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여성시대 도레미 스위트
여시들은 궁금해 본 적 없어?
왜 식당에서 공깃밥을 시키면
약속이라도 한 것처럼
스테인리스 공깃밥을 주는 걸까?
마치 물가가 올라도 공깃밥은
1000원인 것과 같이 똑같음.
요새는 물가가 많이 올라서 1500원이나
2000원을 받는 곳도 있다고 하지만 말야.
그 이유는 바로
예전에 나라에서 스테인리스 밥그릇을
쓰라고 정해놨기 때문임.
박정희정부시절 1960년대 ~ 1970년대에는
쌀 생산량이 부족하고 쌀값이 비쌌음.
게다가 미국에서 밀가루와 옥수수를
원조해주었기에 활용할 필요가 있었음.
그래서 대식가 국민들이 고봉밥 대신
혼분식을 먹도록
혼분식장려운동을 대대적으로 펼침.
장려운동이었지만 사실상 강요 수준으로
여러 방법이 동원되었는데
영양학적으로 밀가루가 우월하고
쌀은 좋지 않다며 홍보하여
양식의 우수성을 강조함.
학생들 도시락을 단속했던 것은 유명하고
매주 수요일과 토요일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
쌀로 만든 음식을 판매할 수 없었음.
설렁탕이나 곰탕에 국수와 당면을 넣기 시작한 것도
혼분식장려운동 때문임.
탕류에 면을 넣으라는 행정명령이 생김.
혼분식장려운동을 펼치면서
쌀 소비량을 줄이기 위해
정해진 크기의 스테인리스 밥그릇에
공깃밥을 팔도록 하게 됐음
1973년 1월 서울 시장이
표준식단을 제시하고,
밥을 돌솥밥이 아닌 지름 11.5cm,
높이 7.5cm의 스텐 밥공기에 담아 먹도록 했음.
그러나 식당에서는 이것을 잘 지키지 않았고,
중앙정부에서는 1974년 12월 4일부터
돌솥밥을 금지시키고 스텐 밥공기에 먹도록
행정명령을 발동시킴.
1976년 6월 29일 서울 시장이
서울시에서는 지름 10.5cm, 높이 6cm의
스텐 밥공기에 밥을 담도록 규격까지 정함.
위반하면 1회 위반 1개월 영업정지,
2회 위반하면 허가 취소까지 되었음.
이후 보건사회부에서 1981년 1월부터
이 규정을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전국의 식당에서는 똑같은 스텐 밥그릇을 쓰게 됨.
시대가 변해서 요새는 쌀이 남아돌지만
스테인리스 밥그릇이 위생적이고
깨지지 않아 식당에서 계속 사용하는 듯!
첫댓글 근데 너무 뜨거와요
따숴서 좋아
불과 50년전에는 쌀이 없고 비싸서 나라에서 제지할정도였는데 ,,,
겨울엔 손난로
오호
못만져요 못만져요ㅠㅠ
따수우라고 주는 줄 알았는데 이런 이유였군!
따숩고 위생적이라 그런줄
와 흥미로운 글이야... 고마워!!
와 흥미로워 설렁탕에 면이 들어가있는 이유가...
헐 그랬구나 몰랐다!!
돌솥밥… 다시내노ㅓ!!!
이런글 좋아 ㅎㅎ
알쓸신잡에서 교이쿠가 얘기해줘서 앎
와 첨 알았다 ㅋㅋㅋ 흥미돋!!
진짜 생각해보니 밥그릇 점점 작게 나오고 있네..어릴때 먹던 밥그릇 지금보면 엄청 큼 ㅋㅋ
너무 신기하다 ㅋㅋㅋㅋㅋ 위생은 겸이네
와 대박 신기해
※ 여성시대 인기글 알림 봇 v1.2.0
※ 연속 등극 시 최대 3회까지 기록됩니다.
※ 자세한 내용은 프로필 게시글을 참고해주세요.
✧⋄⋆⋅⋆⋄✧⋄⋆⋅⋆⋄✧⋄⋆⋅⋆⋄✧⋄⋆⋅⋆⋄✧
2023년 11월 10일(금) 13시 - 인기글 18위 🎉
2023년 11월 10일(금) 14시 - 인기글 39위 🎉
2023년 11월 10일(금) 15시 - 인기글 69위 🎉
너무너무신기하고재밋아!!!!
글써줘서 고마유ㅓ🥹
와 흥미돋이다
글쓴 여시덕분에 지식 습득
고마워 잘봤어
오 완전 흥미돋이다!! ㅋㅋㅋㅋ잘봤엉 !!
신기
와 진짜 이런게 진정한 흥미돋….! 너무재밋어 ㅋㅋㅋㅋㅋㅋㅋ
글 써줘서 고마워 너무 흥미롭다!
재밈따!!!
와....!!!!! 진짜 개 흥미돋ㅋㅋ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