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제규 시사인 편집국장 편지>
코로나19가 진정되더라도 ‘빈곤 확진자’ 속출은 이제 시작일지 모른다. 전혜원, 나경희, 김영화 기자가 코로나19가 드러낸 우리 사회의 약한 고리를 들여다 보았다. 김동인 기자는 마스크 배급제에서도 빠진 미등록 이주노동자를 취재했다. 변진경 기자는 ‘주간 코로나19’에서 전문가들과 코로나 시대 대중 심리, 특히 ‘마음 백신’을 점검했다. 김영화 기자는 이탈리아 현지 의료인, 중국 현지 의료인을 이메일 인터뷰 했다. 김연희 기자는 ‘마스크 과학’을 심층 취재했다. 마스크 역사, 원리, 효능, 논란 등 ‘아무튼 마스크’ 기획이다. 그 외에도 천관율, 이상원 기자는 여야의 비례정당 논란을 다루었다.
새벽에 마감한 편집국장 편지—-
새로운 일상
엘리베이터를 탔다. 습관처럼 ‘닫힘’ 버튼에 손이 갔다. 멈칫했다. ‘접촉’을 피하고 싶어 닫힐 때까지 기다렸다. 코로나19가 바꾼 작은 변화다. 전에는 저절로 문이 닫히는 6초를 못 기다렸다. 타자마자 닫힘 버튼에 손이 갔다. 빨리빨리 강박이 몸에 뱄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코로나19의 단기간 소멸은 어렵다고 했다. ‘새로운 일상’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파도 나온다’는 문화를 ‘아프면 쉰다’로 개선해야 한다.” 그의 말이 두고두고 떠올랐다. 우리는 아파도 직장에 나갔고, 아파도 학교에 보냈다. 나도 최근 백내장 수술을 받았다. 수술 뒤 쉬어야 하는데, 아파도 출근했다. 미련한 짓이었다.
우리는 이제 코로나19 이전의 삶으로 되돌아 갈 수 없다. 달라져야 생존한다. 코로나19가 나와 너가 아닌, ‘우리’와 ‘공동체’에 눈 뜨게 했다. 나아가 전 지구적 삶을 절감시켰다. 한국만 잘한다고 ‘코로나19 제로’ 시대가 되지 않는다. 일본, 중국, 이탈리아, 스페인, 미국… 전 세계가 함께 대처해야 팬데믹을 끝낼 수 있다. 암울하게도 ‘주간 코로나19’ 코너의 전문가들은 팬데믹이 1~2년 더 지속될 거라고 예상한다.
길게 보며 새로운 일상을 실천하자. ‘잠시 멈춤’을 일상화하자. 우리는 너무 바쁘게 살아왔다. 자본주의 최전선 뉴욕시 횡단보도 보행 작동 신호기는 러시아워 때 작동되지 않는다고 한다. ‘한시도 가만히 있을 수 없다는 현대인의 강박을 달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브루스 데이즐리, <조이 오브 워크>, 2020).’
몇 초도 기다리지 못하고, 나만 보고, 앞만 보고 내달리는 빨리빨리 증후군에서 이번 참에 벗어나자. 잠시 멈추고 주변을 둘러보자. 잠시 멈춤이 어려운 이들이 많다. 임금이 깎이고, 일자리를 잃고, 가게 문을 닫는 이들이다. 코로나19가 경제에 미치는 파장으로 ‘빈곤 확진자’들이 속출할 것이다.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 방역은 한국 모델이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경제 대책은 한참 뒤쳐져 있다. 발상의 대전환이 필요하다. 코로나19 이전 방식으로는 벼랑 끝으로 내몰린 이들을 구할 수 없다. ‘재난기본소득’이든, ‘긴급재난소득’이든 이름이야 어떻든 벼랑 끝에 내몰린 이들에게 동아줄이 되어야 한다.
엘리베이터 앞, 올라가기 버튼을 누르려다 말았다.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했다. 느리게 걸어 올라가며 ‘주간 코로나19’ 게스트로 나온 박한선 박사의 말을 곱씹는다. “언론이 취약계층을 계속 강조해 얘기를 해줘야 한다. …이런 사람들이 소리 없이 죽어가기 전에 살펴야 한다.” 코로나19가 드러낸 우리사회의 ‘약한 고리’를 이번 호 커버스토리에 담았다.
*봄볕이 포근한 날엔 후원 ㅋ https://support.sisain.co.kr
*김아무개 모은남 출판국장이 자꾸 뭘 한다. 사회적 거리 두기 때 할만한 프로젝트, 벌써 신청자가 200명이 넘었다고 한다.
하루 한 편 시사IN 기사 함께 읽기 https://project100.kakao.com/project/4002/introduce 시사IN 비구독자(온라인 무료 구독자)도 참여할 수 있다고 한다.
*출판팀에서 나온 화제의 신간 <외롭지 않을 권리> 황두영 지음, 시사IN북 펴냄 https://bit.ly/2WmqUq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