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죽걸산 (卧死步生)
(누)으면 (죽)고 (걸)으면 (산)다 는 뜻의 줄임말이다.
卧 : 누을 와
死 : 죽을 사
步 : 걸음 보
生 : 날 생
서 있으면 앉고 싶고, 앉으면 눕고 싶은,
우리들에게 주는 경고이다.
술 한잔 할 때도 친구들과
누죽!!! 걸산!!!!
와사!!! 보생!!!
명의 허준이 쓴 동의보감에도
건강과 장수에 관하여
약보(藥補)보다,
먹는 식보(食補)가 낫고,
식보(食補)보다는,
걷는 행보(行步)가 낫다고 했다.
우리의 뼈는 적당한 충격을 주어야
더 굵고 튼튼해지며 근육도
쓸수록 강하게 발달한다.
편하게 스트레스 없이
사는 것이 좋다고들 하지만
사실은 끊임없이 움직여야 건강해진다.
자주 걷지 않으면
모든 걸 잃어버릴수도 있다.
누우면 약해지고 병들게 되지만
걸으면 건강해지고 즐거워집니다.
허리둘레는 가늘수록 좋고
허벅지 둘레는 굵을수록 좋다.
의자를 버리고 언제 어디서든
때와 장소를 가리지 말고
무조건 많이 걸으면
병의 90프로는 도망간다고 한다.
코로나19 때문에 "나죽집산"이라는
신조어도 회자되기 시작했다.
(나)가면 (죽)고 (집)에 있으면 (산)다
그러나 겁먹지는 마시고
자신에게 가능한 걸음부터 시작하여
‘누죽걸산’을 실천해
건강한 중년을 보내시기를 희망합니다.
UN이 발표했다는 새로운 연령 기준을 보면
중년이 66세~79세라고 하니,
지공선사(지하철 공짜 노인)의
반열에 들어있는 우리들도
이제야 막 중년이 시작되는 나이다.
베네딕토 16세 교황과
프란치스코 교황이 가상의 만남에서
끊임없이 대화를 나누는 내용의 영화
"두 교황"에 보면 Smart Watch가 있다.
두 교황이 한 곳에 오래 머무르면
두 교황의 손목에 있는
스마트 워치에서 경고음과 함께
"움직이라"는 소리가 나온다고 한다.
그러면 두 교황은 일어나 걷기를 시작한다.
물론 이 영화에서 “움직이라”는 말은
“개혁하라”는 은유적 표현으로 읽히지만
걷기의 중요성을 생각하다 보니
떠오르는 장면이다.
"누죽걸산"도 "와사보생 (卧死步生)"
당신의 건강을 생각해서
꼭 기억하시고 실천해야 할
중요한 삶의 지표입니다.
-좋은 글 중에서-
첫댓글 💖사랑하는 마음은 건강을 가져오고 행복을 안겨 줍니다.
사랑이 꽃피고 행복이 넘치는 웃음 가득한 날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