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은 어떻게 삶과 배움을 변화 시켜 왔는가?
©iStock
우리는 현대의 기술이 어떻게 인간이 배우고, 서로 교류하고,
시간을 보내는방법을 바꾸었는지에 대한 온갖 종류의 추정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다양한 추정 중에서 사실과 허구를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어떻게 기술, 즉 인터넷이 실제적으로 인류의 삶과 배움을 변화 시켜 왔을까?
다음 사진들을 통해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해보자!
구글
©iStock
인터넷은 우리 삶의 모든 부분을 변화시켰다.
오늘날 인류는 Google과 같은 검색 엔진을 통해
손가락만 움직이면 간단하게 원하는
어떠한 종류의 정보도 찾을 수 있다.
구글 검색
©iStock
1998년 구글이 처음으로 서비스를 제공한 당시,
1일 평균 검색수는 10,000개 정도였다.
현재 1일 평균 검색수는 3억 5천만개에 달한다.
기억
©iStock
마지막으로 다른 사람의 전화번호를
외웠던 적이 언제인지 기억이 나는가?
자동고침 서비스가 늘 고쳐주는 어려운
영어 단어를 열심히 외웠던 적은 언제였는가?
기억
©iStock
현 세대에 기술과 인터넷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부분은
뇌의 외부 저장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인간의
기억력이 가진 한계를 크게 뛰어넘을 수 있게 한 것이다.
기억
©iStock
연구자들은 이 현상을 "인지적 떠넘김(cognitive offloading)"이라 부른다.
이는 기본적으로 과거에 우리가 기억력을 사용했던 것들에 대해
외부의 장치를 사용하는 순간을 일컫는다.
인지적 떠넘김
©iStock
외부 장치나 검색 엔진의 도움에 의존하는 것은
우리의 삶을 좀 더 쉽게 만들어 주지만,
주의 집중의 범위와 기억력에는
불이익을 끼치기도 한다.
불이익
©iStock
인지적 떠넘김이 가져다 주는 부정적 결과 중 하나로는 우리가
삶에서 얻는 경험들이 기억 속에서 덜 선명해진다는 점이다.
부정적인 결과들
©iStock
우리는 이제 겨우 몇 분 만에 손가락만 사용하면
검색엔진을 통해 뭐든 검색할 수 있을지 몰라도,
과학자들은 인류가 집중력과 깊은 사색을 하는
능력을 잃고 있다고 주장한다.
부정적인 결과들
©iStock
우리가 온라인상에서 활용 가능한 정보들이
쏟아지는 홍수 속에 있을 때,
우리의 뇌는 피상적인 학습만을 할 뿐 처리중인
정보를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는 능력을 잃게 된다.
부정적인 결과들
©iStock
또한 우리의 멀티 태스킹 능력은
좋을 수 있지만, 창의성은 잃고 있다.
부정적인 결과들
©iStock
또다른 연구들은 인류의 주의 집중 범위가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우리는 점점 더 쉽게 집중력을 잃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독서
©iStock
전자책과 리더기를 활용한 독서가 보편화되며
인류는 이제 더 많은 것들을 읽고 있다.
그러나 인류의 독서법은 변화하고있다.
독서
©iStock
이제 인류는 깊은 맥락을 이해하기 보다는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
글을 간략히 훑어보는 경향이 있다.
독서
©Shutterstock
한 연구는 종이책으로 독서를 하는 사람들이
전자책으로 독서를 하는 사람들보다
더 많은 정보를 기억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독서
©iStock
이는 아마도 우리 뇌가 기억을 할 때 공간적 맥락을 사용하기 때문일 것이다.
즉, 우리 뇌는 정보를 기억으로 흡수할 때 공간의 신호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책장을 넘기며 책의 두께를 보는 것은 해당 페이지에 있는
특정한 정보의 기억을 도울 수 있다.
사회성
©iStock
많은 사람들은 기계와 SNS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어떻게 인류의 사회성을 저해하는지 궁금해한다.
사회성
©iStock
한 연구는 5일간 전자기기의 사용을 멈추고
사람들과 교류하도록 지도 받은 학생들이
정서적·사회적 지능의 향상을 보여준다는 것을 밝혔다.
검색 엔진
©iStock
여러 연구들은 검색 엔진에 의존하여 질문에 답을 하거나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지적 능력을
과대평가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다양한 학습 스타일
©iStock
온라인의 다양한 학습 매체를 사용하며
아이들은 책을 읽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무언가를 배우는 것에 수동적이며,
비디오를 더 많이 시청하는 경향이 있다.
접근 가능성의 환상
©iStock
검색엔진을 통해 원하는 질문에 대한 답을 쉽게 찾을 수 있다는 믿음은
사람들이 어떠한 질문도 항상 답을 구할 수 있는 범위 속에 있도록 믿게 만든다.
검색 엔진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정보의 정확성을 가늠하는 대신
정보가 옳다고 믿고 계속해서 진행하는 것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뇌 활동
©iStock
검색엔진을 이용중인 성인의 뇌 활동을 연구한 연구에서
인터넷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성인 집단에서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두 배 많은 뇌활동이 관찰되었다.
뇌 활동
©iStock
이 연구는 인터넷 정보 검색이 우리의 정신건강을
건강하고 기민하게 유지시켜주는
정신적 운동이라는 것을 밝혔다. 그렇지만
인터넷은 과도하게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정보 독립성
©iStock
검색 엔진은 정보를 목적지로 다루는
선형 프로세스를 처리하므로, 종종
학습 과정을 매우 2진법적으로 만들곤 한다.
정보 독립성
©iStock
이러한 맥락에서 정보 검색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찾으려는 경향
혹은 자신이 필요한 것 대신에 더욱
편리한 정보를 찾으려는 경향을 가진다.
정보
©iStock
컬럼비아, 하버드, 위스콘신-매디슨 대학의 연구자들이 함께 한 연구에서
온라인에서 정보는 찾은 사람들은 그 정보를 기억하기 보다는 어디에서
그 정보를 찾았는지 기억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점을 밝혔다.
게임
©iStock
기술이 적절히 사용될 때 그것이 실제적으로
유용한 것이라고 증명될 수 있다.
한 연구는 게임을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했다.
게임
©iStock
연구자들은 게임을 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해마와 소뇌에 회색 물질이 증가했으며,
이는 뇌에서 기억력을 담당하는
중요한 부위라는 사실을 밝혔다.
기술
©Getty Images
많은 사람들이 믿고 있을 것과는 반대로 기술의 사용으로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만드는 것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사실 인류는 아주 오랜 시간 동안 외부의 "기기들"에 의존해왔다.
기술
©iStock
그러나 우리가 새 기술을 개발하는 속도와
기술에 의존하는 정도에 따라
기술은 미래에 우리에게 새로운 혜택을 줄 수도 있고
부정적인 결과를 맺을 수도 있다.
Sources:
(Huffingtonpost)
(Kqed) (Newswee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