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중국 정밀검사기 시장동향(2014.11) | ||||
---|---|---|---|---|---|
게시일 | 2016-03-11 | 국가 | 중국 | 작성자 | 김주선(우한무역관) |
품목 | 그 밖의 기기 | ||||
품목코드 | 903180 | ||||
작성일자: 2014.11.18 작성자: 우한 무역관 박영훈(parkyh@kotra.or.kr), Mr. Liu Bin(kotrawh@126.com)
1. 중국 정밀 검사기 시장현황 및 전망
□ 정밀 검사기 발전현황
○ 중국은 1990년에 반도체 산업과 전자제품 산업에 최초로 정밀 검사기 시스템을 도입하였고, 현재 반도체, LCD, 자동차, 가전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음.
○ 중국은 대부분의 정밀 검사기를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고, 외국으로 수출하는 고가상품 제조공장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음.
○ 2006년 이후 중국의 공업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정밀 검사기에 대한 수요도 높아졌음. 더불어 중국 내 정밀 검사기를 생산하는 기업의 수도 증가함.
○ 현재 정밀 검사기 산업은 성장기 단계로 시장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사용하는 분야도 확대되고 있어 중국 내 성장가능성이 높은 산업 중 하나임.
그림1. 중국 정밀 검사기 산업 현재위치 자료원: 리본정보연구센터(立本信息研究中心)
□ 정밀 검사기 중국 시장현황
○ 중국공업자동화협회(中国工业自动化协会)에 따르면 2013년 중국 정밀 검사기 시장규모는 14억9000만 위안(미화 약 2억4000만 달러)으로 전년 대비 19.2% 성장했음.
○ 정밀 검사기 산업은 2006년 이후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하여, 2010년 최초로 10억 위안(미화 약 1억6000만 달러) 규모를 돌파함.
○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 정밀 검사기 시장은 4억5000만 위안(미화 약 7000만 달러)에서 14억9000만 위안(미화 약 2억4000만 달러)으로 연평균 22% 성장률을 보이며 시장 규모가 3배 성장했음.
○ 전자제품, 자동차, 반도체, 포장기계, 제약산업이 전체 정밀 검사기 시장의 70%를 차지함.
표1. 2007-2013년 중국 정밀 검사기 시장규모 (단위: 1억 위안) 자료원: 중국공업자동화협회(中国工业自动化协会)
□ 정밀 검사기 중국 시장전망
○ 중국이 세계 제조산업의 핵심기지로 성장하면서 현지기업들은 제품의 수량이 아닌 품질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함.
○ 정밀한 품질관리를 위해 중국 기업들은 해외 선진기술을 도입하기 시작했고 자동차, IT산업, 반도체, 가전제품산업 분야에서 상용화되고 있음.
○ 스마트 시대에 접어들면서 중국정부는 중국 내 핵심 산업을 자동화시키기 위해 정밀 검사기 산업에 대규모 투자하여 정밀 검사기 관련 전문 대학원, 연구소, 국영기업을 육성하고 있음.
○ 중국산업예측연구원(中国产业前瞻研究院)이 발표한 보고에 의하면 향후 3년 내에 중국의 대다수의 산업이 자동화 시스템을 갖출 것이며 2018년까지 중국 정밀 검사기 시장은 두 자릿수의 높은 성장률을 유지할 것이라고 발표하였음.
2. 중국 정밀 검사기 경쟁동향
□ 정밀 검사기 기업현황
○ 현재 중국 내에 진출해 있는 해외 정밀 검사기 제조기업의 수는 100여 개이며, 중국 현지기업의 수는 102개임. 그 중 맞춤형 정밀 검사기를 생산할 수 있는 기업의 수는 50여 개임.
○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 정밀 검사기 현지기업 수는 57개에서 102개로 연평균 9.8% 증가율로 기업수가 2배 증가했음.
표2. 2007-2013년 정밀 검사기 중국 현지 기업수 (단위: 1개) 자료출처: 중국산업동차사이트(中国产业洞察网)
○ 생산업체 - 중국 내 정밀 검사기 주요생산업체의 수는 200여 개로 시장의 70%를 해외기업이 차지하고 있음. - 중국정부가 공업자동화를 위해 대규모 투자하여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 중국 검사기 기술은 초기단계로 검사기의 핵심부품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중국 검사기 시장의 30% 이상을 CONGEX(미국), Keyence(일본), OMRON(일본)이 차지하고 있음.
표3. 정밀 검사기 주요기업 분류현황 자료원: 중국공업자동화협회(中国工业自动化协会)
○ 대리판매 업체 - 현재 정밀 검사기 대리판매 업체의 수는 300여 개로 대부분의 해외 정밀 검사기 기업은 중국 대리업체를 통해 시장으로 진출함. - 주요 대리판매 업체로는 쟈밍공업(广州嘉铭工业), 웨이스그래픽(微视图像), 팡친엔광전자(方千光电), 링화과학기술유한회사(凌华科技有限公司), 더촹과학기술유한회사(德创科技有限公司) 등이 있음.
□ 정밀 검사기 주요기업 분포현황
○ 중국 정밀 검사기 기업의 83%가 주산지야오(珠三角)*지역, 창산지야오(长三角)*지역, 환보하이(环渤海)*지역에 분포해 있음. - 주산지야오(珠三角): 장강(长江)과 바다가 만나는 해안지역으로 상하이(上海), 장쑤성(江苏省), 저장성(浙江省) 등이 대표지역임. - 창산지야오(长三角): 주강(珠江)과 바다가 만나는 해안지역으로 광둥성의 광저우(广洲),선전(深圳) 등 9개 도시가 대표도시임. - 환보하이(环渤海): 발해(渤海) 주변의 해안지역으로 베이징(北京), 톈진(天津市), 허베이성(河北省), 산둥성(山东省) 등이 대표지역임.
그림2. 중국 정밀 검사기 기업 분포현황 자료원: 중국산업동차사이트(中国产业洞察网)
3. 검사기 관련 산업 동향
□ LCD 산업
○ 2013년 중국 디스플레이 산업 총 규모는 1070억 위안(미화 약 174억7000만 달러)으로 2012년 대비 44.6% 증가하였음.
○ 중국 대표 디스플레이 기업인 징동팡(京东方) 유한회사는 2003년도에 한국 현대전자의 디스플레이 산업을 인수하여 최초로 중국 현지브랜드 TFT-LCD를 생산하기 시작함.
○ 2013년 대형 LCD 세계시장 점유율은 한국(48.1%)와 대만(34%)이 월등하게 높고 중국(9.8%), 일본(8.0%) 순
○ 매출액 증가율 추이로 볼 때, 중국은 2005~2013년 중 연평균 20% 증가하여 한국(7.7%), 대만(4.3%), 일본(1.5%)를 압도하는 높은 수준을 기록(세계 평균6.5%)
○ 중국 LCD TV의 경우 현지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은 2012년 85%, 2013년 83%로 압도적 우위(한국 기업은 5% 이하)
그림3. 주요 국가들의 대형 LCD 세계시장 점유율 자료원: DisplaySearch, quater
□ 스마트폰 산업
○ Gartner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중국 스마트폰업체의 전 세계 스마트폰 생산, 판매량이 각각 35%, 27%를 차지함.
○ 2013년 스마트폰 판매량은 3억6000만 대로 전년 대비 60%로 성장했고, 중국이동통신산업부(中国移动通信产业部)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중국 스마트폰 판매량이 4억500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측
○ 향후 중국업체에 대한 글로벌 시장의 의존도는 더욱 높아져 2018년 중국 스마트폰 업체는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스마트폰의 44% 생산을 담당할 것으로 전망됨.
표5. 중국 스마트폰업체 생산 글로벌 점유율 추이 및 전망 자료원: Gartner2014
○ 중국이 2012년 미국을 제치고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 1위 시장으로 올라선 후 전 세계 스마트폰 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확대됨.
○ 전 세계 스마트폰 판매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179% 증가한 데에 이어 2012년 128.5%, 2013년 86.3%에 달하는 고속 성장을 보임.
표6. 중국 시장이 전세계 스마트폰 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중 자료원: Gartner2014
□ 가전제품 산업
○ 시종타이캉장연구기관(中怡康市场研究机构)에 따르면 2013년 중국 가전제품 총 판매량은 1조3000억 위안(미화 약 2122억 9000만 달러)으로 전년 대비 18.8% 증가하였음.
○ 2013년 갈색가전제품 총 판매량은 5046만 대, 총 판매액 1891억8000만 위안(미화 약 308억8000만 달러)으로 전년 대비 14.5% 증가함.
○ 2013년 백색가전 제품 총 판매량은 4040만 대, 총 판매액 1389억 위안(미화 약 226억8000만 달러)으로 전년 대비 27.4% 증가함.
○ 최근 중국에서 발생한 스모그 현상과, 미세먼지의 영향으로 공기청정기 산업은 황금기를 맞이함. 2013년 판매량은 3060만 대로 전년 대비 108.4% 증가하였음.
2009-2013년 중국 가전제품 판매량 (단위: 1억 위안) 자료원: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 섬유산업
○ 중국은 섬유산업 생산과 수출대국이며, 중국 섬유산업은 전 세계에서 최고의 가공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 중국은 13억6000만 명의 거대한 내수시장을 확보하고 있으며, 현재 중국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도시화를 통해 농촌주민들이 대거 도시로 이동하면서 내수시장이 더 넓어지고 있음.
○ 중국은 전 세계 가장 큰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의복 판매량이 5년 연속 두 자리수를 유지함.
○ 2013년 중국 의복 판매량은 1조1000억 위안(1796억 3000만 달러)으로 전년 대비 19% 증가함.
○ 2013년 중국 면사 생산량은 1억9430만 톤으로 전년 대비 0.5%하락하였지만 면포 생산량은 2억4340만 톤으로 전년 대비 1.1% 증가하였음.
2009-2013년 중국 의류시장 총 판매액 (단위: 1억 위안) 자료원: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 중국 자동차산업
○ 중국자동차협회통계(中国汽车工业协会统计)에 따르면 2013년 중국의 자동차 총 판매량은 2198만 대로 전년 대비 13.87% 성장하여 전 세계 1위를 차지함.
○ 2000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의 자동차 판매량은 209만 대에서 2198만 대로 연평균 20%의 성장률을 보이며 총 판매규모가 10배 성장했음.
○ 자동차 종류별 생산판매량을 분석해본 결과 승용차의 총 생산량은 1808만 대(전년 대비 16.5%성장), 총 판매량은 1793만 대(전년 대비 15.71%성장)이고, 상용차의 총 생산량은 403만 대(전년 대비 7.56%성장), 총 판매량이 405만 대(전년 대비 6.4%성장)임.
○ 2013년 자동차 판매량이 100만 대가 넘는 Top6 기업 중 상하이 자동차(SAIC)가 총 판매량 507만 대로 1위를 차지하였고, 뒤를 이어 동펑(东风) 353만 대, 이치(一汽) 291만 대, 장안(长安) 220만 대, 베이징 자동차(北汽) 211만 대, 광저우 자동차(广汽) 101만 대 순임.
○ 2013년 중국 독자브랜드 승용차 판매량은 722만 대로 작년대비 11.4% 성장하여 전체 판매량의 40.3%를 차지하였음(2012년 대비 1.6%하락).
표2. 중국 자동차 판매량 증가율 (단위: 1만 대) 자료원: 중국자동차산업협회 / 中国汽车工业协会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