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둑에서 들녘으로
사월 하순 화요일 날이 밝아왔다. 평소처럼 전날의 동선을 따라 생활 속 글과 함께 아침 시조는 가술 국도변 동산에 핀 오동꽃을 소재로 삼았다. “동구 밖 산기슭에 한 그루 오동나무 / 신록이 번져갈 때 보라색 꽃 피우니 / 봉황새 이 기품 알아 나래 펼쳐 찾을까 // 나무를 잘라 쪼아 거문고 울림통 짜 / 백아를 떠올리며 둥기둥 줄을 켜면 / 그 친구 종자기처럼 들어 줄 이 있을까”
‘오동꽃 앞에서’라는 제목으로 사진을 곁들여 몇몇 지기들에게 보냈더니 한 선배는 연한 보랏빛 꽃을 피운 오동나무가 어디에 있는지 궁금해해 그 위치를 알려주었다. 아침 식후 강변 산책을 나서기 위해 본포로 가는 버스를 타려고 원이대로로 향했다. 높이 자란 메타스퀘이아 가로수는 연둣빛으로 물들고 있어 싱그럽기만 했다. 무채색 수액에서 어쩌면 저런 색상이 나올까 신비로웠다.
원이대로는 대중교통 급행 운행 체계를 위한 선형 개선 공사가 거의 마무리 단계였다. 노면 재포장과 차선까지 그어져 곧 달라질 버스를 우선한 급행 운행이 시행될 듯한데 아직 타 보질 않아 실감이 나질 않았다. 대방동을 기점 삼아 출발한 30번 버스를 타고 충혼탑을 둘러 명곡교차로와 도계동 만남의 광장을 거쳤다. 근교의 소규모 회사와 요양원으로 출근하는 몇몇 부녀들이 탔다.
용강고개를 넘어간 버스가 동읍사무소와 화양과 동전을 지날 때 승객은 거의 내려 주남저수지를 비켜 갈 때는 빈 차이다시피 했다. 차창 밖으로는 가장자리로 갯버들이 무성해진 주남저수지 수면이 바라보였다. 용산에서 주남 생태학교가 직장인 듯한 두 처자가 내리고 나니 봉강을 거쳐 본포에 닿았을 남은 승객은 혼자였는데 나를 내려준 기사는 차를 돌려 북면 온천장을 향해 달렸다.
마을회관 앞에서 강둑으로 오르는 길로 접어드니 저지대 감자밭은 잎줄기가 웃자라 이랑을 덮을 정도였다. 지난 초봄 자주 내린 비로 잦아 이랑 짓기와 씨감자 심을 시기가 늦어져 경작 농민 애를 태웠더랬는데 싹이 터 무성해졌다. 강둑으로 오르니 본포교 교각을 빠져나온 강물은 수산을 향해 유장하게 흐르고 건너편 학포 수변 갯버들은 멀리서 봐도 정글을 연상될 정도로 무성했다.
강변 풍광을 조망하고 수변공원으로 내려가 자전거길을 따라 걸으니 묵은 물억새 그루터기에서 움이 솟아 세대교체가 이루지는 즈음이었다. 길섶에 조경수로 자란 느릅나무는 아직 잎이 돋지 않은 앙상한 채였고 수양버들은 연초록 잎사귀 무게감에 가지를 휘어 드리워졌다. 수변 공원에서 생림으로 뚫은 60번 국도 옥정교차로에서 강둑으로 나가 길게 뻗은 자전거길을 따라 걸었다.
드넓은 둔치는 창원시민 상수원인 여과수를 퍼 올리는 취수정으로 일반인은 드나들지 못한 구역이었다. 고라니와 꿩들이 서식하기 좋아 녀석들이 천국이다시피 자유롭게 뛰놀고 퍼덕여 날아올랐다. 한때 무릉도원이 연상될 듯 화사한 꽃을 피웠던 야생 복숭아나무는 매실과 같은 열매가 여물고 있을 테다. 국도 건너 대산정수장이 바라보였고 당리에 이르러 굴다리에서 마을로 나갔다.
찻길을 건너 들판으로 나가자 대단지 비닐하우스가 펼쳐졌다. 벼농사 뒷그루 당근이 주력 작목이나 풋고추와 토마토를 비롯해 특용작물 채소가 연중 생산되는 곳으로 일손의 대부분은 외국인 노동자가 차지했다. 비닐하우스 안에서는 무엇엔가 작업에 열중할 베트남 여성들의 목소리가 두런두런 들려왔다. 조립식 건물 바깥에는 숙소에 머물 동남아 청년들의 세탁물이 내걸려 있었다.
들녘 복판 구산마을을 지나던 비닐하우스 안에는 무성한 넝쿨 사이 수박이 보였다. 예년보다 잦은 비로 부족했던 일조량에도 수박이 영글어 농민의 시름을 얼마나마 들면 좋을 듯하다. 들길은 죽동천으로 이어졌는데 당국에서는 하상 퇴적물 준설 작업을 하는 중이었다. 산수유나무가 줄지어 선 언덕에 지칭개가 자주색 꽃송이를 맺었다. 뽀리뱅이도 뒤질세라 노란 꽃망울을 달고 나왔다. 24.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