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비거간(飾非拒諫)
잘못을 꾸며 덮고 간언을 거부한다
飾 : 꾸밀 식(飠/5)
非 : 아닐 비(非/0)
拒 : 막을 거(扌/5)
諫 : 간할 간(言/9)
오늘날 어느 나라에도 없는 간관(諫官) 제도가 중국과 우리나라에는 있었다. 그 기능은 임금이나 윗사람의 잘못을 발견하여 바로잡도록 강직한 말로 권유하는 것이다. 또 옛날에는 꼭 간관이 아니라도 누구나 간언을 할 수 있었다.
당(唐) 태종(太宗)의 강직한 신하 위징(魏徵)은, 태종 면전에서 간언을 올린 것이 50여차례, 상소로 간언을 올린 것이 10여차례였는데, 상소의 양이 30만 자였다. 그 결과 당나라 역사상 가장 정치를 잘한 정관지치(貞觀之治 : 당 태종 시기의 잘한 정치)를 가져왔다.
명(明)나라를 세운 주원장(朱元璋)은, 어떤 상소도 중간에 누가 없애거나 변조시키지 말고 반드시 황제에게 전달하도록 법으로 정하였다.
이 법이 명나라 말기까지 지켜졌다. 명나라 가정(嘉靖) 황제 때 강직한 해서(海瑞)는, 황제에게까지 “폐하는 사람도 아니오”라는 강직한 간언을 했다.
조선시대에는 사간원(司諫院)이라는 간언을 전담하는 관청이 있었다. 임금뿐만 아니라 누구라도 감찰할 수 있고, 탄핵할 수 있었다.
조선왕조가 500년 이상 지속할 수 있었던 이유의 하나는 임금에게 간쟁(諫諍)하는 기능이 강하여 임금이 정치를 멋대로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세종대왕은 간언을 잘 받아들였고, 신하들과 토론을 자주 했다. 반면 연산군(燕山君)은, 간언을 하면 바로 죽여 버렸다. 그러다가 얼마 뒤 쫓겨났다.
오늘날 우리나라에 감사원(監査院)이 있지만, 주로 문제가 생기고 난 뒤나 문제가 있다는 정보를 접한 뒤에 감사를 시작하니, 어떤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는 사간원과는 그 기능이 달랐다.
옛날 간관들이 하던 기능을, 지금은 언론이 맡고 있다. 막강한 국가권력을 감시하고 규제하여 바른길로 가게 한다. 때로는 바른길을 제시하고, 비리를 파헤쳐 처벌을 요청하는 등 옛날 간관의 기능과 많이 닮았다.
언론이 건전하면, 대통령을 중심으로 하는 권력을 감시하고 견제할 수 있다. 그러나 시비를 가리지 않고 권력에 아부하거나 눈치 보는 언론도 많다.
지금 여당에서는 ‘언론징벌법’을 만들려고 밀어붙이고 있다. 가짜뉴스 등 잘못된 보도를 한 언론을 징벌하겠다는 의도인데, 정권에 아부하는 언론은 감싸고, 반대하거나 비리를 적발해서 공개하는 언론은 가만두지 않겠다는 것이 입법의 실제 목적이다.
야당과 언론기관 등의 반대는 물론이고, 언론협회, 해외언론 등에서도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여당 내부에서도 반대 의견이 적지 않다. 이 법의 제정은, 결국 언론자유를 말살하는 데로 귀결될 것이다.
대통령 정부 여당을 비판하거나 비리를 지적했다가 잘못 걸리면, 그 언론인이 매장되는 것은 물론이고, 그 언론기관까지 망하도록 법을 만들고 있다.
진덕수의 대학연의(大學衍義)에 “간관을 죽이면 망하지 않을 까닭이 없다(殺諫者, 無不亡之理)”라는 말이 있다. 권력자에게 충고하고 권유하고 비리를 적발하여 폭로하는 사람이 없으면, 못할 짓이 없게 되니, 망하지 않겠는가?
잘못을 꾸며 덮지 말고, 간언을 받아들이는 것이, 건전하게 바르게 정치하는 길이다. 간언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 飾(꾸밀 식, 경계할 칙)은 ❶형성문자로 饰(식, 칙)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동시에 음(音)을 나타내는 밥식변(飠=食; 먹다, 음식)部와 사람인(人=亻; 사람)部와巾(건; 헝겊)으로 이루어졌다. 사람이 헝겊으로 닦아서 깨끗이 하다의 뜻이, 전(轉)하여 꾸미다의 뜻이 되었다. ❷회의문자로 飾자는 '꾸미다'나 '단장하다'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飾자는 食(밥 식)자와 人(사람 인)자, 巾(수건 건)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巾자는 '수건'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그러니 飾자는 사람(人)이 행주(巾)로 식기(食)를 닦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갑골문에 나온 飾자를 보면 큰 식기 앞에 빗자루가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제사를 지내기 전에 식기 주변을 깨끗이 정돈한다는 뜻이다. 이후 소전에서는 사람이 더해지게 되면서 지금의 飾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飾자는 제사 전에 정돈한다는 뜻이 확대되어 지금은 '꾸미다'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飾(식, 칙)은 ①꾸미다 ②단장(丹粧)하다 ③위장(僞裝)하다, 거짓으로 꾸미다 ④씻다 ⑤꾸밈 ⑥장식(粧飾) ⑦보물(寶物) ⑧가선(의복의 가장자리를 딴 헝겊으로 가늘게 싸서 돌린 선) 그리고 경계할 칙의 경우는 ⓐ경계하다(칙) ⓑ신칙하다(단단히 타일러서 경계하다)(칙) ⓒ다스리다, 정돈하다(칙)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꾸밀 분(扮), 꾸밀 날(捏), 단장할 장(粧), 꾸밀 장(裝)이다. 용례로는 교묘하게 꾸며 속임을 식교(飾巧), 거짓을 꾸밈을 식위(飾僞), 품성을 고상하게 가꿈을 식성(飾性), 의리를 들어 그럴싸하게 꾸밈을 식의(飾義), 교묘한 말과 수단으로 잘못을 얼버무리는 일을 식비(飾非), 보석보다 품질이 낮으나 장식에 쓰이는 돌을 식석(飾石), 겉을 번드르르하게 꾸민 설을 식설(飾說), 말을 꾸밈 또는 거짓으로 꾸며서 하는 말을 식언(飾言), 죽은 사람의 최후를 장식함을 식종(飾終), 부모의 경사에 잔치를 베풂을 식희(飾喜), 이익을 늘림을 식리(飾履), 변설을 잘 꾸밈을 식변(飾辯), 남을 속이기 위하여 거짓을 꾸밈을 식사(飾詐), 듣기 좋게 꾸며서 하는 말을 식사(飾辭), 속마음과 달리 언행을 거짓으로 꾸밈을 가식(假飾), 겉모양을 아름답게 꾸밈 또는 그 꾸밈새나 장식물을 장식(裝飾), 옷과 몸차림의 꾸밈새를 복식(服飾), 겉모양을 꾸밈을 수식(修飾), 지나치게 꾸밈을 과식(過飾), 글을 아름답게 꾸밈을 문식(文飾), 겉으로만 보기 좋게 꾸미는 일을 허식(虛飾), 어떤 것을 꾸밈을 가식(加飾), 아름답게 꾸밈을 미식(美飾), 속은 비고 겉치레만 함을 이르는 말을 내허외식(內虛外飾), 허물도 꾸미고 잘못도 꾸민다는 말을 문과식비(文過飾非), 간악한 꾀가 많아 선을 악이라 하고 악을 선이라 꾸며 대어 상대방을 곧이 듣게 함을 이르는 말을 지족식비(知足飾非), 얼굴과 옷을 아름답게 단장하고 치장함을 이르는 말을 응장성식(凝粧盛飾) 등에 쓰인다.
▶️ 非(아닐 비, 비방할 비)는 ❶상형문자로 새의 좌우로 벌린 날개 모양으로, 나중에 배반하다, ~은 아니다 따위의 뜻으로 쓰인다. ❷상형문자로 非자는 '아니다'나 '그르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갑골문에 나온 非자를 보면 새의 양 날개가 그려져 있었다. 그래서 非자의 본래 의미는 '날다'였다. 하지만 후에 새의 날개가 서로 엇갈려 있는 모습에서 '등지다'라는 뜻이 파생되면서 지금은 '배반하다'나 '아니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지금은 飛(날 비)자가 뜻을 대신하고 있다. 그래서 非(비)는 (1)잘못, 그름 (2)한자로 된 명사(名詞) 앞에 붙이어 잘못, 아님, 그름 따위 부정(否定)의 뜻을 나타내는 말 등의 뜻으로 ①아니다 ②그르다 ③나쁘다, 옳지 않다 ④등지다, 배반하다 ⑤어긋나다 ⑥벌(罰)하다 ⑦나무라다, 꾸짖다 ⑧비방(誹謗)하다 ⑨헐뜯다 ⑩아닌가, 아니한가 ⑪없다 ⑫원망(怨望)하다 ⑬숨다 ⑭거짓 ⑮허물, 잘못 ⑯사악(邪惡)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아닐 부(不), 아닐 부(否), 아닐 불(弗), 아닐 미(未),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옳을 시(是)이다. 용례로는 남의 잘못이나 흠 따위를 책잡아서 나쁘게 말함을 비난(非難), 옳은 이치에 어그러짐을 비리(非理), 예사롭지 않고 특별함을 비상(非常), 부정의 뜻을 가진 문맥 속에서 다만 또는 오직의 뜻을 나타냄을 비단(非但), 제 명대로 살지 못하는 목숨을 비명(非命), 보통이 아니고 아주 뛰어남을 비범(非凡), 법이나 도리에 어긋남을 비법(非法), 번을 설 차례가 아님을 비번(非番), 사람답지 아니한 사람을 비인(非人), 잘못되거나 그릇된 행위를 비행(非行), 불편함 또는 거북함을 비편(非便), 결정하지 아니함을 비결(非決), 사람으로서의 따뜻한 정이 없음을 비정(非情), 옳으니 그르니 하는 말다툼을 시비(是非), 옳음과 그름을 이비(理非), 간사하고 나쁨을 간비(姦非), 아닌게 아니라를 막비(莫非), 그릇된 것을 뉘우침을 회비(悔非), 이전에 저지른 잘못을 선비(先非), 교묘한 말과 수단으로 잘못을 얼버무리는 일을 식비(飾非), 음란하고 바르지 아니함을 음비(淫非), 같은 일이 한두 번이 아님이란 뜻으로 한둘이 아님을 일컫는 말을 비일비재(非一非再), 중도 아니고 속인도 아니라는 뜻으로 어중간한 것을 두고 이르는 말을 비승비속(非僧非俗), 꿈인지 생시인지 어렴풋한 상태를 일컫는 말을 비몽사몽(非夢似夢), 예가 아니면 보지도 말라는 말을 비례물시(非禮勿視), 모든 법의 실상은 있지도 없지도 아니함으로 유와 무의 중도를 일컫는 말을 비유비공(非有非空) 또는 비유비무(非有非無), 일을 잘못한 것이 아니라 운수가 글러서 성공 못함을 탄식하는 말을 비전지죄(非戰之罪), 뜻밖의 재앙이나 사고 따위로 제 수명대로 살지 못하고 죽음을 일컫는 말을 비명횡사(非命橫死), 자기의 몸을 돌보지 않고 임금에게 충성을 다하는 신하의 도리를 일컫는 말을 비궁지절(非躬之節), 고기가 아니면 배가 부르지 않다는 뜻으로 나이가 든 노인의 쇠약해진 몸의 상태를 이르는 말을 비육불포(非肉不飽), 책잡아 나쁘게 말하여 공격함을 일컫는 말을 비난공격(非難攻擊), 비단옷을 입어야 따뜻하다는 뜻으로 노인의 쇠약해진 때를 이르는 말을 비백불난(非帛不煖),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고 늘 그러함을 일컫는 말을 비금비석(非今非昔), 어려울 것이 없는 일을 일컫는 말을 비난지사(非難之事), 예가 아니면 행동으로 옮기지도 말아야 한다는 말을 비례물동(非禮勿動), 예가 아니면 말하지도 말아야 한다는 말을 비례물언(非禮勿言), 예가 아니면 듣지도 말아야 한다는 말을 비례물청(非禮勿聽), 얼핏 보기에는 예의에 어긋나지 않은 듯이 보이나 실제로는 예에 어긋나는 예의를 이르는 말을 비례지례(非禮之禮), 들어서 말할 거리가 못됨을 일컫는 말을 비소가론(非所可論), 아무런 까닭도 없이 하는 책망을 일컫는 말을 비정지책(非情之責), 아침이 아니면 곧 저녁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의 시기가 임박했음을 이르는 말을 비조즉석(非朝卽夕), 꼭 그것이라야만 될 것이라는 말을 비차막가(非此莫可), 제 분수에 넘치는 직책을 일컫는 말을 비분지직(非分之職), 아직 일에 숙달하지 못한 직공을 일컫는 말을 비숙련공(非熟練工), 제때가 아닌 때에 먹는 것을 금한 계율을 일컫는 말을 비시식계(非時食戒), 용이 때를 만나면 못을 벗어나 하늘로 오르듯이 영웅도 때를 만나면 세상에 나와 큰 뜻을 편다는 뜻으로 비범한 인물이나 장차 대성할 사람을 이르는 말을 비지중물(非池中物), 사물을 아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으나 이를 행하기는 매우 어렵다는 말을 비지지간(非知之艱) 등에 쓰인다.
▶️ 拒(막을 거, 방진 구)는 ❶형성문자로 距(거)는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재방변(扌=手; 손)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巨(거; 막다)로 이루어졌다. 그래서 손으로 막다의 뜻이 전(轉)하여 거절하다의 뜻이 되었다. ❷회의문자로 拒자는 '막다'나 '거부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拒자는 手(손 수)자와 巨(클 거)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巨자의 금문을 보면 손에 무언가를 들고 있는 사람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목공(木工)들이 사용하던 큰 '자'를 그린 것이다. 拒자는 이렇게 큰 자를 그린 巨자에 手자를 결합한 것으로 무언가를 '(손으로)막는다'라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참고로 소전까지만 하더라도 止(발 지)자가 쓰인 歫(막을 거)자가 발길이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는 뜻으로 쓰였었지만, 해서에서는 拒자가 '(손으로)막는다'라는 뜻을 표현하고 있다. 그래서 拒(거, 구)는 ①막다, 거부하다 ②거절하다 ③막아 지키다, 방어하다 ④겨루다, 적대하다 ⑤문을 닫다 ⑥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 그리고 ⓐ방진(方陣: 병사들을 사각형으로 배치하여 친 진)(구)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막을 옹(壅), 막을 저(抵), 막을 저(沮), 막을 방(防), 막을 장(障), 막을 두(杜), 거리낄 애(碍), 금할 금(禁), 막을 어(禦), 막을 고(錮), 가로막을 알(閼)이다. 용례로는 거절하여 받아들이지 않음을 거부(拒否), 남의 제의나 요구 따위를 응낙하지 않고 물리침을 거절(拒絶), 윗사람의 명령이나 뜻을 어김을 거역(拒逆), 거절하여 배척함을 거척(拒斥), 항거하여 막음을 거지(拒止), 쳐들어 오는 적군을 막아 싸움을 거전(拒戰), 막아서 지킴을 거수(拒守), 세금 내기를 거절함을 거납(拒納), 죄인이 체포에 맞섬을 거포(拒捕), 대항함이나 버팀을 항거(抗拒), 서로 다투며 맞서서 겨룸을 힐거(詰拒), 배척하여 거절함을 척거(斥拒), 완강히 버팀을 견거(堅拒), 굳이 거절함을 뇌거(牢拒), 공격하여 오는 적군과 마주 싸워 버팀을 영거(迎拒), 아주 거절함이나 굳이 거절함을 뇌거(牢拒), 완강하게 거절함을 완거(頑拒), 요구나 요청 등을 엄정한 태도로 거절함을 준거(峻拒), 거절하여 문안에 들이지 않음을 거문불납(拒門不納), 권력이나 압제 따위에 눌리지 않고 대항하여 일어서는 운동을 일컫는 말을 항거운동(抗拒運動), 사마귀가 수레바퀴를 막는다는 뜻으로 자기의 힘은 헤아리지 않고 강자에게 함부로 덤빔을 이르는 말을 당랑거철(螳螂拒轍), 범인이 체포 당하지 아니하려고 맨손으로 포졸에게 저항함을 두고 이르는 말을 공수거한(空手拒捍), 오는 사람을 막지 말라는 뜻으로 자유 의사에 맡기라는 말을 내자물거(來者勿拒) 등에 쓰인다.
▶️ 諫(간할 간)은 형성문자로 諌(간)은 통자(通字), 谏(간)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말씀 언(言; 말하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범하다의 뜻(干)을 나타내기 위한 柬(간)을 더한 글자이다. 웃어른의 면전(面前)을 무릅쓰고 말하다의 뜻이다. 그래서 諫(간)은 ①간(諫)하다(웃어른이나 임금에게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말하다) ②헐뜯다 ③간하는 말,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간할 쟁(諍)이다. 용례로는 임금이나 윗사람에게 간하는 말을 간언(諫言), 말로써 굳게 간하여 실수를 바로잡고 잘못을 고치게 함을 간쟁(諫爭), 임금에게 옳은 말로 간하는 신하를 간신(諫臣), 간하여 경계함을 간계(諫戒), 임금을 간하여 정치를 의논함을 간의(諫議), 간하여 상소함을 간소(諫疏), 윗사람에게 그의 잘못을 간하여 옳은 일을 하도록 권함을 간권(諫勸), 죽음을 각오하고 간함을 간사(諫死), 어버이의 잘못을 간하는 자식을 간자(諫子), 어떤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간하여 말림을 간지(諫止), 타일러 가르침을 간회(諫誨), 훈계하여 간하는 것을 잠간(箴諫), 충성스럽게 간함을 충간(忠諫), 통절히 간함을 통간(痛諫), 자기의 잘못을 간하여 주는 것을 싫어함을 염간(厭諫), 간하는 말을 듣기 좋아함을 낙간(樂諫), 시를 지어 임금의 잘못을 풍간함을 시간(詩諫), 고충을 무릅쓰고 간절히 간함을 고간(苦諫), 노여움을 사지 않도록 온건하게 간하는 일을 기간(幾諫), 간하는 것을 듣지 아니함을 반간(反諫), 목숨을 끊고 죽음으로써 간함을 사간(死諫), 넌지시 나무라는 뜻을 둘러 비유로 잘못을 고치도록 깨우침을 풍간(諷諫), 물이 낮은 곳으로 흐르듯이 순순히 간언을 따름을 일르는 말을 종간여류(從諫如流), 남이 말한 것을 듣고 간청하면 실행하라는 뜻으로 지도자는 아랫사람의 말을 들을 줄 알고 사리에 맞으면 행동할 줄 알아야 한다는 말을 언청간행(言聽諫行)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