 추우니 옷을 겹쳐 입어라” 특히 겨울 등산에서 비바람과 눈을 막아주는 고기능성 자켓은, 폼이 아니라 생존장비이기도 합니다.
6. 겨울엔 어떻게 입어야 하는가?
3겹이 기본입니다. 먼저 등산 중엔 땀을 잘 배출해주는 속옷(베이스) 또 그 땀을 밖으로 배출해주는 플리스(미들)를 입고 산에 오릅니다. 땀이 진짜 많은 분이라면 플리스만 입고 올라가도 됩니다. 이건 본인이 테스트해보면 압니다. 중요한 건 아무리 영하의 날씨라도 열과 땀이 나지 않게, 서늘하게 가야 한다는 겁니다. 중간에 쉴 때는 그 위에 바람을 막아주는 자켓만 겹치면 됩니다.
추위를 많이 타신다면 자켓 안에 솜으로 된 조끼나 패딩을 하나 더 입어도 됩니다. 오리털이 아닌 솜 패딩을 추천한 이유는, 오리털은 땀에 젖으면 보온 성능이 떨어지고 무거워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전문 등산 브랜드 보온패딩 중에 솜으로 된 패딩이 오히려 더 유명합니다.
절대 하시면 안되는게 두꺼운 패딩을 입고 계속해서 산에 오르는 행위입니다. 해보시면 알겠지만 덥습니다. 그런데 더운 걸로 끝나는 게 아닙니다. 배출되지 못한 땀이 결로가 되기도 하고 체온을 급격하게 뺏어 사망한 분도 있습니다.
5. 그렇다면 여름은?
여름에 옷을 홀딱 벗고 등산하는 게 최선이겠지만 그럴 수 없죠. 여름엔 땀을 배출하지 않고 흡수해 머금는 면 소재 옷만 피하면 됩니다. 그리고 더위를 피하기 위해 의외로 긴팔, 긴바지를 입어야 합니다. 햇볕에 피부가 닿으면 타기도 하고 더 덥기 때문입니다. 서늘한 냉감 소재의 옷만 잘 입어도 됩니다. 사실 저같은 경우 여름엔 벌레와 더위 때문에 의외로 등산을 잘 안합니다.
6. 등산화는?
산에서 가장 많은 사고가 낙상사고입니다. 등산화는 아무리 작은 산을 가도 꼭 신고 가세요. 발목까지 오는 크고 무거운 등산화가 싫다면 트레킹화로 충분합니다. 동네 뒷산이라도 런닝화 같은 운동화 신고 가다가 미끄러질 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 발목을 잘 다쳐서 발목까지 보호해주는 가벼운 등산화(트레일러닝화)를 주로 신습니다.
7. 그래서 브랜드는?
자켓 하나가 10만원 하는 브랜드부터 100만원 넘는 브랜드까지 다양합니다. 비싸면 나름 기능이 좋지만 가격 만큼 그 기능을 다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고가 등산의류는 기능성보단 브랜드빨입니다. 이건 개인취향이니 선택의 문제입니다. (좀 웃긴 건 해외 유명 등산 브랜드의 비싼 고어텍스 자켓을, 왜 지하철타고 학교갈 때 입고 가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뭐 선택의 문제니까...)
또 고가 의류일수록 한 라인업에 여러 모델을 두고 그에 따라 가격도 10만원 이상 크게 차이가 나는데 성능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특히 해외 브랜드의 경우 정말 고산지대 등산을 감안해 만든 옷이 많은데 우리나라 등산 환경에 비하면 과하다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브랜드 안 따진다면 그냥 쭉쭉 늘어나는 스판 원단이 최고입니다. 국산 등산 브랜드 중 “XX이면 충분하다”고 광고하는 브랜드 있는데 매장가서 옷 만져보니 정말 쭉쭉 늘어나더군요. 가격은 외국산의 1/20 정도입니다. 다만 디자인과 색감은 개취입니다.
8. 마지막으로...
제가 대학생 때 산 다닌 사진을 이제야 보니까 그냥 운동화에 면바지, 면티 입고 다녔더군요. 그땐 다람쥐처럼 날아다녔는데 몸도 지금보다 훨씬 가벼웠고 허벅지 근육도 탄탄했을 겁니다. 결국 등산은 장비가 아닌, 가벼운 몸과 허벅지로 하는 운동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땀과 열이 많이 나는 운동이니 사실 많은 옷을 살 필요도 없죠.
가을 단풍이 절정을 향해 가고 있습니다. 가볍게 준비하시고 동네 뒷산이라도 가보시는 게 어떨까요?
울언니가 진짜 산타는 거 좋아하는데 .. 두꺼운 양말에 스케쳐스가 젤 편하고 좋다고 함.. 스케쳐스 바이럴 아니고 레알 은근 신발 편하고 적당히 푹신해서 등산하기 좋다고 함 밑 바닥도 안 미끄럽고,,, 울 동네 산 개 암벽산인데 언니 그렇게 신고서 다람쥐처럼 다님.. + 눈 온 담날이나 그런 거 땜에 스틱있음 더 편하다고 함ㅋㅋ
나 그냥 5-10만원 선 트래킹 화 + 쿠팡 스틱 + 군용 깔깔이 입고 히말라야 안나푸르나 다녀왔는데.. 장비는 취향도 주변 시선도 자기 만족감도 다 반영되는 것 같아서 ㅋㅋㅋ 첨부터 풀세팅 할 필요도 없고 무조건 좋은 거 살 필요도 없는 것 같아 ㅋㅋ 취미가 중간에 어떻게 바뀔지도 모르구
울언니가 진짜 산타는 거 좋아하는데 .. 두꺼운 양말에 스케쳐스가 젤 편하고 좋다고 함.. 스케쳐스 바이럴 아니고 레알 은근 신발 편하고 적당히 푹신해서 등산하기 좋다고 함
밑 바닥도 안 미끄럽고,,, 울 동네 산 개 암벽산인데 언니 그렇게 신고서 다람쥐처럼 다님.. + 눈 온 담날이나 그런 거 땜에 스틱있음 더 편하다고 함ㅋㅋ
스틱 등산화 필수임 ㄹㅇ
고어텍스는 비상 시에 필요한 옷임 산에서 위험한 상황이 발생했는데 비가 온다던가
몇십으로 목숨을 구하는거 흔치 않음
평소엔 그닥 필요없긴하지 ㅋㅋㅋ 좋은건 많이 비싸고
나 그냥 5-10만원 선 트래킹 화 + 쿠팡 스틱 + 군용 깔깔이 입고 히말라야 안나푸르나 다녀왔는데.. 장비는 취향도 주변 시선도 자기 만족감도 다 반영되는 것 같아서 ㅋㅋㅋ 첨부터 풀세팅 할 필요도 없고 무조건 좋은 거 살 필요도 없는 것 같아 ㅋㅋ 취미가 중간에 어떻게 바뀔지도 모르구
ㄷ ㄷ 본새 미쳤어요
ㄷㄷ 쎄오헴ㅅ..
간지..ㄷㄷ
@강동원애인 나 12월 말에 갔는데 겉옷은 깔깔이로 충분했어 땀이 오지게 나거덩
우와 좋은 글 너무너무 고마워🧡
장비충이었다가..이제 걍 다님..그냥 입었다벗었다 편한게최고..대신 패킹작게되는지만신경씀ㅋㅋ
뭔가 기분좋은 글이다 등산 가고싶어졌어!
근데 그건있음 비쌀수록 기능에 비해 가벼워(가방에 넣을때도 입었을때도) 마냥 브랜드빨이라고 하기엔 스틱이나 등산화,겉아우터에서 차이가 있긴있음-난 등산1n년차임
속옷이나 걍 베이스상의,바지같은건 가성비챙기는 애슬레저 사도 무관(세탁기 막돌려도 아쉽지않은수준으로!)
나는 오를때는 운동되고 괜찮은데 내리막이 너무 무섭더라 잘미끄러짐 이상하게딛나.. 등산화신어도그래 그래서 산 안좋아함 올랐다가 케이블카타고내려오고싶음
오..멋있다 글이
멋있따..
진짜 꿀팁이다
좋은 글 고마워!
산 자주 안가는데 북한산 가보려니까 주변에서 밧줄잡아야돼서 장갑필요하대서 목장갑 가져가겠다니까 자꾸 등산 장갑 사라는거야 그냥 목장갑 끼고감
나 겨울철에 한라산등반했는데 진짜...내려올때가 헬이더라 ... 관절 다 나가는줄알았어 ..덜그럭거리면서 내려갔잖아.. 무릎보호대 찼는데도 관절이 다 분해되는 기분....ㅠㅠ 요샌 그래서 적당한 높이로만 다님...
꿀침고마웡
등산화는 진짜 필요하드라 ....... 몸소느낌 ㅠㅠㅋㅋㅋㅋ
삭제된 댓글 입니다.
아크테릭스?
등산팁 고마워어엇
나도 지리산 등산화 안신고 갔는데
내려올 때 진짜 무섭드라
몇번이나 중심잃고 한번 넘어지기도함 ㅜㅜ 가방때문에 안다침
무릎보호대 없이도 많이 하시긴하던데 난 무조건 했음
맞아 다 없어도 되고 기능성반팔티에 등산화만 있으면 웬만한 국내 산들은 괜찮아서 막 등산복에 몇백씩 쓸 필요가 없더라! 하나 추가하면 등산스틱은 하나 있음 좋아
동네 뒷산 가고싶은데 등산화가 없어서 미루고 미루면서 몇년째 못 가는 중..
징짜 등산화 하나 사야겟다
고마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