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도 대만 상위 5개 대학원 석사과정 합격률 및 학부와 대학원 학비
2024년 4월 24일
요즘 뉴스를 보면 대만 TSMC 실적이 좋고 개인 국민소득도 많이 높아졌다고 합니다.
여러 원인 가운데 하나는 대학원 교육이 잘 되었기 때문이라고 보아도 좋습니다.
그래서 대만 대학원 석사과정 입학 경쟁률과 합격률 및 대학원 학비를 살펴보았습니다.
대만에서는 채영원(蔡英文,1956年生) 총통이 연임하는 동안(2016-2024)에 커다란 정치 혼란이 없이 잘 지내왔습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정치적 안정 위에서 투자를 활발하게 하였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정치 안정이 설비투자에 믿음을 주어 경제 발전에 좋은 영향을 가져온 것 같습니다.
대만에서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찍부터 대학 교육을 대학원(硏究所) 중심으로 전환하였습니다. 대만 교육제도와 실제를 보면 1945년 일본 식민지에서 독립한 뒤에는 북경대학을 모델로 삼아 개혁하였고 나중에는 어떤 것은 유럽에서 어떤 것은 미국에서 많이 본받았습니다. 일본 식민지 시절의 제도는 거의 모두 없어졌습니다.
첫째, 학부와 대학원을 갈라놓다시피 하였습니다.
둘째, 정부에서 국공립대학과 사립대학에 많은 예산을 지원하여 학비가 비교적 저렴합니다. 결과는 석박사 졸업생이 많이 늘고 연구소와 회사에는 전문지식과 경험을 가진 연구자가 많아졌습니다.
대학원 중심으로 바뀌면서 학생과 학부모 모두 좋은 대학 입학에 쏟는 열기보다는 오히려 좋은 대학원 입학으로 옮겨졌습니다. 아무리 좋은 대학 좋은 학과를 졸업하였더라도 대학원 입학시험에 합격하여야만 하니까 학부 다닐 때 스트레스가 큽니다. 좋은 대학 다니는 동안에 더 좋은 대학원에 입학하려고 과외지도를 받는 사례도 있습니다. 따라서 대학원 입학시험 경쟁률이 아주 높아졌고 합격률도 상당히 낮아졌습니다.
대학 서열화가 많이 나아지면서도 오히려 더 나빠진 것도 있습니다. 해답은 없습니다. 좋은 대학의 좋은 학과를 졸업하였다는 어떤 우월 의식이 낮아집니다. 또 좋은 대학원에 입학하여 잘났다고 자랑할 수도 없습니다. 대학원에는 생각지도 못한 사람이 엉뚱하게 좋은 연구 성과를 내놓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학 서열화가 많이 줄었다고 보는 것이 차라리 낫습니다.
대학원에서 연구하는 시간 총량과 집중도를 보면 졸업할 때까지 얼마큼 열심히 배우고 스스로 연구하는가에 따라 연구실적에서 차이가 분명하게 납니다. 그래서 대학원에서는 열심히 공부하고 연구할 수밖에 없습니다. 대학원에서 스트레스가 심해질 때가 오면 혼자 여행을 잘 다녀 스스로 완화하는 것도 몸에 길들여 놓아야 합니다. 서로 경쟁하면서도 서로 협조하고 또 수업 중이나 끝난 뒤에 잦은 토론을 하는 동안에 나의 연구 방향을 수정하기도 하고 또는 도움을 받고 전공 분야에 관하여 나도 모르는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대학원 과정에서도 중고교 또는 학부와는 다르게 경쟁하고 협조하는 사회화가 일어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대만국립대학 대학원 석박사 과정에서 수업시간에 교실이나 실험실에 들어가면,
첫째, 건물이야 학부와 함께 사용하지만, 석박사 수강생은 따로 교실과 실험실에서 수강합니다. 지도교수 연구실에서 소파에 몇몇이 앉아 온정이 넘치도록 수업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둘째, 석박사 과정의 정원과 전체 숫자는 학부생 정원에 비교하여도 적지 않습니다. 학부생은 4년 졸업이지만 석박사 과정은 합하여 적어도 5-6년 이상이기 때문에 누적된 인원이 많습니다.
셋째, 대학원 수업시간표를 보면 강좌 개설 교수 숫자도 많고 또 개설강좌가 몇십 개 정도로 많아 대학원생 본인이 연구 방향에 맞추어 선택과목을 다양하게 고르기 좋습니다.
넷째, 대학원 입학이 개방되었습니다. 대학원은 입학시험을 보기에 본교 출신에게 조금 유리하겠지만 타 대학 출신들도 지원하여 합격하는 것을 보면 개방되었다고 보아도 좋습니다. 따라서 학부 대학 서열화 순위가 반드시 대학원 입학을 결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학원 중심으로 바뀐 뒤에는 장단점도 있습니다.
첫째, 등록금이 싸기 때문에 단점도 있습니다. 대학원생은 대학원에서 자기 연구수준과 연구목표가 만족할 때까지 몇 년이고 다니고 졸업논문을 미루는 것이 일상입니다.
둘째, 장점은 졸업할 때 수준이 아주 높거나 아주 낮다는 것입니다. 낮은 사람은 스스로 연구를 포기하며 가급적 후회하거나 배 아파하지 않습니다.
학부 학비는 대체로 국립대만대학 기준으로 보면 1학기 학비가 대만돈 3만원(한국돈 120만원)이 안 됩니다. 외국인 학생과 대륙 출신 학생의 1학기 학비가 대만돈 6만원(한국돈 240만원) 정도로 본지 학생의 2배를 받습니다.
대학원 석박사 과정의 1학기 학비는 대만돈 4만원(한국돈 160만원이 안 됩니다. 물론 외국인과 대률 출신 학생은 대만돈 8만원(한국돈 320만원) 정도입니다. 아무튼지 싸다고 봅니다.
글쎄요, 제가 계산을 잘못할 수도 있습니다.
대학원생의 연구 자유와 자율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학부와 대학원의 모든 학비는 학생 본인이나 학부모가 내고 국가에서 보조하기 때문에 지도교수에게 매달리거나 갑을 관계를 스스로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다시 말해 내 돈 내고 내가 다니면서 내가 연구하고 싶은 과제를 연구하는데, 왜 지도교수에게 불이익을 받는 을(乙)에 설 필요가 있겠습니까? 한마디로 말해 대학원생의 연구 자유와 자율이 보장됩니다. 물론 선후배 관계에서도 서로 우호적인 관계가 되며 갑을 관계는 생각지도 못합니다. 그래서 가끔은 대학원생이 지도교수의 지도를 거부하며 싸우기도 하고 맞지 않으면 퇴학하고 다른 학교 대학원으로 바꾸기도 합니다.
올해 2학기부터는 사립대학 학생에게도 학비 보조금이 더 늘어났다고 합니다. 학생마다 1년마다 대만돈 3.5만원(한국돈 140만원)을 지원하여 국공립 대학의 학비와 차이를 더 줄이겠다고 합니다. 혜택을 받는 학생 숫자가 63.4만 명이라고 합니다. 아무튼지 국공립대학과 사립대학을 막론하고 대학과 대학원 교육에서 수익자 부담 원칙보다는 교육평등권에 따라 학비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2024년도 2학기부터 사립대학 학비 보조금 지급 :
預計於2024(民國113年)2月新學期開始後補助私立大專院校生學費一年約新台幣3.5萬元,預計逾60萬人受惠,而申請的資格為何?什麼時候可以申請?風傳媒整理相關資訊給讀者參考。
教育平權1+3方案預計補助私立大專院校生學費一年約新台幣3.5萬元,受惠人數達63.4萬,從民國113年2月新學期開始後實施。
---------------------------------------
한국 대학의 교육개혁은 대학원 중심으로 전환을 더욱 강화하여야 합니다. 교육부에서는 많은 교육재정을 유아와 유치원 및 초중고 교육에 쏟아야 하지만 대학원 보조금 지급도 많이 늘려야 합니다. 대학원 교육비 보조금을 교육예산에서 정액화하여야 합니다. 대학이 교육부의 뜻에 따라 무슨 사업이나 구조조정을 하면 인센티브를 주는 것을 피하여야 합니다. 누구나 대학원에 입학하면 공부하는데 많은 돈이 들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그래야만 과학기술과 국방과학이 발전하고 기업의 생산력 향상에 도움이 되어 결국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물론 개인의 소득도 증가됩니다. 개인이 소득 증가를 위하여 스스로 대학원에 입학하고 연구소를 찾도록 유도하여야 합니다. 대학원에서 얻은 높은 지식수준과 넓은 정보 범위는 공정한 시장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무슨 장학금과 연구비를 대통령이 잠시 기분이 좋아서 준다거나 또는 국가의 다른 연구 예산에서 덜어와서 보태주지 않아야 합니다. 올해처럼 연구 예산이 줄면 당장 대학원 석박사 과정과 연구원들이 연구할 돈이 없는 폐해가 나타납니다. 이런 짓은 옛날에 전제적인 황제가 과거시험 합격자들의 충성심을 얻으려고 합격과 상금을 주어 황제에게 묶어놓는 방식이었습니다.
현재 한국에서는 학부모와 학생 모두 열정과 돈을 좋은 대학 입학에 쏟아붓고 있습니다. 어릴 때 과도한 경쟁은 성장하는 학생들 건강에도 나쁘고 사회화(socialization)에도 좋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 학부모와 학생의 열정과 돈을 10-19살에 쏟아붓지 말고 소위 스카이 대학 입학에 쏟아붓지 말고 대학원 석박사 과정에서 연구에 쏟아부어야 인생 가성비가 좋습니다.
한국은 이제는 많이 나아졌는데 고급 노동시장이 공정한 경쟁상태가 되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그러려면 대학원 교수 숫자를 충분히 확충하고 또 자발적인 퇴직이나 휴직을 잘 유도하여야 합니다. 전문지식과 연구실적이 성실성과 자존심을 인정받고 돈을 보상받도록 개선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어릴 때 몇 년 동안의 성실한 태도와 성적을 인정받거나 자격증을 얻어 평생을 살려는 생각을 버려야 합니다.
요즘 한국 수능시험에서 짧은 시간 안에 빨리 반응하면서 정답을 골라내라고 강요하며 훈련합니다. 결과는 좋은 성적을 받은 학생들의 반응이 민첩하지만 사고력이 깊지 못하고 행동이 경박하다고 비난하기도 합니다. 이런 폐해는 대학과 대학원에서도 나타나는데 깊이 생각하는 것을 아예 싫어하거나 자발적인 연구를 주도하지 못하는 대학원생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대학원 연구과정에서는 이렇게 순간순간에 민첩하게 반응하여 대답하는 말솜씨와 경박한 행동이 많이 줄어들거나 저절로 사라집니다. 대학원 교육이 사회풍속 개선에도 어느 정도 긍정적인 기능이 있습니다.
중국 북송시기 사례를 보면 진사시험에서 젊은이들(20대 초반)이 얼마나 빨리 얼마나 뛰어난 글(논술시험)을 짓는지를 보고 선발하는 폐해를 지적하였답니다. 젊은이들이 답안을 지으면서 뛰어나게 보이려고 잘난 척하거나(浮華) 순간에 민첩하게 반응하여(敏速) 글을 써내야만 합격시켰다고 합니다.(禦試進士,多擢文先就者爲高等,士皆習浮華,尙敏速。) 이런 선발 결과는 사고력이 깊고 멀리까지 보려는 속이 깊은 젊은이들은 모두 과거시험에서 떨어졌다고 합니다. 요즘 한국의 수능시험과 많이 닮았습니다.
대학과 연구소에서 연구자는 인생에서 집중력(의지력, 사고력)과 체력(연구실력)을 쏟아부어야 할 나이는 20대 초반-30대 후반까지라고 말합니다. 인문학 연구자에게 적용하면 자신의 신체나이에서 가장 집중할 최고점이 35-37살이라고 말합니다. 따라서 20대부터 30대 초반 나이에는 대학원에서 전문지식과 경험을 배우고 35-37살에 뭔가 빛을 본 뒤에 열심히 연구하거나 40-50대에는 사회에서 활동하면 좋다고 말합니다.
인생 단계를 두셋으로 나누어 보기도 합니다. 현재 보통 남자아이를 기준으로 보면 14-18살 늦어도 20살까지는 체력이 급격하게 증강되기 때문에 호르몬 변화에 따른 마음의 동요를 스스로 조심하고 잘 달래면서 자신의 계획을 만들고 따라야 합니다. 이 나이에는 소위 육체적 에너지를 정신적 에너지로 전환하려고 자신을 학교공부에 파묻어놓아야 합니다. 갑자기 늘어난 체력 때문에 우발적인 범죄를 저질러서 범죄자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그래서 『포박자(抱朴子)』에서도 불교와 도교 수양인들의 영향을 받아 젊은 나이(중고교 학생 시기)에는 환정보뇌(還精補腦, the converting physical energy into mental energy)하라고 말합니다. 옛날에 공자가 15살, 30살, 40살, 70살에 어떻다고 말한 것은 후대에는 잘 맞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중국의 사례를 보면 37살에 자신이 앞으로 나갈 길을 멀지만 또렷하게 보았던 학자들이 많습니다. 37살에 앞길을 살짝 보았던 학자 사례를 보면, 왕필(王弼)도 37살에, 주희(朱熹)도 37살에, 왕양명도 37살 용장역에서 깨우쳤다고 말합니다. 물론 스님들 가운데 36-37살에 깨달은 분들은 아주 많습니다. 물론 깨달은 이후에 멈추지 말고 자신의 길을 가려고 열심히 노력하여 50-60대에 좋은 결과는 만들어낸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40대에 20대와 30대를 돌아보면 다 틀렸네 후회하고 50대에 보면 50년을 헛 살았네 후회한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60대에는 다 틀렸다고 후회하는 사례는 거의 없습니다. 옛날에는 60대에는 시력도 나쁘고 체력도 떨어져서 더 노력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현재는 60-70-80대에도 체력이 좋은 사람이 많기에 이런 후회도 소용없습니다.
지나친 사례이지만 북송 말기에 성리학을 세웠다는 정이천(程頤)은 60살 이후에야 글(논문)을 쓰기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이런 사례들은 경쟁이 지나치기 때문에 벌어진 증상입니다. 이렇게 자신의 목표를 높게 잡았는데 결과가 나오지 않아 스트레스를 받을 때는 스스로 스트레스에 고생하며 절망하지 말고 진로를 잘 바꾸는 것도 잊지 말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중국 학자들도 스트레스 받는 사람에게 “山重水復疑無路,柳暗花明又一村” 구절을 자주 인용하여 말해줍니다.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는 일부러 마음을 한가롭게 하고 진로를 바꾸면 아주 다른 좋은 세상이 나온다고 믿고 길을 바꾸어 가라고 말합니다. 또 스님들은 마음을 바꿀 때는 바꾼 길에서도 성공하겠다고 단단히 결심하지 말라고 말합니다. 맷돌은 살살 돌려야지 꽉 눌러서 돌리면 맷돌이 돌아가지 않는다고 길을 바꾸는 요령을 말하기도 합니다.
陸游(1125-1210),「遊山西村」:
莫笑農家臘酒渾,豐年留客足雞豚。山重水復疑無路,柳暗花明又一村。
簫鼓追隨春社近,衣冠簡樸古風存。從今若許閒乘月,拄杖無時夜叩門。
육유(陸游, 1125-1210) 「산마을에 놀러 나가기」 :
농가에 겨울에 담가둔 술이 잘 익었으나 안주가 없을 것이라고 비웃지 마시오,
지난해에 풍년이 들었다면 손님이 오면 닭고기와 돼지고기도 내놓는답니다.
겹겹이 산과 굽이굽이 물을 돌고 돌아가면서 길이 끊어진 것도 같은데,
버드나무 잎이 파랗게 물오르고 붉은 꽃도 활짝 핀 봄날 풍경 좋은 마을이 나타난답니다.
피리 불고 장구 치며 제사 지내고 노는 봄날(양력 3월 25일)이 다가오는데,
산마을 사람들은 모자도 옷도 순박하고 옛날 사람들 모습 그대로랍니다.
앞으로 둥근 달이 밝게 뜨는 날이 오면,
지팡이 짚고 아무 날 밤이라도 찾아가서 문을 두드릴게요.
----------------------------
목차
1-1. 국립대만대학 2022학년도 대학생 등록금 표준 일람표
1-2. 국립대만대학 2022학년도 대학원 석박사 등록금 표준 일람표
2. 대만대학, 청화대학, 교통대학, 성공대학, 정치대학 석사과정 합격률
2-1. 2024년도 대만대학 대학원 석사과정 합격률 12.4%
2-2. 2024년도 청화대학 대학원 석사과정 합격률 9.3%
2-3. 양명교통대학 대학원 석사과정 합격률 9.4%
2-4. 2024년도 성공대학 대학원 석사과정 합격률 11%
2-5. 2024년도 국립정치대학 대학원 석사과정 합격률 순위
1-1. 국립대만대학 2022학년도 대학생 등록금 표준 일람표
인문학원 사회과학원 법률학원 | 이학원 생농학원 | 공학원 전자학원 창신영역 학사 학위 과정 | 의학원(의학과 치의학과 공공위생학 3개 학과미포함) | 의학원 의학과 | 의학원 치의학과 | 관리학원 국제체육운동사무 학사 학위 과정 | 생명과학원 | |
학비 | 17,850 | 17,990 | 17,990 | 17,990 | 24,030 | 21,920 | 17,850 | 17,990 |
잡비 | 7,380 | 11,270 | 11,480 | 13,060 | 15,530 | 14,250 | 7,760 | 12,270 |
학잡비 합계 | 25,230 | 29,260 | 29,470 | 31,050 | 39,560 | 36,170 | 25,610 | 30,260 |
학점 비 | 1,020 | 1,150 | 1,150 | 1,150 | 1,150 | 1,150 | 1,050 | 1,150 |
외국인 학생 대륙 학생 | 35,700 | 35,980 | 35,980 | 35,980 | 48,060 | 43,840 | 35,700 | 35,980 |
14,760 | 22,540 | 22,960 | 26,120 | 31,060 | 28,500 | 15,520 | 24,520 | |
50,460 | 58,520 | 58,940 | 62,100 | 79,120 | 72,340 | 51,220 | 60,520 | |
2,040 | 2,300 | 2,300 | 2,300 | 2,300 | 2,300 | 2,100 | 2,300 |
1-2. 국립대만대학 2022학년도 대학원 석박사 등록금 표준 일람표
인문학원 사회과학원 법률학원 | 이학원 생농학원 생명과학원 통계 석사학위 과정 | 공학원 전자학원 중점 과학기술 연구원 | 의학원(임상의학연구소, 임상치의학 연구소 미포함) | 의학원 임상의학 대학원 | 의학원 임상치과 대학원 | 공공위생 대학원 | 지능 의료와 건강 정보 석사학위 과정 | |
학잡비 (기본학정 비 포함) | 25,640 | 28,890 | 30,360 | 31,180 | 39,170 | 36,230 | 31,180 | 75,000 |
학잡비 기본수 | 12,540 | 14,520 | 14,690 | 15,500 | 19,590 | 17,950 | 15,500 | 15,000 |
학교 간 학점 이수 학점 비 | 1,610 | 1,760 | 1,940 | 1,940 | 2,420 | 2,260 | 1,940 | |
외국인 학생 대륙 학생 | 51,280 | 57,780 | 60,720 | 62,360 | 78,340 | 72,460 | 150,000 | 150,000 |
25,080 | 29,040 | 29,380 | 31,000 | 39,180 | 35,900 | 30,000 | 30,000 | |
3,220 | 3,520 | 3,880 | 3,880 | 4,840 | 4,520 | |||
2. 대만대학, 청화대학, 교통대학, 성공대학, 정치대학 석사과정 합격률
2-1. 2024년도 대만대학 대학원 석사과정 합격률 12.4%
2024년 대학원 입학시험 합격자를 발표하고 있다. 지원자 누구나 입학하고 싶은 대학원은 대만국립대학 대학원이다. 지원자 숫자는 14,155명이고 작년(2023년)에는 14,413명이며 258명이 줄었다. 정원은 1,751명이며 합격률은 12.4%이다. 지원자 가장 많고 경쟁이 치열한 학과는 첫째가 반도체 공학 대학원이고 둘째가 경영대학원과 국영기업 대학원, 재정금융 대학원이다. 지원자 경쟁률을 보면 경영관리 분야 대학원 정원은 고정되었는데 해마다 지원자가 많고 줄지 않기 때문에 경쟁률은 반도체 공학 대학원에 못지않다.
* 계(系)는 대학에 학과와 대학원 모두 있고,
연구소(硏究所)는 대학 학과 없이 대학원만 있다는 뜻.
순위 | 학과 석사과정 | 팀 별 | 입학생 정원 | 지원자 숫자 | 합격률 |
1 | 資訊工程學系 碩士班 (정보공학과 석사과정) | 60 | 1684 | 3.56% | |
2 | 商學硏究所 碩士班 (경영대학원 석사과정) | 甲組 | 17 | 609 | 2.79% |
3 | 國際企業學系 碩士班 (국제기업학과 석사과정) | 甲組 | 18 | 510 | 3.53% |
4 | 財務金融學系 碩士班 (재무금융학과 석사과정) | 甲組(主修財務金融) | 15 | 456 | 3.29% |
5 | 會計學系 碩士班 (회계학과 석사과정) | 18 | 443 | 4.06% | |
6 | 資訊網路與多媒體硏究所 碩士班 (정보 네트워크와 다매체 대학원 석사과정) | 17 | 441 | 3.85% | |
7 | 生化科技學系 碩士班 (생화학 과학기술학과 석사과정) | 16 | 340 | 4.71% | |
8 | 經濟學系 碩士班 (경제학과 석사과정) | 23 | 320 | 7.19% | |
9 | 電信工程學硏究所 碩士班 (전자공학 대학원 석사과정) | 乙組(主修通訊與信號處理) | 13 | 308 | 4.22% |
10 | 資訊管理學系 碩士班 (정보관리학과 석사과정) | 19 | 302 | 6.29% |
* 이상 숫자 자료는 참고용이며 실제 숫자는 학교 공고를 참고할 것.
2-2. 2024년도 청화대학 대학원 석사과정 합격률 9.3%
2024년도 청화대학 대학원 입학정원 627명이고 지원자 숫자는 6,760명이며 합격률은 9.3%이다. 대만대학처엄 지원자가 가장 많은 학과와 대학원은 정보공학 대학원이며 1,400명이 지원하였다. 그런데 필기시험 날짜가 성공대학과 겹쳤기 때문에 필기시험 참가자 숫자는 지원자 숫자보다 900명 넘게 줄었다.
순위 | 학과, 대학원 | 입학 정원 | 지원자 숫자 | 합격률 |
1 | 資工系 (정보공학과 석사과정) | 64 | 1,400 | 4.57% |
2 | 資應所 (정보응용 대학원) | 16 | 613 | 2.61% |
3 | 化工所 (화공학 대학원) | 36 | 542 | 6.64% |
4 | 統計所 (통계학 대학원) | 10 | 349 | 2.87% |
5 | 材料系 甲組 (재료공학과 대학원 갑조) | 53 | 317 | 16.72% |
2-3. 양명교통대학 대학원 석사과정 합격률 9.4%
2024년도 양명교통대학 대학원 입학생 정원 783명, 지원자 숫자 8,310명, 평균 합격률 9.4%이다. 정보공학 계열의 학과와 대학원에 지원자 숫자가 가장 많아 2,448명이다.
순위 | 학과 대학원 | 팀 별 | 입학생 정원 | 지원자 숫자 | 합격률 |
1 | 資訊 聯招 | 136 | 2,448 | 5.56% | |
2 | 光電學院 聯招 | 45 | 685 | 6.57% | |
3 | 資訊管理與財務金融學科 財務金融 碩士班 | 乙組 | 10 | 381 | 2.62% |
4 | 管理科學系 | 甲組 | 20 | 360 | 5.56% |
5 | 經營管理硏究所 | 21 | 329 | 6.38% | |
6 | 工業工程與管理學系 | 甲組 | 14 | 270 | 5.19% |
7 | 資訊管理硏究所 | 16 | 247 | 6.48% | |
8 | 電子物理學系 | 甲組 | 22 | 219 | 10.05% |
9 | 材料科學與工程學系 | 甲組 | 25 | 192 | 13.02% |
10 | 國際半導體産業學院 碩士班 | 28 | 184 | 15.22% |
2-4. 2024년도 성공대학 대학원 석사과정 합격률 11%
2024년도 성공대학 대학원 입학생 정원 1,794명, 지원자 숫자 16,168명(직장 반 포함), 평균 합격률 11.1%이다. 가장 치열한 학과의 대학원은 전기정보 대학원의 연합 공고이며 다음은 전기정보 대학원의 마이크로 그리드(Micro-Grid)와 나노(Nano) 대학원의 연합 공고였다.
순위 | 학과 대학원 | 팀 별 | 입학생 정원 | 지원자 숫자 | 합격률 |
1 | 電機資訊學院 | 資訊 聯招 | 63 | 1,463 | 4.31% |
2 | 電機資訊學院 | 마이크로 그리드, 나노 聯招 | 28 | 718 | 3.90% |
3 | 經濟學系 | 10 | 699 | 1.43% | |
4 | 電機工程學系 | 丁組 | 30 | 637 | 4.71% |
5 | 化學工程學系 | 甲組 | 49 | 561 | 8.73% |
2-5. 2024년도 국립정치대학 대학원 석사과정 합격률 순위
순위 | 학과 | 팀 별 | 입학생 정원 | 지원자 숫자 | 합격률 |
1 | 經濟學系 | 19 | 649 | 2.93% | |
2 | 企業管理硏究所(MRA學位學程) | 甲組 | 24 | 371 | 6.47% |
3 | 財政學系 | 14 | 358 | 3.91% | |
4 | 資訊科學系 | 資訊科學與工程組 | 18 | 321 | 5.61% |
5 | 法律學系 | 刑法組 | 6 | 320 | 1.8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