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언 논란' 김정호 총괄, SNS에 심정 토로 "카카오 망하면, 골프 때문" 소문 파다 보육시설은 없고, 초호화 골프회원권 수두룩 "골프장 회원권 현황 보고 지시에 한 달 간 미적" 800억 규모 사업도 내부 결재 없이 묻지마식 계약
■골프 때문에 카카오 망한다는 소문 무성
ICT업계에 따르면 김 총괄은 28일 늦은 오후 페이스북을 통해 “(지난 9월) 첫 출근 날 브라이언(김범수 카카오 창업자)은 제게 ‘법인 골프 회원권을 조사해 정리해달라’ ‘그간 대표이사들이 알아서 운영했다’고 말했다”며 “그간 ‘카카오는 망하면 골프 때문일 것’이라는 소문이 파다해 쇄신이 필요했다”고 밝혔다.
김 총괄은 “파악해보니 많은 수량이 아니었다”면서도 “100여 명 대표이사는 아예 골프회원권이 없었으나, 특정 부서는 KPGA 대회를 3주 연속 출전하는 수준으로 골프를 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김 총괄은 이후 골프회원권을 75% 가량 매각한 뒤, 매각대금을 휴양 및 보육 시설에 쓰겠다는 계획을 세웠다고 밝혔다. 직원용 자산이 대폭 늘어나는 방향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결정 이후 2달간 전쟁 수준의 갈등을 빚었다고 토로했다. 김 총괄은 이후 “브랜든(김정호 총괄)은 골프를 안쳐봐서 모른다” “답답하다”는 취지의 전화를 수차례 받았다고 밝혔다.
■ 김 총괄, 카카오 연봉 체계 엉망진창 지적
김 총괄은 직원들의 평가 및 소득 체계에도 문제가 있다고 봤다. 그는 “남녀 직원 중위 소득을 점검한 결과 거의 비슷했다”면서도 연봉과 평가 및 보상 제도에는 큰 문제가 있었다고 했다.
김 총괄에 따르면 카카오 한 관리부서 A실장은 자신보다 경력이 많은 B개발부서장에 비해 2.5배 많은 연봉을 받았다. A실장은 20억원 이상 초고가 골프장 법인회원권도 가지고 있었다. 다만, 직원들은 1년에 2박도 못갈 정도로 열악한 실정이었다.
보육시설은 판교 사무실에만 있었다. 제주도 등 다른 시설은 아예 없었다고 김 총괄은 전했다.
김 총괄은 “SM사태와 압수수색 등으로 정신이 없는 상황에서도 평가 및 보상 제도를 전면 재검토하는 등 제도를 마련했다”면서도 “그럼에도, 건축과 장비에 관한 제보가 계속 들어왔고, 우선 제주도에 지을 ESG센터와 관련해 임원 및 부서장 회의를 소집했다”고 했다.
첫댓글 욕먹어도 싸드만
쌍욕으로 그치는게 양반
회사이름으로 골프회원권 줄줄인거 딱 좃소나 할 행동인데 카카오급 기업에서 할 건 아니지
연진이 시어머니처럼 퍼터 들고 날뛰지 않은것만 해도 감사해야함
ㅋㅋㅋㅋ 느그 돈으로 쳐라
기사내용만보면 골프채로 머리안친게 다행일수준인데
아니 저런 대기업 임원들 꼬라지 왜저럼? ㅋㅋㅋ
면제권 주자 골프대로 몇대 칩시다
와…
김정호가 개병신이라는 말로 끝내준게 양반이넼ㅋㅋㅋ 덩치는 오지게 큰데 속은 좃소급이네
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