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3 사회조사 결과' 13~34세 대기업 다니고 싶다 27.4% 공무원 선호도, 자영업자 격차 0.4%p뿐 모든 연령 "돈 많이 주는 직장이 1순위'
[파이낸셜뉴스] 3~4년까지만 해도 학생들에게 장래희망을 물어보면 공무원이 1위였다. 정년 보장과 퇴직후 연금 등 안정성이 주된 이유였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청년들이 자기가 하고 싶거나 혹은 어려운 일에 도전하기 보다 일찍부터 안정적이고 현실에 안주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하지만 이말도 옛말이 되고 있다.
평생 직장보다 대기업 연봉
통계청이 지난 8일 발표한 2023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13~34세 청소년과 청년들의 대기업 취업 선호도는 강해지고 공무원이 되고 싶다는 비율은 하락했다. 직업 선택시 안정성보다 '돈 많이 주는 직장이 최고'라는 인식이 강해졌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의 '2023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13~34세 청소년과 청년이 가장 근무하고 싶은 직장1위는 대기업(27.4%)이 차지했다. 2년 전 같은 조사(21.5%) 보다 5.8%포인트(p) 증가했다.
공기업(18.2%)과 국가기관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18.2% 16.2%였다. 2년 전보다 각각 3.3%포인트, 4.8%포인트 감소했다.
2년 전만 해도 대기업(21.6%)과 공기업(21.5%), 국가기관(21.0%)의 선호도는 비슷했지만, 대기업으로 선호도가 급격하게 쏠렸다. 국가기관과 자영업자 선호도(15.8%)와의 격차는 0.4%포인트에 불과하다. 공무원의 매력이 떨어진 것은 정부 부처의 인사 적체, 상대적 낮은 급여, 세종과 서울간 물리적 거리 등이 이유로 꼽힌다.
이같은 분위기는 현실로 나타났다. 올해 국가공무원 9급 공채 시험 경쟁률은 22.8대 1로 31년 만에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재학 중인 학생들의 대기업 선호도가 두드러졌다.
성별로 선호하는 직장을 보면 남자는 대기업(28.9%), 공기업(18.8%), 자영업(17.0%), 국가기관(15.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자는 대기업(25.7%), 공기업(17.5%), 국가기관(17.4%), 자영업(14.5%) 등의 순이다.
전 연령 직업 선택 1순위 '수입'
직업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수입’(40.9%)이었다. 모든 연령대에서 수입을 꼽았다. 수입을 중시하는 사람은 2년 전(38.7%)보다 2.2%포인트 늘었다. 수입 다음으로는 안정성(22.1%)과 적성·흥미(13.9%) 순이었다. 안정성을 선택한 사람은 2년 전보다 2.7%포인트 감소했다.
첫댓글 확실히 연령대가 어려질수록? 가치관이 바뀌는거같긴하네....물가가 오르기도하고 ㅠㅠ
근데 어딜가도 뭐.. 에지간하면 안짤리던데.....
똑똑하네
다들 힘들다해도 경기가 나쁘진 않나보다
급여 때문이지 뭐..
2010년에 받아도 생활 힘들정도 수준 급여 주는데 누가 해 ㅜ
경기침체 본격화되고 지금기업들 구조조정소식들리면 또 공무원열풍불것같은대
각자 장점있는데 원하는 곳으로 가면되지
글고 처음부터 공무원 택하는 사람은 돈보다는 안정적이고 그 외에 휴직 이런 것들 때문인데 돈 원했으면 대기업가려고 노력했겠지 대기업도 가고싶다고 다 가는 것도 아니고
진짜 죽고싶음ㅎㅎ
공무원 박봉 유명하니까..
공무원은 아니지만 진짜 월급 적으니까 삶에 활력이 안남 .. 어차피 출근할거ㅠ대기업의 연봉과 복지가 너무 부러움 ,,
문제는 대기업을 아무나 가냐는거지..... 공무원은 그래도 학벌이나 스펙 없이도 합격 가능하지만 대기업은 아니잖어
몰겠다 난... 뭘 선택하든 각자의 길에서 다들 잘 살길
공무원 대기업 붙여놓으면 당연히 대기업이지 장난하나ㅠㅠㅋㅋ
일에 비해 너무 박봉임..
물가 상승률도 미쳐서 더 그런 것 같아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