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독도 폭파 사건은 한국과 일본이 맞장구, 미국도 고려
▲ 위) 김종필 전 중앙정보부장(왼쪽)과 오히라 마사요시 전 외무장관(오른쪽)이 회담하고 있다.(아래) 김-오히라 메모. ©자료사진 | |
독도분쟁. 정병준 목포대 교수가 독도 분쟁에[ 대한 논문을 2005년 여름호에 게재한 내용을 살펴보면, 1947~52년 일본 도쿄에서 미국 민간 관리가 맡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세 직책을 겸직한 인물이 있었다. 미 국무부 주일 정치고문, 연합군 최고사령부 외교국장, 연합국 대일이사회 미국 대표 겸 의장이었던 윌리엄 시볼드(1901∼80)다.
정 교수는 시볼드가 영향력을 발휘한 시기가 연합국과 일본 간의 강화조약이 준비, 체결되는 시기와 겹친다는 점이다. 당초 미국 측 강화조약 1~5차 초안은 독도를 한국령으로 명시하고 있었다. 하지만 시볼드는 49년 11월 미 국무부에 독도를 일본에 귀속시킬 것을 건의했다. ‘이 섬에 대한 일본의 주장은 오래 되었으며,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 근해의 섬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내용이다. 그는 일본 외무성이 작성한 영유권 주장 책자도 미국에 보냈다. 이를 받아들인 미 국무부는 6~9차 초안에서 독도를 일본령으로 포함시킨다. 하지만 영국과 호주가 반대하자 미국은 한 발 물러섰다. 결국 51년 9월 체결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선 독도에 대한 언급 자체가 빠졌다. 일본은 이를 기초로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기 시작한 것이다.
독도만 해도 그렇다. 필자는 이명박 정권을 크게 탓하지는 않는다. 이 이전 박정희정권시절 일본측에 유리하게 할 목적으로 독도 문제를 은밀하게 추진한 박정희와 김종필. 그리고 전두환, 노태우,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정권들을 더 탓하고 싶다.
일제로부터 수많은 선지자들이 독립을 위해 활동하다 붙잡혀 형언할 수 없는 고통으로 죽어갔다. 그런데도 대한민국 건국 전·후 어떠했는가. 민족주의자들은 좌파 진보빨갱이로 몰아 처단하고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은 우파 보수우익를 자처하며 지금껏 호위호식하지 않았던가.
필자는 박정권 시절 한일굴욕협정을 떠나 국민의 정부시절 ‘신한일협정’으로 독도가 ‘공유수역’이 돼버린 것에 더 크게 분노를 느끼고 있다. 그런데 그 주인공이 바로 DJP연합의 당사자 김대중과 김종필씨이다. 당시 김종필 라인으로 추진된 한일어업협정에 대해 반대가 있었다고 전해지지만 당시 국정 총책임자는 김대중씨였다.
이 문제을 정확하게 짚어보기 위해서는 공개한 ‘한일협정’문서가 왜 이렇게까지 되었는지 잘못된 부분을 살펴야 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박정희 정권이 맺은 ‘한일협정’과 김대중 정권이 맺은 ‘신한일협정’ 문서는 무효화해야만 한다. 그들이 친일반민족행위자이건 아니건 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