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이 아날로그를 쓰고 싶어한다기보다도 변화에 따르는 책임을 서로가 피하는 자세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기록된 프로세스의 발전/개선에 따르는 변화에서 따라오는 리스크나 불편을 누군가가 책임지고 밀고 나가야하는데, 하던대로 하지 왜 바꾸냐 라고 따질 사람들, 혹시 생길 문제를 책임져야 되는 부담 등으로 인해 기존 방식만 고집하다보니 자연스레 아날로그 고집이 되는것이죠.
십년전쯤에 일본 회사랑 같이 일을 한적이 있었습니다. 홈페이지 코딩이나 기능 정도 제작이야 일도 아니던 시절이었는데도 겨우 한 페이지 코딩 진도나가는데 회의를 하루 이상 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에 비해 겨우 웹페이지 기능 따위 만드는 속도가 5배,,아니 열배 이상느렸습니다. 제가 빠른 사람도 아닌데 속터져서 돌아버리는줄..제일 환장하는건 그 어렵게 합의 봐서 뭔 만들어 놓은 후 수정을 할려치면 그걸 또 이틀씩 회의를 해야 합니다. 뭐가 문제가 생길거고, 소비자가 이런 변화를 적응할까요? 등등 갖가지 상상도 못할 우려를 쏟아냅니다. 환장 하는줄..그 뒤로 일본의 아이티는 망헀다 라고 느꼇습니다. 장인정신이 필요한 업종만 살아남을것이다. 라 생각합니다.
첫댓글 USB까지 올 수나 있으려나
근데 일본은 기술이 없는 나라도 아니고 왜 그렇게 아날로그에 집착하는 걸까요?
굳이 아날로그를 쓰고 싶어한다기보다도 변화에 따르는 책임을 서로가 피하는 자세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기록된 프로세스의 발전/개선에 따르는 변화에서 따라오는 리스크나 불편을 누군가가 책임지고 밀고 나가야하는데, 하던대로 하지 왜 바꾸냐 라고 따질 사람들, 혹시 생길 문제를 책임져야 되는 부담 등으로 인해 기존 방식만 고집하다보니 자연스레 아날로그 고집이 되는것이죠.
우리나라도 빨리빨리 문화 없었으면 비슷했을거같아요. 정부나 대기업들 변화 싫어하는거보면
@converge 변화를 하려하지 않는 일본문화의 근간은 독재정권에서부터 시작한다고 봅니다. 독재정권이다보니 국민들에게 변화가 나쁘다는걸 수시로 세뇌시키죠. 끊임없는 지진, 태풍등 자연재해도 한몫 하구요.
usb 메모리를 쓰는 것도 구시대인 시대에ㅋㅋㅋㅋ 플로피 디스크라니ㅋㅋㅋ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15 21:52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15 22:36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1.15 22:47
클라우드라고, 비 내리는 구름이 아니라, 클라우드라고, 구름처럼, 클라우드라고...
그래, 클 날 일은 아니니까 걍 플로피 쓰자. 아차차. 집 쓰자. -_-;;;
이제서야?
십년전쯤에 일본 회사랑 같이 일을 한적이 있었습니다. 홈페이지 코딩이나 기능 정도 제작이야 일도 아니던 시절이었는데도 겨우 한 페이지 코딩 진도나가는데 회의를 하루 이상 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에 비해 겨우 웹페이지 기능 따위 만드는 속도가 5배,,아니 열배 이상느렸습니다. 제가 빠른 사람도 아닌데 속터져서 돌아버리는줄..제일 환장하는건 그 어렵게 합의 봐서 뭔 만들어 놓은 후 수정을 할려치면 그걸 또 이틀씩 회의를 해야 합니다. 뭐가 문제가 생길거고, 소비자가 이런 변화를 적응할까요? 등등 갖가지 상상도 못할 우려를 쏟아냅니다. 환장 하는줄..그 뒤로 일본의 아이티는 망헀다 라고 느꼇습니다. 장인정신이 필요한 업종만 살아남을것이다. 라 생각합니다.
이야...일본에서 사무기기 유지보수 하면 굶어죽는 일은 없겠네요. 전산담당 직책도 무조건 필수일것 같고. 아날로그일수록 손이 많이 가는데.
하드카피 문서도 여전히 엄청 많고.. 그걸 FAX로 보내고.. 과연 어느세월에?
뿌리깊은 아날로그 문화...
플로피도 디지털인데....-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