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히 생각해서
위꼬리는 매도세의 존재, 아래꼬리는 매수세의 존재,
장대양봉은 매수세의 힘, 장대음봉은 매도세의 힘으로 판단하면 됩니다.
... 정말 쉽게 설명해서 이대로는 끝내기 싫은 수준이군요.
꼬리라는 것은 매도세와 매수세의 전투결과입니다.
위꼬리는 매도세가 이긴것이고
아래꼬리는 매수세가 이긴 것이죠.
즉, 위꼬리는 매도세가 더 큰 것이고
아래꼬리는 매수세가 더 큰 것입니다.
... 하지만 이렇게 단편적인 설명으로 뭐가 될까요...?
전에 제가 포스팅 한 글을 붙이지요...
1. 캔들의 구성
캔들은 네가지 데이타(시가, 고가, 저가, 종가)로 이루어집니다.
이 네가지만 있으면 캔들을 그릴 수 있습니다.
시(작)가 : 그 날의 시장에서 처음으로 거래된 주가
고가 : 그 날의 시장에서 가장 높게 거래된 주가
저가 : 그 날의 시장에서 가장 낮게 거래된 주가
종(료)가 : 그날의 시장에서 마지막으로 거래된 주가
이제 캔들을 그려 봅시다. 그릴 줄 알아야 더 이해가 됩니다.

1. 지수가 100에서 시작하였습니다. 시가는 100
2. 지수가 107까지 올라갔습니다. 고가는 107
3. 지수가 93까지 떨어졌습니다. 저가는 93
4. 지수가 다시 올라 104에서 시장이 끝났습니다. 종가는 104
캔들을 처음 볼때는 이러한 네가지 단계를 거쳐서 생각해야 합니다. 이럼으로써
굳이 일봉차트를 보지 않고도 하루의 지수 변화를 알고, 이후의 행보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2. 캔들의 해석
캔들의 형태로는 십자형이니, 비석형이니, 망치형이니, 유성형이니, 여라기지가 참 많이 있습니다.
거기다가 멈추지 않고 2개, 3개를 연이어 해석함으로써 정말 수십개로 형태가 나누어집니다.
하지만 실전매매에서는 그렇게 하나하나 따로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약간의 경험과 감각만 있으면 되는 겁니다.
크게 생각해서 "여기까지 올라갔다, 여기까지 올랐다 떨어졌다, 여기까지 떨어졌다 다시 올라갔다,
여기까지 떨어졌다." 대충 이렇게 판단하면 되는겁니다.
위의 그림을 보고 해석하겠습니다.
1. 만약 이 그림그대로 시장이 끝나면, 주가에 대한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것입니다.
멈춰있는 상태입니다.
2. 매수세력이 107까지 주가를 끌어올린 것으로써, 장대양봉이라고 합니다.
강력한 매수세를 나타냅니다.
3. 매도세력이 107부터 93까지 팔아버린 것으로써, 장대음봉이라고 합니다.
강력한 매도세를 나타냅니다.
4. 매수세력이 107까지 올렸는데, 매도세력이 93까지 떨어뜨렸습니다.
하지만 매수세력이 다시 104까지 올림으로써, 매수세력의 강함이 돋보입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주말되세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감사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