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활동 1] 정답 (20~21쪽) ①품사 ②9 ③체언 ④동사 ⑤부사 ⑥불변어, 가변어 |
기본다지기
1. 품사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우리말에는 9개의 품사가 있다.
② 단어를 형태, 기능, 의미에 따라 나눈 것이다.
③ 조사 중 서술격 조사 ‘이다’는 가변어에 해당한다.
④ 형태의 변화 여부에 따라 관계언과 용언으로 나뉜다.
⑤ 공통된 성질을 지닌 단어들을 모아 분류해 놓은 갈래를 말한다.
정답과 해설 ④ 형태의 변화(활용) 여부에 따라 불변어와 가변어로 나뉜다. |
2. 다음 품사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명사 : 대상의 이름을 나타낸다.
② 동사 : 대상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③ 수사 : 대상의 수나 차례를 나타낸다.
④ 대명사 : 대상의 이름을 대신 나타낸다.
⑤ 관형사 : 대상의 성질, 상태, 존재를 나타낸다.
정답과 해설 ⑤ 대상의 성질, 상태, 존재를 나타내는 것은 형용사이다. 관형사는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에 붙어 대상의 상태를 수식한다. |
3. 다음 중 단어를 기능에 따라 바르게 나눈 것은?
① 독립언 : 조사 ② 관계언 : 감탄사
③ 용언 : 동사, 형용사 ④ 수식언 : 수사, 관형사
⑤ 체언 : 명사, 대명사, 부사
정답과 해설 ③ 동사와 형용사를 묶어 용언이라고 한다. ① 독립언 : 감탄사 / ② 관계언 : 조사 / ④ 수식언 : 관형사, 부사 / ⑤ 체언 : 명사, 대명사, 수사 |
4. 다음 단어들이 해당하는 품사는?
가다 먹다 날다 보다 |
① 명사 ② 조사 ③ 수사
④ 동사 ⑤ 부사
정답과 해설 ④ 제시된 단어들은 대상의 움직임을 나타내므로 동사에 해당한다. |
5. 다음 문장에서 명사에 해당하는 것은?
노란 병아리가 삐악삐악 운다. |
① 노란 ② 병아리 ③ 가
④ 삐악삐악 ⑤ 운다
정답과 해설 ② 명사는 대상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이다. 제시된 문장에서 대상의 이름을 나타내는 것은 ‘병아리’이다. ① 형용사, ③조사, ④부사, ⑤동사 |
탄탄히쌓기
1. 다음 붕 품사가 다른 하나는?
① 매우 ② 크게 ③ 갑자기
④ 천천히 ⑤ 퐁당퐁당
정답과 해설 ② ②는 대상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이고, 나머지는 모두 부사이다. |
2. 다음 단어의 공통점으로 알맞은 것은?
구두 그것 옷 둘째 하나 |
① 체언에 해당한다.
② 단어 형태가 변한다.
③ 대상의 이름을 나타내는 명사이다.
④ 대상의 수나 차례를 나타내는 수사이다.
⑤ 대상의 이름을 대신 나타내는 대명사이다.
정답과 해설 ① ‘구두, 옷’은 명사, ‘그것’은 대명사, ‘둘째, 하나’는 수사이다. 명사, 대명사, 수사를 묶어 체언이라고 한다. |
3. 다음 단어 중 <보기>의 설명에 모두 해당하는 것은?
- 형태가 변하지 않음 - 체언에 해당함 - 대상의 이름을 대신 나타냄 |
① 나비
② 그녀
③ 앉다
④ 아하
⑤ 을(를)
정답과 해설 ② 불변어 중에 체언에 해당하는 것은 ‘명사, 대명사, 수사’이다. 그중, 대상의 이름을 대신 나타내는 것은 ‘대명사’이다. ① 명사, ③동사, ④감탄사, ⑤조사 |
4. 다음 중 동사가 들어 있지 않은 문장은?
① 바람이 솔솔 불어온다.
② 큰 개가 사람을 물었다.
③ 어제 산 새 옷을 입었다.
④ 높은 하늘이 매우 푸르다.
⑤ 목적지를 향해 힘차게 달려갔다.
정답과 해설 ④ ④는 ‘높은(형용사) 하늘(명사)이(조사) 매우(부사) 푸르다(형용사)’로 동사가 들어 있지 않다. ① ‘불어온다’, ② ‘물었다’, ③ ‘입었다’, ⑤ ‘달려갔다’가 동사에 해당한다. |
5. <보기>의 단어 중, 형태가 변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바다 주다 달다 사랑 예쁘다 |
① 바다, 사랑
② 바다, 달다
③ 주다, 예쁘다
④ 주다, 사랑, 예쁘다
⑤ 주다, 달다, 예쁘다
정답과 해설 ⑤ 형태가 변하는 단어들은 동사와 형용사이다. ‘바다, 사랑’은 명사이고, ‘주다’는 동사, ‘달다, 예쁘다’는 형용사이다. |
한글파일
|
첫댓글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