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산구 광주광역시 광주 전기공사 업체 명단 회사명 주소 연락처 입니다
주식회사 창해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118번길 47, 202호 (우산동) 062-576-4885
(주)일진전기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24번길 69 062-945-0141
(주)쏠파워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106번길 109-18 (우산동) 062-682-0124
여동전력 주식회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방울대로 611-14 (도천동) 062-676-2335
(주)삼진에너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로147번길 8-36 (비아동) 062-955-9923
(주)토탈전기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동원촌길 57-11 (비아동) 062-714-3323
(주)한백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로 23 062-954-1122
(유)우전 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등대로621번길 5 (소촌동) 062-941-4455
(주)백산산업개발 광주광역시 광산구 도산로9번길 35, 호반아파트 상가 101호 (도산동) 062-942-7068
(주)아코전기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8번로 145 062-956-0411
(주)서현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등대로621번길 5 062-671-0548
(주)종합시스템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매화안길 23-2 (지죽동) 062-953-6256
(주)대두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등대로647번길 33-38 062-941-9606
(유)나라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로 105 (송정동) 062-942-5858
(주)서진산전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로 137 062-526-0005
(주)남진이엔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도로181번길 23 062-269-4958
주식회사 해원이앤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로147번길 16-33 (비아동) 062-714-2999
주식회사 수연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로 64, 5층502호 (신창동, 프뤼몰타운) 062-573-1903
(주)프로텍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천변좌로 25, 아파트 형공장 204호 (오선동) 062-972-0500
(유)지오 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등대로 612-1 (운수동) 062-943-0025
(주)영빈전기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곡로55번길 13 (월곡동) 062-955-8863
(주)유완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로 103 (비아동) 062-956-0416
(주)가나통신전력공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로1120번길 40, 1층 (송정동) 062-945-8803
주식회사 삼화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내상로33번길 42 (송정동) 062-944-1144
(주)테마전기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로34번길 14-20 (월계동) 062-361-4161
(주)가경소방전력공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봉안길 3 (산월동) 062-954-0446
대륜건설산업(주) 광주광역시 광산구 내상로33번길 92-1 062-941-3418,8
(주)대동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중앙로170번길 58 (쌍암동) 062-972-8221
(주)세명이앤씨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로803번안길 93-19 062-944-0828
(주)우영전기 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등대로621번길 5 (소촌동) 062-941-4455
영재전기(주) 광주광역시 광산구 북문대로 625, 2동 203호(수완동,자동차매매2단지) 062-973-0260
장산기전(주)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산단외로 20-10 062-943-0305
(주)유영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정공원로82번길 8-1 (월곡동) 062-376-1968
(주)이을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로 25-7 (소촌동) 062-953-3717
5 (주)부흥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로 34(월계동) 062-525-5177
주식회사 황룡기업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 146, 2층(우산동) 062-385-2061
(주)한빛네트웍스 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등대로577번길 43(운수동) 062-971-7000
(주)씨젠이엔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로74번길 11-16 062-352-3808
혜광전기(주)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118번길 47-9 (우산동) 062-942-0502
(주)한울전기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105-12 (도산동) 062-941-5300
(주)우성에이스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남안길 20 (장수동) 062-955-0472
동인이엔티(주)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106번길 129-19 (우산동) 062-944-9466
(주)에너지와공조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산단1번로 121 062-513-7000
(주)해양도시가스 광주광역시 광산구 손재로287번길 59 (하남동) 062-950-1222
주식회사 용암전기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중앙로170번길 58 062-671-0548
(주)썬투에너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안길 119-9 (비아동) 062-470-8193
(주)협진정보 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등대로563번길 40 (운수동) 062-523-8850
주식회사 삼광전기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로8번길 50 062-942-5001
주식회사 금문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가매결길 88-45 (신창동) 062-954-0455
(주)광주전기 광주광역시 광산구 풍영정길 417-13 (산월동) 070-7766-3842
한성기전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3번로 32 (장덕동) 062-373-9354
(주)프라임시스템 광주광역시 광산구 목련로 295 (신가동) 062-951-4847
(주)주노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정로61번길 29 062-952-2837
(주)애드빌이엔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가번영로50번길 17 (신가동) 062-953-9997
(주)하남전기조명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가삼효로 30-18 (신가동) 062-371-2757
(주)젠컴에너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방울대로 785 (쌍암동) 062-973-7720
(주)동호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로62번길 36, 2층 (비아동) 062-951-0802
주식회사 송원이앤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완길 103 (수완동) 062-943-6800
주식회사 대한전기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로49번길 28, 201호(수완동,스마트빌딩) 062-955-5321
(주)천일전기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8번로 127-24 (안청동) 062-951-1323
(주)대동계전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산단2번로 25-1 (용동) 062-943-0835~6
(주)미성산업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로803번길 117-34 (용동) 062-971-5102
주식회사 서해이엠씨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중앙로124번길 54,4층 (월계동) 1588-8166
건도전설(주)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로740번길 41 (옥동) 062-945-7656
(주)마스타에프에이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10번로 135 (안청동) 062-952-0050
태일자동제어 주식회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가매결길 28 (신창동) 062-225-4721
세양전기 주식회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106번길 11-28 (우산동) 062-655-8188
주식회사 태림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곡산정로 96-21(월곡동) 062-676-0789
지구에너지 주식회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9번로 199, 2층 202호 (도천동) 062-959-7535
광야전력 주식회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공원로47번길 12-8 (소촌동) 062-945-9192
지원에너지 주식회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도로 257-10 (송정동) 062-945-9603
주식회사 신흥제이앤피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로 163 (소촌동) 062-603-3315
주식회사 대림이앤씨 광주광역시 광산구 체암로 1595 (양동) 062-972-9646
주식회사 대흥기전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산단로 239-45 (옥동) 062-944-9190
덕성전기 주식회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대로54번안길 20(하남동) 062-954-9222
주식회사 도원전설 광주광역시 광산구 풍영로101번안길 7-7, 1층(흑석동) 062-953-3758
주식회사 대국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등로258번길 32, 501호 (신가동, 기안빌딩) 062-385-2856
문암이앤알 주식회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진곡산단중앙로 274 (고룡동) 062-714-3471
주식회사 스카이라이팅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로34번길 20(비아동) 062-961-8245
주식회사 코마테크 광주광역시 광산구 진곡산단중앙로 239(고룡동) 062-956-6036
주식회사 신세기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어등대로665번길 9, 4층(소촌동) 062-946-0081
주식회사 혜민일렉콤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92번길 99-26(우산동) 062-941-4236
주식회사 창성기전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로49번길 36, 2층 201호(수완동) 062-416-0755
에이치엠종합전기 주식회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376, 2층(신촌동) 062-941-9922
주식회사 지경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내촌로35번길 16(월계동) 062-973-0031
주식회사 성창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풍영철길로 190-19(신가동) 062-956-2665
다원씨에스 주식회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목련로394번길 23-7(신가동) 062-959-6657
주식회사 형제이엔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산단6번로 30(월전동) 062-945-9337
대건이앤씨 주식회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 260, 3층(월곡동) 062-956-8477
주식회사 지승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방울대로 326, 202호(수완동,토담빌딩) 062-956-0454
주식회사 대방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산단1번로 161(송촌동) 061-392-0800
주식회사 도현전력공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풍영정길 417-13(산월동) 062-961-3404
미래전력 주식회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로20번길 28, 101동 114호(송정동,광신프로그레스) 062-953-6256
주식회사 핫라인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92번길 107(우산동) 062-416-9911
주식회사 탑일렉트로닉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산단로 238, 203호(월전동) 062-953-1995
주식회사 루멘전기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신로265번길 29, 3층(신창동) 062-959-2969
게스 주식회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완길 314-16(수완동) 062-575-2955
(유)광암 광주광역시 광산구 풍영정길 397 (산월동) 062-251-0494
(주)풍양기업 광주광역시 광산구 목련로394번길 40-7 062-955-0754
(주)영도이엔씨 광주광역시 광산구 풍영철길로 15, 712호 (우산동) 062-951-0459
주식회사 서하 광주광역시 광산구 내상로33번길 118(송정동) 062-952-8100
주식회사 명남전기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신로 261,206호 (신창동,드림프라자) 062-953-0951
성지개발 주식회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로 54(소촌동) 062-943-3965
주식회사 한백이엔씨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로 23 (도천동) 062-954-1137
(주)나우시스템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로24번길 56-4 (비아동) 062-366-7541
주식회사 영흠 광주광역시 광산구 풍영정길 393 (산월동) 062-251-0494
(합)서림전력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도산길 54-1 062-941-7612
주식회사 수석 광주광역시 광산구 구촌반촌길 51 (신창동) 062-251-0494
(주)라전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천변길 67-58(우산동) 062-373-0472
신흥건업(주) 광주광역시 광산구 원두로 70 (월전동) 062-953-3836
선일전력(주)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정공원로10번길 18, 1층(월곡동) 062-954-5115
(주)남양통신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172번길 45 (우산동) 062-949-9800
주식회사 영풍 광주광역시 광산구 풍영철길로 20-3, 2층(우산동) 062-383-1402
(주)구일파워텍 광주광역시 광산구 목련로219번길 102-31 062-951-2600
동광전기 주식회사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가삼효로 12-3(신가동) 062-447-4786
폐변압기 MOF ASS 관리대상기기 지정폐기물처리해드립니다
중고변압기,중고전선 ,중고모타 ,중고몰드변압기 변압기폐기처리 ACB,VCB 인버터,수배반 UPS AVR 변압기 절연유폐기처리 ,MOF ASS 폐기
폐 변압기 MOF ASS 콘덴샤 리액타 등의 절연유 속에는 잔류성 오염물질이며 1급 발암물질이인 PCBs Polychlorinated Biphenyl ,폴리염소화비페닐이 다량으로 들어있어서 모든 변압기를 환경부에서 특별관리하고 있으며 변압기를 사용하거나 보관하고 있는 사업장에서는 2008년 2월 말까지 전수 신고토록 하였으며 만약 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 300만원 부과 대상입니다
사용하고 있는 변압기를 관할관청에 신고하면 관리대상기기신고증명서를 발행하여 주었습니다
그리고 변압기를 철거하였을 경우 45일 이내에 지정폐기물처리를 하여 주어야합니다
지정폐기물처리 절차는
폐기할 변압기의 절연유 시료를 채취하여 PCBs 농도를 검사하여 PCBs농도 분석시험검사서를 발행 받습니다
PCBs 농도 검사서와 변압기 지정폐기물처리업체 허가서와 함께
사업장 대표자님의 도장을 받아 사업장 소재지 시 ,군, 구 환경과(청소행정과, 자원순환과) 접수하시면 7일 이내에 “폐기물처리계획(변경)확인증명서”가 교부 됩니다
그리고 환경부 홈페이지 올바로 시스템에 접속하여 인계서 작성을 마치고 ..폐기절차를 마친 다음 해에 2월 말까지 실적보고를 마치면 폐변압기 지정폐기물처리의 법적 절차가 종료되는 것 입니다
**관리대상기기신고증명서(분실되었다면 재발급)소재지 시 ,군, 구 환경과(청소행정과, 자원순환과)에서 재발급
**수용가 사업자등록증사본
**PCBs검사서(없다면 새롭게 검사 하시면 됩니다)
작성자 ; 부여국제전기 중부영업소 부장 이 관호
자세한 사항은 010-5245-7229로 언제든 문의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전기공사 중고변압기 몰드변압기 폐변압기 수배전반 중고전선 중고모타 콤푸레샤 폐전선 호이스트 냉동기 발전기 고가 매입
부국전기
010 - 5245 - 7229 영업부장 이 관호
폐변압기 MOF ASS 관리대상기기 지정폐기물처리해드립니다
상담시간 :새벽 5시부터 밤 12시까지
폐 변압기 가격은 여러가지 요건에 따라 가격이 결정됩니다
관리 대상기기 지정폐기물 처리 법이 적용되기 전에는
22900V~380v,220v 는 KVA 당 5000 원에서 6000 원에 보통 매입하였으나 지금은 관리대상 기기를 폐기 시에는 법적 절차를 밟아 지정폐기물 처리를 해 주어야하기 때문에
절연유의 PCBs 검사를 하여야하며 검사료는 건당 10 만원이 듭니다
그리고 지정폐기물 처리비와 지정폐기물 운반비가 들게 됩니다
보통 처리비는 20 만원 가량이고 운반비는 20 만원 정도입니다
보통 100~~ 500KVa는 KVa당 5000 원씩 매입하되
지정폐기물처리비와 지정폐기물운반비 그리고 절연유 검사비를 변압기 값에서 빼면됩니다
폐변압기 고가 매입합니다
자세한 문의는 부국전기 영업부 부장 이관호
010-5245-7229 로 24시간 연락 주시면 성실히 상담하여드립니다
또한 22000v ~~~3300v 나 3300v~~220v 등 특수 전압의 변압기는 재활용되는 경우가 별로 없기 때문에 대부분 해체용으로 폐기됩니다
그럴 경우 2005년 이후에는 동 가격의 폭등으로 동의 대체금속인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었기에 해체될 경우 가격이 떨어지게 됩니다
또한 메이커 마다 제작년도와 관계 없이 줄곧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져(효성) 가격이 높지 않습니다
그리고 재활용 되는 변압기라도 코일이 소손된 변압기라면
2004년 이전에 제작된 변압기와 2004년 이후에 제작된 변압기는 가격차이가 납니다
2004년 이후에는 구리 가격의 폭등으로 구리의 대체 금속인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관계로 2004년 이후 제작된 제품은 가격이 쌉니다
그러므로 자세한 것은 전화 상담 바랍니다
010-5245-7229 부국전기 영업부 이 관호 부장
폐변압기 고가 매입합니다
철거 폐변압기 지정폐기물처리하여 드립니다
관리대상기기의 지정폐기물 처리 절차와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관리대상기기가 무었인지 알아야 이해가 쉬어집니다
관리대상기기란 전력기기중에 절연유가 들어간 품목은 전부 관리대상기기에 포함됩니다
유입식 변압기 ,, ASS MOF,, 콘덴서 ,,PT ..CT ..OCB.. OS..리엑터 등
절연유가 들어간 것은 모두 포함됩니다
1980년대 이전에는 전기 절연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일부러 절연유 속에 PCBs (Polychlorinated Biphenyl의 약자이며 폴리염소화비페닐이) 를 첨가해서 사용했었읍니다
하지만 그 PCBs가 일급 발암물질이며 잔류성 오염물질이란 것이 새롭게 밝혀진 것입니다
그래서 세계 각국의 환경에 관련된 관료들이 스웨덴 스톡콜롬에서 모여 회의를하여 앞으로는 PCBs를 지구상에서 근절 시키기로 협의하였읍니다
우리나라는 2015년까지 PCBs를 국내에서 근절하기로 결정하고 절연유가 들어간 전력기기를 특별 관리하기로하였읍니다
그래서 절연유가 들어간 전력기기들을 "관리대상기기"로 명명하게 된 것입니다
환경부에서 (유입식 변압기 ,, ASS MOF,, 콘덴서 ,,PT ..CT ..OCB.. OS..리엑터 등)을 특별히 관리하겠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는 각 수용가에게 지시를 내려 관리대상기기를 사용하거나 보관 중인 사업장에서는 소재지 관할관청에 ( 시 , 군. 구) 자동차를 등록하듯이 등록하라고 지시를 내린 것입니다 ( 2008년 2월 말 까지)
관리 대상기기신고 증명서에는 사업장의 회사명과 주소 , 경영주 성명 ,, 사업자등록번호와 변압기의 제조회사명과 제조번호,, 품명 ,,용량, 총중량, 제조번호.유량등이 상세히 기록되어있읍니다
폐기시킬 때에는 각 품목 개개 마다 절연유 속에 포함된 PCBs 농도를 측정하여
재황용처리냐 아니면 소각처리하느냐가 결정됩니다
재활용처리나 소각처리나 모두 지장폐기물처리를 하여야합니다
다만 재활용처리는 돈을 받고 팔 수가 있는 것이고 소각처리는 오히려 중량으로 Ton당 150 만원에서 200 만원의 고비용이 들어갑니다
재활용은 PCBs 불검출로 나와야하고 소각처리는 PCBs 검출이면 Ton당
150 만원에서 200 만원의 고비용을 들여서 1300도의 고열로 소각처리해
주어야 합니다
폐기처리하려는 변압기가 크든 손바닥만 하든 똑같은 PCBs 검사를 받아야하고 허가 받은 지정폐기물처리 업체에 의뢰하여 법적인 절차를거쳐서 지정폐기물처리를 하여주셔야합니다
즉 수 십톤 나가는 커다란 변압기나 도시락만한 콘덴서 하나를 처리하나 절차는 다 똑같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ASS(유입식 차단기) 한대를 지정폐기물 처리를하더라도 절연유속의PCBs 검사를 거쳐야하고 관할관청의 허가를 받아야하므로 PCBs 검사료 건당 10만원과 ,,지정폐기물 처리비용 30 만원 ,, 지정폐기물 운반비 20 만원이들게 됩니다
무게 10 톤짜리 변압기를 처리하는 비용이나 무게 250Kg 의 MOF나 ASS를 처리하는 비용이나 똑 같다는 말입니다
다만 무게가 무거운 변압기는 변압기의 고철값에서 처리비용을 빼고 돈을 받게 되지만 MOF나 ASS는 고철로 처분해도 5만에서 8 만원밖에 나오지 않기 때문에 고철 값보다 폐기비용이 더 크기 때문에 오히려 약 50 만원의 비용을 지불하셔야 합니다
(관리대상기기)
폐 변압기 가격은 여러가지 요건에 따라 가격이 결정됩니다
관리 대상기기 지정폐기물 처리 법이 적용되기 전에는
22900V~380v,220v 는 KVA 당 5000 원에서 6000 원에 보통 매입하였으나 지금은 관리대상 기기를 폐기 시에는 법적 절차를 밟아 지정폐기물 처리를 해 주어야하기 때문에
절연유의 PCBs 검사를 하여야하며 검사료는 건당 10 만원이 듭니다
그리고 지정폐기물 처리비와 지정폐기물 운반비가 들게 됩니다
보통 처리비는 20 만원 가량이고 운반비는 20 만원 정도입니다
보통 100~~ 500KVa는 KVa당 5000 원씩 매입하되
지정폐기물처리비와 지정폐기물운반비 그리고 절연유 검사비를 변압기 값에서 빼면됩니다
폐변압기 고가 매입합니다
자세한 문의는 부국전기 영업부 부장 이관호
010-5245-7229 로 24시간 연락 주시면 성실히 상담하여드립니다
또한 22000v ~~~3300v 나 3300v~~220v 등 특수 전압의 변압기는 재활용되는 경우가 별로 없기 때문에 대부분 해체용으로 폐기됩니다
그럴 경우 2005년 이후에는 동 가격의 폭등으로 동의 대체금속인 알루미늄으로 제작되었기에 해체될 경우 가격이 떨어지게 됩니다
또한 메이커 마다 제작년도와 관계 없이 줄곧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져(효성) 가격이 높지 않습니다
그리고 재활용 되는 변압기라도 코일이 소손된 변압기라면
2004년 이전에 제작된 변압기와 2004년 이후에 제작된 변압기는 가격차이가 납니다
2004년 이후에는 구리 가격의 폭등으로 구리의 대체 금속인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관계로 2004년 이후 제작된 제품은 가격이 쌉니다
그러므로 자세한 것은 전화 상담 바랍니다
010-5245-7229 부국전기 영업부 이 관호 부장
폐변압기 고가 매입합니다
철거 폐변압기 지정폐기물처리하여 드립니다
관리대상기기의 지정폐기물 처리 절차와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관리대상기기가 무었인지 알아야 이해가 쉬어집니다
관리대상기기란 전력기기중에 절연유가 들어간 품목은 전부 관리대상기기에 포함됩니다
유입식 변압기 ,, ASS MOF,, 콘덴서 ,,PT ..CT ..OCB.. OS..리엑터 등
절연유가 들어간 것은 모두 포함됩니다
1980년대 이전에는 전기 절연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일부러 절연유 속에 PCBs (Polychlorinated Biphenyl의 약자이며 폴리염소화비페닐이) 를 첨가해서 사용했었읍니다
하지만 그 PCBs가 일급 발암물질이며 잔류성 오염물질이란 것이 새롭게 밝혀진 것입니다
그래서 세계 각국의 환경에 관련된 관료들이 스웨덴 스톡콜롬에서 모여 회의를하여 앞으로는 PCBs를 지구상에서 근절 시키기로 협의하였읍니다
우리나라는 2015년까지 PCBs를 국내에서 근절하기로 결정하고 절연유가 들어간 전력기기를 특별 관리하기로하였읍니다
그래서 절연유가 들어간 전력기기들을 "관리대상기기"로 명명하게 된 것입니다
환경부에서 (유입식 변압기 ,, ASS MOF,, 콘덴서 ,,PT ..CT ..OCB.. OS..리엑터 등)을 특별히 관리하겠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는 각 수용가에게 지시를 내려 관리대상기기를 사용하거나 보관 중인 사업장에서는 소재지 관할관청에 ( 시 , 군. 구) 자동차를 등록하듯이 등록하라고 지시를 내린 것입니다 ( 2008년 2월 말 까지)
관리 대상기기신고 증명서에는 사업장의 회사명과 주소 , 경영주 성명 ,, 사업자등록번호와 변압기의 제조회사명과 제조번호,, 품명 ,,용량, 총중량, 제조번호.유량등이 상세히 기록되어있읍니다
폐기시킬 때에는 각 품목 개개 마다 절연유 속에 포함된 PCBs 농도를 측정하여
재활용처리냐 아니면 소각처리하느냐가 결정됩니다
재활용처리나 소각처리나 모두 지장폐기물처리를 하여야합니다
다만 재활용처리는 돈을 받고 팔 수가 있는 것이고 소각처리는 오히려 중량으로 Ton당 150 만원에서 200 만원의 고비용이 들어갑니다
재활용은 PCBs 불검출로 나와야하고 소각처리는 PCBs 검출이면 Ton당
150 만원에서 200 만원의 고비용을 들여서 1300도의 고열로 소각처리해
주어야 합니다
폐기처리하려는 변압기가 크든 손바닥만 하든 똑같은 PCBs 검사를 받아야하고 허가 받은 지정폐기물처리 업체에 의뢰하여 법적인 절차를거쳐서 지정폐기물처리를 하여주셔야합니다
즉 수 십톤 나가는 커다란 변압기나 도시락만한 콘덴서 하나를 처리하나 절차는 다 똑같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ASS(유입식 차단기) 한대를 지정폐기물 처리를하더라도 절연유속의PCBs 검사를 거쳐야하고 관할관청의 허가를 받아야하므로 PCBs 검사료 건당 10만원과 ,,지정폐기물 처리비용 30 만원 ,, 지정폐기물 운반비 20 만원이들게 됩니다
무게 10 톤짜리 변압기를 처리하는 비용이나 무게 250Kg 의 MOF나 ASS를 처리하는 비용이나 똑 같다는 말입니다
다만 무게가 무거운 변압기는 변압기의 고철값에서 처리비용을 빼고 돈을 받게 되지만 MOF나 ASS는 고철로 처분해도 5만에서 8 만원밖에 나오지 않기 때문에 고철 값보다 폐기비용이 더 크기 때문에 오히려 약 50 만원의 비용을 지불하셔야 합니다
(관리대상기기) 유입변압기.ASS,MOF,PT,콘덴서
PCBs검사
최고의 완벽한 서비스로 완벽한 처리를 자랑합니다
고가 매입
유입변압기,NFB,폐전선,몰드변압기.ACB,VCB
인버터,수배전반,UPS,AVR, 중고전선,발전기
부여국제전기 중부영업소
Fax 080 080 8229
영업부장 이 관호 010-5245-7229
PCBs검사
최고의 완벽한 서비스로 완벽한 처리를 자랑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