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터키)와 한국과의관계]
2022년 부터 국호를 터키에서 튀르크인의 땅 을의미하는 튀르크예로 변경되었다.
그렇다면 왜?
터키와 대한민국은 형제국가인가?
2002년 한일월드컵 이후 ‘터키’ 하면 형제의 나라라는 수식어가 떠오릅니다.
하지만 그렇게 불리는이유를 알고있는 사람은 그리 많은 것 같지는 않습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터키가6·25 때 미국,영국에 이어
1만4936명이라는 세번째로 많은병력 을 파병하여 미국에이어 두 번째로 많은,721명
전사에2,147명이 부상했다고 말입니다.
그렇다면 ‘왜?’ 그렇게 많은 병력을 파견하고 또전사했을까요?
라는질문을 하면 그들은 대답하지 못합니다.
그건 궁극적인 이유가 될수없기때문이지요.
터키인들은 자신들의
나라를‘투르크’라고 부릅니다.
세계가 대한민국을
코리아(고구려또는 고려)’라고 하는 것처럼 말이지요.
역사를 배웠다면 ‘고구려’와 동시대에 존재했던 ‘돌궐(突厥)’이라는 나라를 알고 있을 겁니다.
220년에 수립된 ‘테오 야브구’ (Teoman Yabgu /흉노/ 匈奴) 왕국은 몽골과 함께 중국에서 흉노(匈奴) 라 불리던 민족의 하나로,6세기 중엽부터8세기 중엽까지 몽골고원을 중심으로 활약했지요.
‘투르크’는 돌궐의다른 발음이며, 우리한민족과 같은 우랄
알타이족으로 고구려전성기엔 글안여진(숙신)과 마찬가지로상당수의 돌궐인이 고구려의기층(基層)민중에 속했습니다.
또한, 고구려와 돌궐은 동맹을맺어 가깝게 지냈는데, 고구려가 멸망한 후(668년)돌궐은 고구려의 유민을 많이받아들이면서 우리민족과 특별히 긴밀해졌습니다
고구려가 멸망하자, 대부분의 서민은 초기엔 당(唐), 후엔 신라의 지배를 받으면 한반도에서 살아갔습니다.
또 귀족계급 등 중상류층 가운데 일부는 당에 포로로 잡혀갔지요.
나머지 고구려 유민은 몽골, 글안 돌궐등 타민족에 섞여 살다가,
682년에 동돌궐이 올란바토르(현 몽고의 수도)에 돌궐 제 2제국을 수립할 때 바로 여기에 참여합니다.
참여한 유민의 숫자가 전체 돌궐 제2제국 인구의 절반인 20만명이 넘었다니 돌궐 제 2제국은 고구려의 후예라 하여도 될 판이지요.
돌궐과 고구려는 계속 우호적이며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서로를 형제의 나라’라 불렀습니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지금의 터키에 자리잡은 그들은 고구려의 후예인 한국인 들을 여전히 형제의
나라라고 부르는 데에는 이처럼 터키가 한때는 고구려의
기층민중이었고, 고구려 멸망 후에는우리가 돌궐 제2 제국의기층민중이었기 때문입니다.
즉, 우리는 아주 오랫동안 형제의 관계였던 거지요.
6·25때 북한이
남침하자,아시아에서는 가장 먼저, 미국, 영국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군대 (1만 4936명, 전사 721명, 부상 2147명)를 파견해 우리를 도왔던 것이지요.
파병이 늦어지자, 터키의 고등학생들이 왜 형제의 나라에 군대를 파견하지 않느냐 면서 데모를 벌였답니다.
6·25 참전과 올림픽등에서 나타난 그들의 한국사랑을 알게 된 한국인들은 월드컵을 치르는 동안 터키의 홈구장과 홈 팬들이 되어 열정적으로 그들을 응원했습니다.
하이라이트는 한국과 터키의 3, 4위전.
자국에서조차 본적이 없는 대형 터키국기가 관중석에 펼쳐지는 순간 TV로 경기를 지켜보던 수많은 터키인이 감동의 눈물을 흘렸다 합니다.
경기는 한국 선수들과 터키 선수들의 살가운 어깨동무로 끝이 났고 터키인들은 승리보다도 한국인들의 터키사랑에 더욱 감동했으며, 그렇게 한국과 터키의‘형제애’는더욱 굳건
해졌습니다.
한국의 경제성장을 자기 일처럼 기뻐하고 자부심을 느끼는 나라,
2002년 월드컵 터키전이 있던 날
한국인에게는 식사비와 호텔비를 안 받던 나라, 월드컵 때 우리가 흔든 터키국기(國旗)가 터키에 폭발적인 한국바람을 일으켜 그 후 터키 수출이 2003년 59%, 2004년 71%나 늘어났다는 KOTRA 통계가 있습니다.
이제 그 형제나라가 고난을 당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도와주고 같이 아파해야됩니다.
6.25 때에 800여명이 생명을 바쳐 우리나라가 존재할 수 있었듯이
우리도 최고의 선행으로 도움을 줘야됩니다.
그들은 피가 섞인 우리들의 형제니까요...
지진으로 생명을 잃은 수많은 튀르키예인들에 삼가
명복을빕니다.
-지인이 보내 준 톡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Oi_TI8seYuc
구름 잔뜩 웅크렸다
저 속에 빗물 들었으면 좋겠다
오늘도 늦잠을 잤다
왜 몸이 이러나?
발목이 그대로 아프다
만져보니 안쪽 발목 힘줄 주변이 아프다
뼈는 이상 없는 것같다
떨어지며 딱딱한 땅에 발바닥이 큰 충격을 받아 힘줄이 놀랬을까?
만일 힘줄에만 문제 있다면 곧 나을 수도 있겠는데...
밥을 비벼 한술
어제 오리훈제 볶은 후라이펜에 집사람이 밥을 비벼준다
오리 기름이 들어가서인지 맛있다
동물들 챙겨 주러 나오니
기온이 포근하다
작년 이맘 땐 눈도 내렸던 것 같은데..
구름이 하늘 가득
비라도 내리면 참 좋겠다
발목이 아파 걷기가 불편
절로 절뚝거린다
대충 동물들 모이만 주었다
잘 걷질 못하겠기에 물을 떠다 줄 수 없다
어제 남은 물을 마시거라
하룻쯤 물이 부족해도 괜찮겠지
발목이 아파 아무 것도 못하겠다
중국무협드라마 한편
시간 보내긴 이게 참 좋다
점심 땐 작은 사돈들과 같이 식사하자 했다고
동화에 사시는 사돈 동서네 집으로 오라 했단다
다리가 아프니 움직이기 싫은데..
그래도 모처럼 같이 만나 식사하자 했다는데 가 보아야겠지
집사람이 딸기라도 사가지고 가잔다
노열동생에게 전화해 보니 받질 않는다
일하고 있을까?
잠시후 노열동생에게서 전화
일하고 있다가 받질 못했단다
딸기를 두박스만 따달라고 하니
따 놓을테니 가지러 오란다
사돈네 집에 갈 때 들러가면 되겠다
12시 좀 넘어 사돈네 집으로
노열동생 딸기 하우스에 들러 딸기 두박스를 샀다
요즘 가장 좋은 딸기 경매가가 만 오천원이란다
그렇게만 나와도 괜찮을 것같다
작은 사돈 동서네 집에 가니
반갑게 맞는다
아직 작은 사돈네는 오지 않았다
오늘 바깥 사돈이 일하러 가질 않아 같이 오기로 했단다
오랜만에 작은 사돈 얼굴을 보나 보다
하우스 안에다 상을 차려 놓았다
하우스 안에 나무 난로를 설치해 하우스 안이 따뜻하다
작은 사돈네도 도착
장어를 구워 막걸리 한잔
작은 사돈도 한잔 하려는데 전화
오늘 나와서 일을 해야한단다
기계가 고장나서 하루 쉬기로 했는데 기계를 고쳐 실어다 주어야할 물건이 있단다
사돈은 목재 가루를 실어다 화력발전소에 납품하는 일을 한다고
그래서 쉬는 날 없이 매일 한번씩 목재 가루를 실어다 준단다
오늘은 기계가 고장 나 모처럼 쉬기로 했었는데 다시 또 나가야 한다고
별 수 없지
모처럼 같이 술 한잔 할 기회였는데...
장어로 배를 다 채웠는데 또 토끼탕을 끓였다
토끼탕도 참 맛있다
배가 만땅되게 먹고 마셨다
다음엔 서로 날짜 잡아 1박 2일로 가까운 곳이라도 다녀 오자고
사돈들과 생각이 맞기에 만남이 즐겁다
여동생 전화
발목이 아프면 병원에 가보란다
괜찮다고 놔두었다가는 크게 아플 수 있다고
오전에 동생도 병원에 가보라고 전화했다
오늘 밤 자고 나서 별 차도 없으면 내일은 병원에 가보아야겠다
낮잠 한숨 자고 일어나니 여섯시가 다되간다
비온다는 예보 있었는데...
구름만 가득 하고 비는 내리지 않는다
지독히도 오기 싫나보다
낮에 잘 먹어 저녁은 생략
발목 아프니 일찍 잠자는게 좋겠다
창문을 여니 포근
영상의 날씨인가 보다
님이여!
냇가 버들강아지도 하루가 다르게 도톰해지네요
봄의 기운 가슴에 품으시면서
이 주에도 건강과 행복의 주인공은 님이시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