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11월에 접어들어 우리의 온 산야는 울긋불긋한 단풍으로 아름답기
그지없습니다. 하지만 이맘 때가 되면 가을철
산불로 우리의 아름다운 산야가 회생되기도 합니다. 이에 산림청은 매년 11월1일~12월
15일을 산불조심기간으로 정하고 산불예방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산림고객 여러분들께서도 이에 관심과 협조를
당부드리며 그간 산불에 대해 궁금했을만한 정보를 문답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문1) 산불발생시 산림청과 소방방재청(소방관서)의 진화범위와
역할구분은? |
⇒ 산불예방 및 진화는 산림법, 산불예방 및 진화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산림청이 주관하고
있습니다. 소방방재청은 국가 재해재난을 총괄하고 중앙 안전관리위원회의 간사기관으로서
산불진화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산불에 대한 예방과 진화는 산림청이
전담하고 민가, 위험시설 등의 화재진화와 보호는 소방방재청(소방관서)이 담당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
|
|
|
⇒
산불발생 신고가 접수되면 지자체장, 산림관서는 산불의 발생
위치, 산불의 진행상황, 산림의
상태, 기상여건 등을 파악하여 전문 예방진화대 등을 현장에 신속히 투입하여 우선적으로 초동진화를 실시하게 됩니다.
그러나 강풍이 부는 등 현장의 제반여건이 악화되어 대규모 산불로 확산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군,
소방관서 등 유관기관의 지원하에 진화자원을 추가 투입, 합동진화를 실시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화세가 강한 불머리
지역은 산림청 진화헬기에 의한 직접 진화를 실시하고 불허리 및 불꼬리 등 화세가 약한지역은 지상진화 인력에 의한 방화선 구축 등
간접진화를 실시합니다. 산불진화 완료 후에는 지상진화 인력을 동원하여 잔불제거, 뒷불정리 등을 추가로
실시합니다. | |
|
|
|
|
|
문3) 산불이 민가로 확산 될 우려가 있을 때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
⇒
산불발생 인근지역 주민들은 산불이 민가로 확산 될 우려가 있을 때에는 불씨가 집이나 집안으로
옮겨 붙지 않도록 문과 창문을 닫고 집 주위에는 물을 뿌려주며 폭발성과 인화성이 높은 가스통은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켜놓아야 합니다. 주민 대피령이 발령되면 관계 공무원의 지시에 따라 침착하게 신속히 대피하되
대피장소는 산에서 멀리 떨어진 논, 밭, 학교 등 공터로 대피하여야 합니다. 대피시에는 미처 대피하지 않은 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옆집을 확인하고 위험 상황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 |
|
|
|
|
|
문4) 산림청의 산불진화 헬기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
⇒
산림청이 보유하고 있는 헬기는 7개 기종입니다. 그 중 초대형 헬기 S-64와 주력
기종인 A-32T는 주로 산불진화와 화물공수, 인명구조 임무를 수행하고, 중형헬기인 AS350, ANSAT,
BELL206은 항공방제와 산불계도·감시에 우선 출동하는 헬기 입니다. 이외에도 산불계도 및 감시기로 이용하는 L410UVP와
M20R이 있습니다. | |
|
|
|
|
|
문5) 산불진화 헬기는 공중에서 물의 투하지점을 어떻게
측정하나요? |
⇒
헬기 조종실에 앉게 되면 조종사는 계기판 위로만 밖을 볼 수 있습니다. 산불진화시에는 최초로
투하한 물의 낙하지점을 보고 풍향, 풍속 등 외부 환경요인을 파악합니다. 따라서 2차 진입시부터는 이러한
외부환경요인을 고려, 낙하지점에 대한 정확성을 높이면서 물을 투하하게 됩니다. 즉 전투기나 공격헬기처럼 레이다나
첨단장비에 의한 투하가 아닌 조종사의 육감적인 방법을 동원한다고 하겠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물의 투하를 위해
조종사들의 경험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해 끊임없이 훈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
|
|
|
|
|
문6) 산불진화시 헬기는 어느정도 저공비행을 하며, 위험하지
않나요? |
⇒
산불진화시 군에서 산불진화 지원을 나온 헬기 조종사들은 산림청 헬기가 진화하는 것을 보고 “목숨을 걸고 비행하다”는
표현을 많이 씁니다. 군에서는 밤비바켓(물바구니)을 달고 산불진화를 수행하기 때문에 안전상 저공비행의 한계가 있지만
산림청 헬기는 헬기 몸에 직접 부착하는 물탱크 장비가 있어 타 기관의 헬기보다 훨씬 더
저공비행을 할 수 있고 (최소 10-15m까지 하강) 조종사들도 대부분 군에서 20년 이상 헬기를 조종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저공 비행을
할 수가 있습니다. | |
|
|
|
|
|
문7) 산불진화 헬기가 한번에 투하하는 물의 양과 진화면적은
어느정도인가요? |
⇒ 산림청 산불진화 헬기가 한 번에 투하하는 물의 양과 최대
진화면적은 주력기종인 KA-32의 경우 3,000ℓ(15드럼), (폭)30m×(길이)100m이고, 초대형 헬기 S-64는
10,000ℓ (50드럼), (폭)30m×(길이)300m입니다. | |
|
|
|
|
|
문8) 첨단장비를 활용한 산불진화 방법에는 무엇이
있나요? | ⇒ 산불은 지형이 불규칙한 산에서 예고 없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산불발생시
효율적인 진화를 위한 ‘산불 현황도’가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과거에는 종이도면을 활용했기 때문에 현장에 직접 가지
않고서는 산불현장의 지형을 파악하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러나 최근 산림청에서 구축한「산림지리 정보
종합관리시스템」은 인공위성에서 촬영한 위성영상과 수치지도, 임상도 등을 활용하여 산림의 모습을 입체적(시뮬레이션 형태)으로 볼 수
있도록 만들어 산불발생시 현장에 가지 않고도 상황실에서 산불현장의 지형과 지세를 판단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헬기 및 인원, 장비 등을 효과적으로 현장에 배치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산불을 진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