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르디게이로 갈레고 (Perdigueiro Galego)
► 이 명 : 갈리시안 포인터(Galician Pointer), 페르디게로 갈레고(Perdiguero Gallego), 페르디게이로 갈레고(Perdigueiro Galego), 카오 페르디게이로 포르투기스(Cão Perdigueiro Galego Português), 갈리시안 포르투기스 포인터(Galician Portuguese Pointer)
► 형 태 : 페르디게이로 갈레고(Perdigueiro Galego)의 크기는 평균 체고가 수컷 55~60 ㎝, 암컷 50~55㎝ 이고, 평균 체중은 20~25kg 정도되는 중형견이다. 수컷이 암컷보다는 체고가 조금 더 큰 편이지만 체중은 비슷하다. 일반적인 조류 사냥개 그룹인 스포팅 그룹에 속하며, 사냥감을 찾아내어 알려주는 포인팅 역할과 회수를 하는 리트리버 역할도 잘 한다. 머리는 각기둥 모양(Prism-shaped)이고 넙적하며, 주둥이와 두개골 그리고 얼굴의 경계선이 선명하다. 입술은 두툼하며, 침을 흘리는 기색은 보이지 않는다. 이빨은 튼튼하고 강하며, 눈의 색은 일반적으로 어두운 색이다. 목은 근육질이고, 목의 윗부분은 곧거나 약간 아치형이며, 때로는 약간의 이중 턱을 가지고 있다. 직사각형 몸체와 가슴은 부피가 크고 넓으며 깊다. 꼬리는 보통 지나치게 길지 않으며, 밑부분이 굵고 튼튼하며 점차 끝부분까지 가늘어진다. 움직임은 보폭이 넓으며, 율동적인 생동감을 가진 유연한 동작으로 보행한다. 털은 길이가 짧은 숏헤어드(Short-haired), 두꺼운 틱헤어드(Thick-haired), 매우 조밀한 덴스헤어드(Dense-haired), 매끄러운 스무드헤어드(Smooth-haired) 거친 러프헤어드(Rough-haired) 등을 가지고 있다. 모색은 백색, 갈색, 오렌지색, 계피색&검은색(Cinnamon and Black)으로 보기엔 다소 더러워 보인다. 백색&갈색&흑색의 트라이컬러(Tricolor)를 가진 개체도 있다. 눈썹과 볼에는 황갈색 자국(Tan Markings)이 있다.
► 설 명 : 페르디게이로 갈레고(Perdigueiro Galego)는 유순하고 순종적이며 다정한 동물이며, 사냥에 있어서는 불굴의 용기와 용맹성을 지닌 기질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가시덤불에 대한 두려움 없이 사냥꾼이 쓰러뜨린 사냥감을 숲에서 찾아내거나 되찾아 회수해 온다. 뛰어난 후각를 가지고 있으며, 활동적인 수색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후에 적응하여 주의와 철저함으로 흔적을 추적한다. 사냥꾼과 지속적으로 접촉을 유지하면서 무엇을 전달하는지 그리고 긴장된 근육, 높은 꼬리, 움직이지 않는 머리 등의 특유의 신체 자세와 함께 포획된 사냥감에 대하여 후각 반응의 표정을 엄격하게 보여준다. 사냥꾼과 가까운 곳에서 일하면서 갈리시아(Galician)의 폐쇄적이고 험악한 산악지대에서 사냥꾼이 잡은 사냥감을 찾아내기 위해 보통 달리기와 빠른 속보로 걷기를 교대로 하면서 완벽하게 수색하여 회수해 옴으로써 염려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것은 또한 집토끼와 산토끼 등의 털을 이용하여 사전에 이러한 일련의 사냥에 대한 것들을 훈련시킬 수 있다. 한배에 낳는 새끼 수는 4~8마리 정도이며, 평균 수명은 12 ~ 14년 정도이다.
► 주 의 : 특별히 알려진 유전적 질환은 없으며, 질병에 대한 내성도 강한 편이어서 잔병치레도 거의 하지 않는다.튼튼하고 강건하지만 백내장이나 결막염 등 눈과 관련된 질병에 노출되거나 운동량이 아주 많아서 관절염을 앓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
사냥을 위해서는 이에 필요한 훈련을 시켜야 하며, 충분한 훈련이 되었더라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훈련을 시키는 등의 배려가 있어야 한다. 한 가지를 계속하여 반복훈련 하는 것은 좋지 않으며, 이는 포인팅 견종의 공통사항이다. 포인팅 도그는 비교적 영리하며 주인의 관심을 계속 받기를 원하기 때문에 자주 명령을 해 주어 거기에 대해 복종을 하게 해야 스트레스도 받지 않고 건강하게 생활을 할 수 있다.
식탐이 강한 편이지만 운동량이 많아서 비만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 개체에 따라서는 보다 강한 식탐을 보일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식사량을 조절하거나 보다 강한 운동을 시킬 필요가 있다. 매일 규칙적인 30분 이상의 운동과 산책은 필수적이다. 운동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심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반항적이거나 파괴적인 성격이 나타날 수 있다.
털 빠짐은 보통 정도여서 평소에는 수시로 빗질만 해 주어도 털은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 봄철(초여름까지 이어짐)의 털갈이 시기에는 살이 보일 정도로 많은 털이 빠지므로 자주 빗질을 해 주어야 한다. 단미를 할 경우에는 태어나자 말자 꼬리에 강한 실을 5분의 2 정도만을 남겨둔 상태에서 감아두면 저절로 나머지의 꼬리가 잘려 나간다. 환경적응력이 뛰어나서 추위와 더위에 비교적 강 편이다.
► 기 원 : 페르디게이로 갈레고(Perdigueiro Galego)의 원산국은 스페인이다. 스페인 북서부의 해안 지역인 갈리시아(Galicia)에서 유래한 개 품종으로 깃털이 있는 사냥감, 즉 자고새, 멧도요새, 메추라기 등의 조류 사냥을 전문적으로 도와주는 포인팅 도그이다. 이 품종의 기원은 수세기 전 고대 로마인들과 함께 스페인에 들어왔으며, 현재 프랑스의 루시타니아(Lusitania) 북부와 남서부 사이의 지역에 정착했던 브라코 이탈리아노(Bracco Italiano)의 고대 유형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품종은 다른 지리학적 지역들의 유전자형이 동일한 개체의 무리인 생물 계통에서 형태학적 변화들을 겪었으며, 이는 다른 매체에 대한 적응에 따라 다른 품종으로 이어졌다.
페르디게이로 포르투게스, 페르디게이로 갈레고, 스페니시 포인터, 파쵼 나바로, 올드 스패니시 포인터, 가스코뉴 유형의 브라크 프랑세(Braque français), 그리고 가벼운 체중의 피레네(Pyrénées) 유형의 브라크 프랑세(Braque français) 등이다. 이러한 종류의 개, 특히 페르디게이로 포르투게스와 올드 스패니시 포인터가 뒤이어 잉글리시 포인터 그리고 페르디게로 데 부르고스(Perdiguero de Burgos)로 이어졌고, 페르디게로 데 부르고스(Perdiguero de Burgos)는 저먼 쇼트헤어드 포인터에서 유래되었다.
페르디게이로 갈레고의 기원은 이베리아 반도의 북서쪽 전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곳은 숲과 관목지의 험준한 지형이 있고 토제라스(Tojeras)와 풍부한 관목림이 있으며 빈터가 거의 없다. 그것은 리오스(Riós), 라자(Laza), 그리고 베이가(Veiga)의 자치체뿐만 아니라, 오렌세난(Orensenan) 지역 메즈키타(Mezquita)와 비아나 도 볼로(Viana do Bolo)에서도 자주 목격되었다. 1970년대부터 외래 품종의 도입으로 매우 교잡되었고, 사실상 포인터와 저먼 숏헤어드 포인터에 의해 흡수되어 이 품종의 감소와 사실상 소멸을 초래하였다. 지금 현재 이들은 몇 개의 표본에서 회복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루고(Lugo) 지방과 특히 우레네(Ourense) 지방에 흩어져 있는 다양한 순수성에서 여전히 발견될 수 있다.
► 비 고 : 페르디게이로 갈레고(Perdigueiro Galego)는 현재까지 세계 애견 연맹(FCI)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현재 세계의 어떤 다른 주요 켄넬 클럽으로부터도 표준화 품종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