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까지 수출실적은 10억2천만달러, 연말까지 12억달러 전망
세계인들이 즐기는 케이(K)-라면이 역대 최대 실적을 돌파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약진 중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2024년 10월말 기준(누적, 잠정), 라면 수출이
전년보다 30% 증가한 10억 2000만달러를 달성해 역대 최고 실적을 돌파했다고 밝혔습니다.
2023년 라면 연간 수출액인 9억 5200만달러를 10개월 만에 달성한 것입니다.
라면 수출은 지난 2014년(2.1억불) 이후 9년 연속 성장해왔습니다.
수출 증가세는 올해도 계속돼, 4월에 처음으로 월 수출액이 1억불을 넘어선 이후 10월까지 매월 1억불 이상
수출됐습니다.
세계에서 라면 소비량이 가장 많은 중국에는 케이(K)-라면을 2억 1천만달러, 미국에는 1억8천만달러를
수출했습니다.
케이 라면 수출 확대는 한국 드라마, 영화 등 케이-콘덴츠 확산과 한식에 대한 관심 증가를 배경으로 미국,
유럽 등 전세계적으로 소셜미디어(SNS)를 통한 한국 라면 먹기 챌린지가 유행한 가운데, 기업의 현지에
맞는 제품개발과 시장 개척을 위해 바이어 발굴 및 박람회 참가 등 정부의 지원이 더해져 해외 주요 대형
유통매장에 입점이 확대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요 수출기업은 라면 수출 성과를 국내 소비자와 함께 나누고 물가 안정에 동참하기 위하여 11월 한달
간 국내 대형마트, 이커머스, 편의점 등에서 할인행사를 개최합니다.
농심은 대표 제품인 신라면, 짜파게티, 너구리 등 30여 개 제품을, 불닭볶음면을 필두로 해외에서 한류
열품을 일으키고 있는 삼양라면은 불닭볶음면, 삼양라면, 나가사끼 짬뽕 등 10개 제품을 할인 판매합니다.
한편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지난 1일 라면 수출기업들과 함께 라면 특화 편의점인 '씨유(CU) 라면
라이브러리 1호점(홍대상상점)'을 방문했습니다.
라면 라이브러리는 230여종의 라면을 전시, 취식할수 있는 곳으로 내국인보다 외국인 판매 비중이
더 높습니다.
드라마, 영화에서 보던 '편의점에서 한강 라면 먹기'에 대한 인기가 확산되면서 해외에서도 라면
즉석 조리기를 설치하는 편의점.마트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지난 1일 라면 수출기업들과 함께 라면 특화 편의점인 '씨유(CU) 라면
라이브러리 1호 (홍대상상점)'을 방문했습니다.
송미령 장관은 라면 특화 편의점인 'CU 라면 라이브러리 1호점 (홍대상상점)'에서 기업 관계자들과
만나 그간의 노고를 격려하는 한편, 지속적인 우리 농식품의 수출 확대를 위해 외국인 소비자 등 현장
의견을 청취했습니다.
이 날 현장에서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라면 수출 현황을 점검 하고 수출 확대를 위한 기업들의 노고를
격려했습니다.
라면 수출기업들은 "각국 현지에 맞는 제품 개발 및 홍보 등 기업들의 노력에 정부의 수입국 규제 해소,
바이어 발굴 등의 노력이 뒷받침돼 케이-라면이 세계적인 음식이 될 수 있었다"고 10억달러 달성의
소희를 밝혔습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이제 케이-라면은 잠깐의 유행이 아니라 세계인의 일상 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잡았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라면이 문화와 함께 수출될 수 있도록 케이-푸드 레시피 및
케이-콘덴츠 연계 홍보를 비롯하여 제품 개발, 현지화, 통관 등을 밀착 지원하고, 올해 남은 기간
동안 현지 유통매장과 연계한 판촉, 소비자 대상 홍보 등 총력 지원을 펼치겠다"고 밝혔습니다.
<보건뉴스>
<참조:월간포장타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