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시: 1998.10.9
제목: 한글학회의 발자취
제공: 한글학회
세종 대왕
세종 임금은 궁중 안에 학문 연구 기관인 집현전을 설치하여 정인지, 성삼문, 최항, 신숙주, 박팽년, 강희안, 이개, 이선로 등 집현전 학자들과 더불어 세종 25년(1443)에 우리 민족의 가장 빛나는 문화유산인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세종 28년(1446)에 반포한 우리 역사에서뿐 아니라, 세계 인류 역사에서도 드물게 보는 위인입니다.
조선어 학회 수난을 당한 분들
"조선어 학회 수난"이란 1942년 10월, 조선어 학회를 독립 운동 단체로 몰아 학회 관계자들을 검거, 투옥한 사건입니다. 조선어 사전 편찬 관계자 등 33인을 치안 유지법의 내란죄로 몰아 투옥시키고 온갖 고문으로 허위 자백을 강요하였습니다. 애써 이룬 우리말 사전 원고를 압수하였고, 이윤재․한징 두 분 선생을 옥중에서 돌아가시게 한 일입니다.
한글 문화 인물
한글은 겨레 문화의 정수이며 온 세계 사람들이 부러워하는 자랑거리입니다. 세계화 바람이 온 나라를 흔들면서부터 어찌된 일인지 우리가 물려받은 훌륭한 문화 유산마저 업수이 여기는 일들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
"한글 문화 인물"은 한글 창제 이후 우리말과 한글이 온갖 탄압을 받으면서도 끝끝내 살아남을 수 있도록 목숨을 걸고 지켜내어 연구, 보급하였던 선현들의 노력을 바탕으로 이의 발전에 이바지한 여러 훌륭한 분들입니다. 나이, 학력, 지위 따위에 관계 없이 한글 문화 발전에 애쓰고 있는 분들을 기리고자 마련한 자리입니다. 앞으로 계속 찾아 내어 올리겠습니다. 넣어야 할 분이 계시면 연락 바랍니다.
[학글학회의 발자취]
◆ 창립에서 광복 전까지
1907년 7/1-9/3 : 제1회 "하기 국어 강습소" 운영(강사: 주시경, 졸업생 25명).
1908년 7/7-8/31 : 제2회 "하기 국어 강습소" 운영(강사: 주시경).
1908년 8/31 : "국어 연구 학회" 창립(회장: 김정진).
1909년 11/7-1910년 6/30 : 학회에서 제1회 "강습소"(중등과) 설립, 운영함
(강사: 주시경, 졸업생 20명).
1910년 10/?-1911년 6/27 : 제2회 강습소를 운영함(졸업생 51명).
1911년 9/3 : 학회 이름을 "배달 말글 몯음(朝鮮言文會)"으로 바꾸고, "강습소"도 "조선어 강습원"으로 이름을 바꾸고 조직을 넓힘.
1911년 9/17-1912년 3/? : 조선어 강습원 제1회 중등과를 운영함(수업생 126명).
1912년 3/?-1913년 3/? 조선어 강습원 제1회 고등과(졸업생 33명) 및 제2회 중등과 (수업생 38명)를 운영함.
1913년 3/?-1914년 3/? : 조선어 강습원 제1회 초등과를 운영함(진급생 8명).
1913년 3/23 : 학회 이름을 "한글모"로 바꿈(회장: 주시경).
1914년 3/? : 조선어 강습원 제2회 고등과 졸업식(졸업생 21명) 및 제3회 중등과 수업식(수업생 39명)을 가짐.
1914년 4/? : "조선어 강습원"을 "한글 배곧"으로 이름을 바꿈.
1915년 3/? : 한글 배곧(←조선어 강습원) 제3회 고등과 졸업식(23명) 및 제4회 중등과 수업식(39명)을 가짐.
1916년 3/20 : 한글 배곧 제4회 고등과 졸업식(21명) 제5회 중등과 수업식(7명)을 가짐.
1917년 3/11 : 한글 배곧 제5회 고등과 졸업식(14명) 및 제6회 중등과 수업식(17명)을 가짐.
1921년 12/3 : "조선어 연구회"라는 이름으로 학회 활동을 다시 시작함 (간사장: 임경재). 사무실은 서울 중구 수표동 42번지에.
1926년 11/4(음력 9/29) : 《세종 실록》 권 113의 "세종 28년 9월에 훈민정음이 이루어지다"란 기록을 좇아 이 달의 끝 날인 음력 9월 29일을 '훈민정음 반포 일'로 삼기로 하고, 훈민정음 반포 8회갑(480돌)을 맞이하여 이 날을 "가갸날"이라 이름하고 그 첫 기념식을 가짐.
1927년 2/8 : 동인지 《한글》(월간) 첫호를 펴냄(4×6판, 세로짜기). 제2호부터는 4×6배판으로.
1928년 11/11(음력 9/29) : "가갸날"을 "한글날"로 고침.
1928년 10/12 : 동인지 《한글》 제9호로 폐간함.
1929년 10/31(한글날) : 조선어 사전 편찬회를 만듦.
1930년 1/5 : 강연회(=연구 발표회)를 엶. 2/8, 3/8, 4/12, 6/14, 7/12, 9/13, 10/11, 11/8, 12/13에도.
1930년 5/10 : 월례 모임에서 한글 가로풀어 쓰기에 대하여 토론함.
1930년 7/31-8/9 : 한글(국어) 강습회를 엶.
1930년 12/13 : 학회 안에 철자법 제정 위원회를 둠.
1931년 1/10 : 학회 이름을 "조선어 학회"로 고침.
1931년 1/24 : 학회 안에 외래어 표기법 및 부수 문제 협의회를 둠.
1931년 2/14 : 월례 연구 발표회. 3/14, 4/11, 5/19, 6/13, 7/11, 9/12, 10/10에도.
1931년 여름(7-9월) : 전국 순회 한글 강습회를 엶. 3년 동안 계속.
1931년 10/29 : '음력 9월 29일(한글날)'을 율리우스력(양력)으로 환산하여 얻은 이 날을 한글날로 삼움.
1932년 1/9 : 신명균님을 새 간사장으로 뽑음.(앞 간사장: 이극로)
1932년 5/1 : 학회지 《한글》(월간) 첫호를 펴냄(4×6배판, 가로짜기). 이 해에 제6호(12/26)까지 펴냄.
1932년 5/14 : 월례 연구 발표회. 6/11, 7/9, 12/10에도.
1932년 7-9월 : 한글 계몽 순회 강연회를 엶.
1932년 9/16 : 물리 화학 수학 술어 531개 낱말 제정 발표.
1933년 1/4 : "한글 맞춤법 통일안" 심의 제1독회를 가짐.
1933년 3/10 : 《한글》 제7호 펴냄. 이 해에 제9호(8/4)까지 펴냄.
1933년 5/13 : 월례 연구 발표회. 6/10, 11/1, 12/9에도.
1933년 7/26 : "한글 맞춤법 통일안" 심의 제2독회를 가짐.
1933년 여름 : 한글(국어) 강습회를 엶.
1933년 10/19 : 임시 총회를 열어 "한글 맞춤법 통일안"의 채택을 결의함.
1933년 10/29(한글날) :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책으로 펴내어 발표함.
1934년 1/25 : 《한글》 제10호 펴냄. 제11호(4/14)부터는 세로짜기로 바꾸어 이 해에 제19호(12/1)까지 펴냄.
1934년 5/12 : 월례 연구 발표회. 7/7, 9/8, 12/14에도.
1934년 여름 : 학회 안에 표준말 사정 위원회를 둠.
1934년 10/27-29 : 제1회 조선 어학 도서 전람회를 엶.
1934년 10/28 : '10월 29일'을 그레고리오력으로 환산하여 얻은 이 날을 한글날로 다시 바꿈.
1935년 1/1 : 《한글》 제20호 펴냄(책 크기를 5×7판으로 바꿈). 이 해에 제29호(12/1)까지 펴냄.
1935년 1/2 : 표준말 사정 제1독회를 가짐. 4일 동안 계속.
1935년 2/23 : 월례 연구 발표회. 6/8, 9/14, 10/12, 12/13에도.
1935년 7/11 : 서울 종로구 화동 129번지로 학회 사무실을 옮김.
1935년 8/5 : 표준어 사정 제2독회를 가짐. 5일 동안 계속.
1936년 1/1 : 《한글》 제31호 펴냄. 이 해에 제40호(12/1)까지 펴냄.
1936년 1/11 : 월례 연구 발표회. 6/13, 11/18, 12/19에도.
1936년 3/3 : 조선어 사전 편찬 위원회를 만듦.
1936년 3/20 : 조선어 사전 편찬회를 해산하고 그 일을 학회에서 맡음.
1936년 7/30 : 표준말 사정 제3독회를 가짐. 3일 동안 계속.
1936년 10/28(한글날) :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을 펴냄.
1936년 11/7 : 주시경 선생 환갑 기념 추모회를 가짐.
1937년 1/1 : 《한글》 제41호 펴냄. 이 때부터 책 모양새를 가로짜기로 바꾸고, 책 제목 글씨를 한힌샘의 글씨(《말의 소리》에서 골라)로 바꿈. 이 해에 제51호(12/1)까지 펴냄.
1937년 1/11, 12, 14, 16 : 한글(국어) 강습회를 엶.
1937년 3/1 :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1차 수정 끝냄.
1937년 5/10 : 《한글 맞춤법 통일안 고친판》 펴냄(통틀어 제5판).
1937년 11/28 : "한글 가로 풀어쓰기 안"의 채택을 결의함.
1938년 1/1 : 《한글》 제52호 펴냄. 이 해에 제61호(12/1)까지 펴냄.
1938년 3/? : 《2주일 속성 계몽 야학회 속수 독본》을 지어 펴냄.
1938년 11/? : 《속담 딱지》, 《자맞춤 딱지》, 《자맞춤 딱지 노는 법》 등을 지어 펴냄.
1939년 1/1 : 《한글》 제63호 펴냄. 이 해에 제73호(12/1)까지 펴냄.
1940년 1/1 : 《한글》 제74호 펴냄. 이 해에 제82호(12/1)까지 펴냄.
1940년 6/15 :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2차 수정 끝냄.
1940년 6/25 :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을 발표함.
1940년 10/20 : 《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펴냄.
1941년 1/1 : 《한글》 제83호 펴냄. 이 해에 제91호(11/1)까지 펴냄.
1941년 1/5 :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을 펴냄.
1942년 1/1 : 《한글》 제92호 펴냄.
1942년 봄 : 《조선말 큰사전》 판짜기[조판]를 시작함.
1942년 5/1 : 《한글》 제93호 펴내고 휴간함.
1942년 10/1 : 이른바 "조선어 학회 수난"이 일어남. 이로 말미암아 학회의 회원과 직원들이 모두 구속되고, 학회의 모든 일이 중단됨.
1943년 12/8 : 이윤재 선생 함흥 감옥에서 세상떠남.
1944년 2/22 : 한징 선생 함흥 감옥에서 세상떠남.
◆ 광복에서 1949년까지
1945년 8/15 : 광복과 더불어 조선어 학회 수난에 관련되어 고생하던 모든 회원이
풀려나게 됨.
1945년 8/19 : 학회 간부 회의를 열어 학회 재건 문제를 의논함.
1945년 8/25 : 임시 총회 열어 학회 기구를 정비함. 이극로님을 간사장으로 뽑음.
1945년 9/1 : 국어 교재 편찬을 시작함. 이로부터 1947년 1/10까지, 《한글 첫걸음》, 《한글 교수 지침》,
《초등 국어 교본》상/중/하, 《중등 국어 교본》상/중/하, 《초등 공민》1 2/3 4/5 6, 《중등 공민》1 2/3 4
등, 12종의 교과서를 편찬하여 미국 군정청 학무국에 무상으로 넘겨 줌.
1945년 9/10 : 서울 종로구 청진동 188번지로 학회 사무실을 옮김.
1945년 10/9 : 《훈민정음》 원본이 발견됨에 따라 그 책의 "정통 9월 상한" 이라는 기록을 근거로 하여, 이날을 한글날로 다시 바꿈.
1946년 1/18 : 한글(국어) 강습회의 사범부 수료자 1,836명을 냄.
1946년 2/3 : 월례 연구 발표회.
1946년 2/3 : 장지영 님을 이사장으로 뽑음.
1946년 2/12 : "한글사"를 세움.
1946년 4/1 : 《한글》 제94호 펴냄. 이 해에 제98호(11/30)까지 펴냄.
1946년 4/6 : 한메 이윤재 선생 묘비를 세움.
1946년 9/8 :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3차 수정(일부 개정) 끝냄.
1946년 10/9 : 《훈민정음》 원본(해례본) 영인하여 펴냄.
1946년 10/16 : 제2회 조선 어학 도서 전람회를 엶.
1947년 3/20 : 《한글》 제99호 펴냄. 이 해에 제102호(10/15)까지 펴냄.
1947년 10/9 : 《조선말 큰사전》 제1권을 펴냄.
1947년 12/14 : 월례 연구 발표회.
1948년 1/11 : 월례 연구 발표회. 2/8, 3/14, 5/16, 6/14, 7/14, 10/16, 12/12에도.
1948년 2/29 : 《한글》 제103호 펴냄. 6/20에는 제104호 펴냄.
1948년 9/2 : 세종 중등 국어 교사 양성소의 강의를 시작함.
1948년 10/1 : 최현배 님을 이사장으로 뽑음.
1948년 10/9 : 《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 한글판을 펴냄(제235판).
1949년 1/9 : 월례 연구 발표회. 5/27에도.
1949년 1/8 : 《한글》 제105호 펴냄. 이 해에 제108호(7/30)까지 펴냄.
1949년 3/24 : "재단법인 한글집"의 설립을 허가받음.
1949년 5/5 : 《조선말 큰사전》 제2권을 펴냄.
1949년 6/12 : 한글 전용 촉진회를 만듦.
1949년 여름 : 국어 강습회를 열어 한글 전용을 촉진시킴.
1949년 9/25 : 학회 이름을 '한글 학회'로 바꿈.
1949년 10/9 : 왜식 간판 없애기 운동을 벌일 것을 선언함.
◆ 1950년부터 1969년까지
1950년 6/1 : 《큰사전》 제3권을 펴냄.
1950년 6/11 : 서울 중구 을지로 119번지로 학회의 모든 살림살이를 옮김.
1950년 6/24 : 세종 중등 국어 교사 양성소 제1회 졸업식(졸업생 88명)을 가짐.
1950년 6/25 : 6 25 사변으로 학회의 모든 일이 중단됨.
1950년 10/1 : 정음사 안에다 임시 사무소를 둠.
1950년 11/11 : 서울 종로구 화동 129번지로 학회 사무실을 다시 옮김.
1951년 1/4 : 1 4 후퇴로 학회의 모든 일이 다시 중단됨.
1951년 3/1 : 부산 묘심사에 임시 연락소를 둠.
1952년 2/20 : 잃었던 책 2,000권을 되찾음.
1952년 3/11 : 석인 정태진 선생 1주기 추모식을 가짐.
1953년 5/11 : 월례 연구 발표회.
1953년 5/24 : "한글 간소화 안"(국무총리 훈령 제8호, 4/27)에 대한 반대 성명을 냄.
1953년 8/? : 전시 연합 대학에서 학업을 이수한 세종 중등 국어 교사 양성소 제2회 졸업생 3명을 냄.
1954년 5/2 : 월례 연구 발표회. 6/6, 7/4, 9/12, 12/5에도.
1954년 7/7 : 한글 간소화 안(7/2, 국무회의 통과)에 대한 반박 성명을 냄.
1954년 9/29 : 서울 종로구 관훈동 151번지로 학회 사무실을 옮김.
1955년 2/6 : 월례 연구 발표회. 4/10, 6/12, 7/10, 9/11, 11/22에도.
1955년 4/1 : 《한글》 제110호(표지 108) 펴냄. 이 해에 제115호(12/11)까지 펴냄.
1955년 9/19 : 대통령이 "한글 간소화 안"을 철회함. 이로써 "한글 파동"이 끝남.
1956년 3/1 : 《한글》 제116호 펴냄. 이 해에는 제119호(10/20)까지 펴냄.
1956년 4/29 : 월례 연구 발표회. 7/8, 9/16, 10/14, 10/28, 11/18에도.
1956년 10/9 : 세종 대왕 기념 사업회의 창립에 참여함.
1957년 2/20 : 《한글》 제120호 펴냄. 이 해에 제122호(10/9)까지 펴냄.
1957년 6/23 : 월례 연구 발표회. 9/22, 11/10, 12/3에도.
1957년 6/30 : 《큰사전》 제5권을 펴냄.
1957년 8/30 : 《큰사전》 제4권을 펴냄.
1957년 10/9 : 《큰사전》 제6권을 펴냄. 이로써 《큰사전》6권을 모두 펴냄.
1957년 11/1 : 중사전 편찬 위원회를 둠.
1957년 12/21 : 문교부의 한자 약자 제정 계획을 깨뜨림.
1958년 2/25 : 《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 용어 수정판을 펴냄(제251판).
1958년 4/28 : 서울 종로구 신문로 1가 58-14로 학회 사무실을 옮김.
1958년 6/15 : 《중사전》 펴냄.
1958년 9/20 : 《소사전》 편찬을 결의함.
1958년 10/9 : 《한글》 제123호 펴냄.
1958년 12/7 : 월례 연구 발표회.
1959년 3/? : 학회의 "타자기 글자판 시안"을 발표함.
1959년 3/8 : 월례 연구 발표회. 5/19, 6/20, 10/29, 12/4에도.
1959년 4/5 : 《한글》 제124호 펴냄. 10/9에는 제125호 펴냄.
1960년 2/29 : 《한글》 제126호 펴냄. 10/9에는 제127호 펴냄.
1960년 4/15 : 《금강경 삼가해》 권 2 3을 영인하여 펴냄.
1960년 4/30 : 《소사전》 펴냄.
1960년 5/1 : 《중사전》 수정 작업을 시작함.
1960년 9/1 : 학회 안에 지명 조사부를 둠. 남한만의 지명 조사 사업을 계획함.
1961년 5/15 : 《금강경 삼가해》 권 4 5를 영인하여 펴냄.
1961년 7/30 : 《석보상절》 권 6 9 13 19를 1책으로 묶어 영인하여 펴냄.
1961년 11/15 : 《한글》 제128호 펴냄.
1962년 1/14 : 문교부에 한글 전용을 건의함.
1962년 3/27 : 학회 안에 한글 기계화 연구소를 둠(부설).
1962년 4/1 : 정부의 보조로 한글 전용 특별 심의회를 만듦.
1962년 5/30 : 《한글》 제129호 펴냄. 9/30에는 제130호 펴냄.
1962년 6/23 : "한글 타자기 통일 글자판(안)"을 문교부에 냄.
1962년 7/23 : 《한글 전용 특별 심의회의 회보》 제1집 펴냄(2,761말).
1962년 11/1 : "한글 타자기 통일 글자판"을 발표함.
1962년 12/25 : 《한글 전용 특별 심의회의 회보》 제2집 펴냄(3,395말).
1963년 2/25 : 《한글 전용 특별 심의회의 회보》 제3집 펴냄(2,724말).
1963년 4/3 : 문교부의 말본 교과서에 대한 결정으로 이른바 "말본 파동"이 일어남.
1963년 4/3 : 월례 연구 발표회.
1963년 4/30 : 《한글》 제131호 펴냄. 9/30에는 제132호 펴냄.
1963년 5/31 : 《한글 전용 특별 심의회의 회보》 제4집 펴냄(2,531말).
1963년 8/10 : 《한글 전용 특별 심의회의 회보》 제5집 펴냄(2,724말).
1964년 1/1 : 국고 보조로 지명 조사 사업을 시작함.
1964년 4/30 : 월례 연구 발표회. 12/7에도.
1964년 5/30 : 《한글》 제133호 펴냄.
1964년 11/15 : 한글 전용에 관한 주장을 "문화 선언"으로 발표함.
1965년 1/11 : 부산 지회 창립.
1965년 1/21 : 문교부의 학교 말본 용어의 그릇됨을 시정함.
1965년 3/15 : 《한글》 제134호 펴냄. 10/9에는 제135호 펴냄.
1965년 4/15 : 《중사전》을 수정하여 《새 한글 사전》으로 다시 펴냄.
1965년 5/15 : 월례 연구 발표회. 6/19, 9/18, 11/20에도.
1965년 12/31 : 경기도 일부와 서울의 지명 조사를 끝냄.
1966년 2/28 : 《한국 지명 총람》 서울편을 펴냄.
1966년 3/23 : 월례 연구 발표회. 5/15, 6/24, 8/26, 9/23, 11/24에도.
1966년 3/31 : 《한글》 제136호 펴냄. 이 해에 제138호(10/9)까지 펴냄.
1966년 5/27 : 경북 지회 창립.
1966년 9/9 : "재단법인 한글집"을 "재단법인 한글 학회"로 고침.
1966년 11/1 : 《한글 기계화》 펴냄.
1967년 1/1 : 국고 보조로 《큰사전》 보유 사업을 시작함.
1967년 1/16 : 한글 타자 기능 검정을 실시함.
1967년 1/30 : 한글 전용을 위한 《쉬운말 사전》 펴냄.
1967년 3/31 : 《한글》 제139호 펴냄. 8/31에는 제140호 펴냄.
1967년 4/28 : 월례 연구 발표회. 6/28에도.
1967년 5/5 : 전국 국어 운동 대학생 연합회가 결성됨.
1967년 6/5 : 남저 이우식 선생 묘비를 세움.
1967년 12/20 : 《한국 지명 총람》 강원편을 펴냄.
1968년 2/28 : 한글 기계화. 연구소가 재단법인으로 독립 단체가 됨.
1968년 6/30 : 《한글》 제141호 펴냄. 10/25에는 제142호 펴냄.
1968년 9/13 : 월례 연구 발표회. 10/26에도.
1968년 10/8 : 충남 지회 창립.
1968년 12/21 : 한글 전용 국민 실천회를 세움.
1969년 5/3 : 월례 연구 발표회. 7/5, 9/20, 10/25, 11/29에도.
1969년 5/15 : 《한글》 제143호 펴냄. 9/30에는 제144호 펴냄.
◆ 1970년대
1970년 4/20 : 《한글》 제145호 펴냄.
1970년 5/1 : 문교부 의뢰로 학회를 주축으로하여 국어 조사 사업을 시작함
(국어 조사 연구 위원회).
1970년 6/27 : 월례 연구 발표회. 10/23, 11/14에도.
1970년 9/28 : 《한글》 제146호를 외솔 선생 추모 특집으로 펴냄.
1970년 11/25 : 《한국 지명 총람》 충북편을 펴냄.
1971년 3/23 : 외솔 최현배 선생 기념비 세움(서울 장충단 공원에).
1971년 3/25 : 《한글》 제147호 펴냄. 12/1에는 제148호 펴냄.
1971년 4/11 : 허웅 님을 이사장으로 뽑음.
1971년 6/8 : 월례 연구 발표회. 9/25에도.
1971년 11/1 : 《한글 전용으로의 길》 펴냄.
1971년 12/3 : 학회 창립 50돌(→63돌) 기념식을 가짐.
1971년 12/3 : 《한글 학회 50년(→63년)사》,
《한글 학회 50돌(→63돌) 기념 논문집》 펴냄.
1971년 12/3-4 : 학회 창립 50돌(→63돌) 기념 제1회 국제 언어학자 대회를 엶.
1971년 12/3-7 : 학회 창립 50돌(→63돌) 기념으로 한글 도서 전시회,
한글 붓글씨 전시회, 한글 기계
전시회를 엶.
1972년 3/30 : 《한글》(학회지) 제1-19호를 1책으로 묶어 영인하여 펴냄. 이로부터 1977년 3/27까지
동인지에서부터 학회지 제108호까지 모두 117호치를 10책으로 묶어 영인하여 펴냄.
1972년 4/30 : 《한글》 제149호 학회 창립 50돌(→63돌) 기념 특집으로 펴냄.
9/30에는 제150호 펴냄.
1972년 9/5 : 《한글 새소식》(월간) 첫호를 펴냄(다블로이드판 4쪽).
이로부터 다달이 펴내어 12월에는
제4호를 펴냄.
1972년 9/13 : 월례 연구 발표회.
1973년 3/23 : 외솔 최현배 선생 3주기 추모 행사를 가짐.
1973년 4/30 : 《한글》 제151호 펴냄. 9/30에는 제152호 펴냄.
1973년 5/12-13 : 576돌 세종날 기념 전국 연구 발표 대회.
1973년 12/5 : 《한글 새소식》 제16호 펴냄.
1974년 4/30 : 《한글》 제153호 펴냄. 9/30에는 제154호 펴냄.
1974년 5/15 : 《한국 지명 총람》 충남편(상)을 펴냄. 11/30에는 충남편(하)를 펴냄.
1974년 5/31 : 학회 안에 한글 기계화부 둠.
1974년 6/26 : 월례 연구(국어교육) 발표회. 이어서 7/26과 9/14에도.
1974년 7/11 : 국어 교육에 대한 성명서를 냄.
1974년 7/22 : 학회 병설로 한글 문화 협회를 결성함.
이어서 다음과 같이 지부를 결성함. 8/3에 대전, 8/9에
인천, 8/28에 부산, 9/27에 전북, 1976년 1/27에 울산, 9/16에 진주.
1974년 7/27 : 주시경 선생 돌아가신 60돌 추모 행사를 가짐(흉상 제막, 추모 강연).
1974년 8/5 : "언어 정책을 담당하는 관계 당국, 그리고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께"라는 호소문을 발표함.
1974년 10/8 : 한글 문화 협회 주최로, 한글날 기념 "(한글 문화) 대강연회"를 엶.
1974년 10/12 : 김해 지회 창립.
1974년 10/26 : 인천 지회 창립.
1974년 12/5 : 《한글 새소식》 제28호 펴냄.
1975년 2/22 : 한글 문화 협회 아래에 전국 국어 운동 고등학생 연합회를 둠.
1975년 4/30 : 《한글》 제155호 펴냄. 9/30에는 제156호 펴냄.
1975년 5/30 : 한글 문화 협회 주최로, 부산에서 한글 문화 대강연회를 엶.
1975년 이어서 6/26에 인천, 6/27에 대전에서도.
1975년 6/25 : 《구급방(언해)》을 영인하여 펴냄.
1975년 7/1 : 글자 정책에 대한 성명서를 냄.
1975년 7/1-30 : 글자 정책에 대한 여론 조사를 실시함.
1975년 10/4-5 : 광복 50돌 및 529돌 한글날 기념 전국 연구 발표 대회.
1975년 10/8 : 529돌 한글날 기념 한글 문화 대강연회.
1975년 10/8-14 : 한글 기계화 연구소 주최로 한글 기계화 전시회를 엶.
《한글 기계화 연구》 첫호를 펴냄.
1975년 11/29 : 월례 연구 발표회.
1975년 12/5 : 《한글 새소식》 제40호 펴냄.
1975년 12/14 : 국어학 연구 분과 제1회 모임(→월례 연구 발표회)를 가짐.
1976년 1/25 : 월례 연구 발표회. 2/29, 3/28, 4/25, 5/30, 6/27, 7/25, 9/26, 11/18, 12/19
1976년 2/24 : 한글 문화 대강연회(인천).
1976년 4/29 : 한글 기계화 연구소 주최로 한글 기계화 세미나를 가짐.
1976년 4/30 : 《한글》 제157호 펴냄. 9/30에는 제158호 펴냄.
1976년 5/3-4 : 국어 순화 대강연회. 뒤이어 전국을 돌면서 실시. 4/30에 부산, 5/20에 대구, 5/21에 전주,
5/29에 청주, 6/13에 광주, 6/24에 대전, 6/29에 춘천, 7/8에 수원에서.
1976년 5/9 : 579돌 세종날 기념 제1회 글짓기 대회를 엶(세종 대왕 기념 사업회와 함께). 이로부터 지금까지
이 무렵에 해마다 열고 있음.
1976년 5/15-16 : 579돌 세종날 기념 전국 연구 발표 대회.
1976년 6/30 : 국어 순화 추진회(←세종회)의 창립에 참여함.
1976년 8/15 : 애산 이인 선생으로부터 한글 회관 건립 성금으로 돈 3,000만 원 받음.
1976년 8/20 : 한글 회관 건립 위원회를 만듦. 이 때부터 성금 모으기를 대대적으로 벌임.
1976년 10/6, 8, 15 : 530돌 한글날 기념 대강연회.
1976년 10/9 : 한글 회관 건립 기공식을 가짐.
1976년 10/16 : 마산 지회 창립.
1976년 11/6-7 : 주시경 선생 나신 100돌 기념 전국 연구 발표 대회 및 추모 강연회 를 가짐.
1976년 12/5 : 《한글 새소식》 제52호 펴냄.
1977년 2/25 : 《한글》 제159호를 부산 지회에서 특집으로 펴냄.
1977년 3/27 : 월례 연구 발표회. 4/27, 5/29, 6/26, 7/31, 9/17, 11/27, 12/26에도.
1977년 4/26 : "재단법인 한글 기계화 연구소"를 해산함. 그 하던 일을 학회에서
다시 넘겨받음.
1977년 9/30 : 《한글》 제160호 펴냄.
1977년 10/8 : 한글 회관 낙성식을 가짐.
1977년 10/15-16 : 한글 회관 개관 기념 전국 연구 발표 대회.
1977년 12/5 : 《한글 새소식》 제64호 펴냄.
1978년 3/26 : 월례 연구 발표회. 4/30, 6/25, 7/27, 9/24, 11/29에도.
1978년 4/5 : 《한글 새소식》의 모양새를 4×6배판으로 바꿈(제68호부터).
1978년 4/30 : 《한글》 제161호 펴냄. 10/30에는 제162호 펴냄.
1978년 5/13-14 : 581돌 세종날 기념 전국 연구 발표 대회. 이로부터 해마다 해 오고 있음.
1978년 10/4 : 일본 지회 창립.
1978년 10/7 : 532돌 한글날 기념, 첫 번째 한글 기계화 연구 모임(발표회)을 가짐.
1978년 10/14 : 532돌 세종날 기념 전국 대강연회.
1978년 10/21-22 : 532돌 한글날 기념 전국 연구 발표 대회. 이로부터 해마다 해 오고 있음.
1978년 10/30 : 《한글》 제162호를 눈뫼 허웅 이사장 환갑 기념 특집으로 펴냄.
1978년 12/5 : 《한글 새소식》 제76호 펴냄.
1978년 12/28 : 《한국 지명 총람》 경북편 1, 2를 펴냄.
1979년 1/25 : 《한글 맞춤법 통일안》의 수정을 결의하고 수정 위원회(5명)를 만듦.
1979년 2/3 : 한결 김윤경 선생 10주기 추모식을 가짐.
1979년 3/24 : 월례 연구 발표회. 4/28, 6/30, 7/29, 9/29, 11/24, 12/15에도.
1979년 3/30 : 《한글》 제163호 펴냄(이로부터 계간으로). 이 해에
제166호(12/30)까지 펴냄.
1979년 5/26 : 《한글 맞춤법 통일안》 수정 위원을 11명으로 늘림.
1979년 9/8 : 한글 글자꼴 연구 모임을 가짐.
1979년 9/30 : 전남 지회 창립.
1979년 10/13 : 533돌 한글날 기념, 두 번째 한글 기계화 연구 모임(발표회).
1979년 10/28 : 《한국 지명 총람》 경남편 1을 펴냄. 10/31에는 경북편 4, 11/28에는 경북편 3을 각각 펴냄.
◆ 1980년대
1980년 1/28 : 제5차 헌법 개정에 즈음하여 "개정 헌법 조문의 표기 및 표현에 대한 건의서"를 대통령을 비롯한 관계 기관에 냄.
1980년 3/23 : 외솔 최현배 선생 20주기 추모식을 가짐.
1980년 3/29 : 월례 연구 발표회. 4/26, 6/28, 9/27, 11/29에도.
1980년 3/30 : 《한글》 제167호 펴냄. 이 해에 제170호(12/30)까지 펴냄.
1980년 4/5 : 애산 이인 선생 묘비를 세움.
1980년 7/20 : 《한글 맞춤법 통일안-원본 및 고침판 모음-》을 영인하여 펴냄.
1980년 8/28 : 《한글 맞춤법 통일안》 수정 위원회의 수정, 검토, 결의를 거쳐
확정한 것을 《한글맞춤법》이란 이름으로 펴냄.
1980년 9/1 : 핀란드 지회 창립.
1980년 10/11 : 534돌 한글날 기념, 세 번째 한글 기계화 연구 모임(발표회).
1980년 10/23 : 534돌 한글날 기념 대강연회.
1980년 10/25-26 : 534돌 한글날 기념 전국 연구 발표 대회.
1980년 10/28 : 《한국 지명 총람》 경남편 2를 펴냄. 10/28에는 경남편 3을 펴냄.
1980년 12/3 : 《한글 새소식》 제100호 펴낸 기념식을 가짐.
1980년 12/5 : 《한글 새소식》 제100호 펴냄.
1981년 1/24 : 《쉬운말 사전》을 증보하기 위한 "말 다듬기" 첫모임을 가짐.
1981년 3/28 : 월례 연구 발표회. 4/25, 5/16, 6/27, 9/26, 10/31에도.
1981년 3/30 : 《한글》 제171호 펴냄. 6/30에는 제172호 펴냄.
1981년 10/9 : 이 해부터 한글날 기념식이 문화공보부 주관이 됨에 따라, 학회에서는 별도의 한글 운동
표창식을 가짐. 이 표창식은 이로부터 해마다 이어 오고 있음.
1981년 12/3 : 학회 창립 60돌(→73돌) 기념식을 가짐.
1981년 12/3 : 《한글》 제173 4호를 학회 창립 60돌(→73돌) 기념 특집으로 펴냄. 《50돌(→63돌) 뒤 10년의 한글 학회 발자취》 펴냄.
1981년 12/3-4 : 학회 창립 60돌(→73돌) 기념 제2회 국제 언어학자 대회를 엶.
1981년 12/3-9 : 학회 창립 60돌(→73돌) 기념 국어학 도서 전시회, 한글 서예 작가 초대전를 엶.
1981년 12/5 : 《한글 새소식》 제112호를 학회 창립 60돌(→73돌) 기념 특집으로
펴냄.
1981년 12/12 : 한힌샘 주시경 선생의 무덤을 국립 묘지(동작동) 제2유공자 묘역으로 옮김.
1981년 12/16 : "우리 말과 글을 키우신 스승들(18위)을 위한 합동 추모 제전"을
가짐.
1981년 12/31 : 《한국 지명 총람》 전북편 (상), (하)를 펴냄.
1982년 3/30 : 《한글》 제175호 펴냄. 이 해에 제178호(12/30)까지 펴냄.
1982년 5/15 : 588돌 세종날 기념 연구 발표 대회.
1982년 7/27 : 월례 연구 발표회. 4/24, 6/26, 9/25, 11/27에도.
1982년 8/11 : "일본의 역사 교육 거짓꾸미기에 대한 성명서"를 냄. 15일에 는
그 성토 대화를 가짐.
1982년 8/15 : 《금강경 삼가해》 권1과 《한글 새소식》 합본 2(제68-120호)를 펴냄.
1982년 9/4 : 《한글 새소식》 창간 10돌 기념식을 가짐.
1982년 9/30 : 《한국 지명 총람》 전남편 1를 펴냄.
1982년 10/9 : 536돌 한글날 기념, 한글 운동 표창식 및 조선어 학회 사건 40돌
기념식을 가짐.
1982년 12/3 : "한글 풀어쓰기 연구 모임"을 만듦.
1982년 12/5 : 《한글 새소식》 제124호 펴냄.
1982년 12/20 : 《한국 지명 총람》 전남편 2를 펴냄.
1982년 12/22 : '로마자 표기법은 현행대로 밀고 나가는 것이 옳다'는 내용의
건의서를 정부에 냄.
1983년 3/26 : 월례 연구 발표회. 5/1, 5/28, 6/25, 9/24, 11/26에도.
1983년 3/30 : 《한글》 제179호를 펴냄. 이 해에 제182호(12/30)까지 펴냄.
1983년 6/28 : 《한글 새소식》 합본 1(제1-67호)을 펴냄(축소 영인).
1983년 8/15 : 《한국 지명 총람》 전남편 3을 펴냄.
1983년 9/3 : 석인 정태진 선생 나신 80돌 기념 추모식을 가짐.
1983년 10/9 : 537돌 한글날 기념, 한글 운동 공로 표창식 및
제1회 국어학 연구 보조비 전달식을 가짐. 이 식은 이로부터 해마다 이어 오고 있음.
1983년 12/5 : 《한글 새소식》 제136호 펴냄.
1984년 1/20 : 우리말 로마자 적기법 심의 위원회를 만듦.
1984년 2/21 : "우리말의 로마자 적기"를 발표함.
1984년 3/30 : 《한글》 제183호를 펴냄. 이 해에 제186호(12/30)까지 펴냄.
1984년 3/30 : 월례 연구 발표회. 4/27, 6/29, 9/28, 11/30에도.
1984년 4/5 : 애산 이인 선생 5주기 추모식을 가짐.
1984년 6/26 : 서울시의 "서울 거리 이름 개정안"에 대한 의견서를 냄.
1984년 7/6 :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에 대한 종합 의견서"를 발표하고,
문교부에 건의서를 냄.
1984년 9/10 : 《고치고 더한 쉬운말 사전》 펴냄.
1984년 9/25 : 한글 풀어쓰기 연구 모임의 연구 회의를 가짐.
1984년 10/20 : 《한국 지명 총람》 전남편 4를 펴냄.
1984년 12/5 : 《한글 새소식》 제148호 펴냄.
1985년 2/25 : 한글 풀어쓰기 연구 모임의 연구 회의를 가짐.
1985년 3/5 : 《한글 새소식》 제151호를 한글 전용 특집으로 펴냄.
1985년 3/27 : 월례 연구 발표회. 4/26, 6/28, 9/26, 11/28에도.
1985년 3/30 : 《한글》 제187호를 펴냄. 이 해에 제190호(12/30)까지 펴냄.
1985년 25-27 : 제1회 우리말글 연수회를 엶.
1985년 9/12 : 한글 풀어쓰기 연구 모임의 연구 회의를 가짐.
1985년 11/28 : 《한국 지명 총람》 경기편(상)을 펴냄.
1985년 12/5 : 《한글 새소식》 제160호를 한힌샘 주시경 선생 추모 특집으로 펴냄.
1986년 3/15 : 열운 장지영 선생 돌아가신 10돌 추모식을 가짐.
1986년 3/30 : 《한글》 제191호를 건재 정인승 선생 구순 기념 특집으로 펴냄.
이 해에 제194호(12/30)까지 펴냄.
1986년 3/30 : 월례 연구 발표회. 4/30, 6/26, 9/25에도.
1986년 봄 : 전국 우리말 운동 대학생 연합모임(=한말글) 다시 조직됨.
1986년 8/5-8 : 제2회 우리말글 연수회.
1986년 8/20 : 《한국 지명 총람》 경기편(하)를 펴냄. 이로써 20책 모두를 펴냄.
1986년 8/30 : 《한글 새소식》 합본 3(제121-160호)을 펴냄.
1986년 9/5 : "국어 연구소의 '한글 맞춤법 개정안' 설문에 대한 성명서"를 냄.
1986년 10/9 : 주시경 선생 말씀비를 독립 기념관 뜰에 세움.
1986년 10/9 : 《새 한글 사전》을 다시 찍어 냄.
1986년 11/15 : 29개 단체와 공동으로, 국어 교육과 한자 문제에 대한 강연회를 엶. 이 에 대한 건의서도 냄.
1986년 12/5 : 《한글 새소식》 제172호 펴냄.
1986년 12/22 : "한힌샘(주시경) 연구 모임"을 만듦.
1987년 3/29 : '한글 전용과 기계화'를 주제로 한 강연회를 엶.
1987년 3/29 : 정기 총회에서 학회 세운 날을 "1908년 8월 31일"로 올려 잡기로
결의함.
1987년 3/30 : 《한글》 제195호를 펴냄. 이 해에 제198호(12/30)까지 펴냄.
1987년 4/16 : "한글 문화 단체 모두모임"의 창립에 참여함.
1987년 4/30 : 월례 연구 발표회. 5/30, 6/25, 9/24, 11/26에도.
1987년 5/4 : 한글 풀어쓰기 연구 발표회를 가짐.
1987년 5/5 : 《한글 새소식》 제177호를 한글 전용 특집으로 펴냄.
1987년 5/21 : 1,036명이 서명한 "국민학교 한자 교육에 대한 건의서"를 정부에 냄.
1987년 6/30 : 《한글》 제196호를 눈뫼 허웅 선생 고희 기념 특집으로 펴냄.
1987년 7/5 : "개정 헌법의 표기 및 표현에 대한 건의서"를 냄.
1987년 8/10-13 : 제3회 우리말글 연수회.
1987년 12/3 : 《문학 한글》 첫호를 펴냄.
1987년 12/5 : 《한글 새소식》 제184호 펴냄.
1987년 12/21 : 한힌샘 주시경 선생에 대한 연구 발표 대회를 가짐.
1987년 12/22 : 《주시경 선생에 대한 연구 논문 모음 1》을 펴냄.
1988년 2/10-13 : 제4회 우리말글 연수회.
1988년 3/20 : 정기 총회에서 회칙의 일부를 고쳐 평의회를 두기로 함.
1988년 5/15 : 《한힌샘 연구》 첫호를 펴냄.
1988년 6/15 : 학회 창립 80돌 기념 "동요 큰잔치"를 엶.
1988년 6/30 : 《한글》 제200호를 특집으로 펴냄.
1988년 7/7 : "한글만 쓰기와 국민학교 국어 교육"을 제목으로 특별 연구 발표회를
가짐.
1988년 10/9 : 학회 창립 80돌 기념식을 가짐.
1988년 10/10-11 : 학회 창립 80돌 기념 제3회 국제 언어학자 대회를 엶. 주제 : 세계 각국의 한국어 교육현황.
1988년 12/5 : 《한글 새소식》 제196호를 펴냄.
1988년 12/7 : 울산 지회 창립.
1988년 12/20 : 《교육 한글》 첫호를 펴냄.
1988년 12/30 : 《한글》 제201 202호를 학회 창립 기념 특집으로 펴냄.
1989년 2/3 : 한결 김윤경 선생 가신 20돌 추모식을 가짐.
1989년 2/10 : 첫 평의원회(51명)를 엶.
1989년 2/15-17 : 제5회 우리말글 연수회.
1989년 4/5 : 《한글 새소식》 제200호를 특집으로 펴냄.
1989년 5/20 : 592돌 세종날 기념 연구 발표 대회. 주제=한힌샘의 후계 학자들에 대한 재검토.
1989년 7/30 : 《한글 맞춤법 통일안('33-'80)》 합본을 펴냄.
1989년 12/5 : 《한글 새소식》 제208호를 펴냄.
◆ 1990년대
1990년 3/23 : 외솔 최현배 선생 20주기 추모식을 가짐.
1990년 4/25 : 한글날을 법정 공휴일에서 빼려는, 정부의 움직임이 부당하다는 내용의 건의서를 대통령에게 냄.
1990년 8/9-11 : 제6회 우리말글 연수회.
1990년 10/8-9 : 544돌 한글날 기념 행사를 크게 치름. 연구 발표 대회(주제=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우리말의아름다움), 우리말과 글을 위하여 애쓰신 스승(28분)에 대 한 추모의 밤, 국어 운동 공로 표창식 및 제8회국어학 연구 보조비 전달식.
1990년 10/9 : 《우리 말살이의 바른 길》《겨레의 글자살이는 한글만으로!》
《반문화적 반민족적 처사를 걷어치우라》등 계몽 책자를 펴내어 널리 폄.
1990년 12/5 : 《한글 새소식》 제220호를 펴냄.
1991년 3/6 : 환산 이윤재 선생 흉상과 말씀비석을 세움(김해 도서관 뜰에).
1991년 3/23-24 : 정기 총회 기념 연구 발표 대회. 주제=북한 언어학 연구.
1991년 8/31 : 학회 창립 83돌 기념 연구 발표 대회. 주제=옛시가에 나타난 우리말의 아름다움.
1991년 9/30 : 《한글》 제213호를 '북한 언어학 연구' 특집으로 펴냄.
1991년 10/9-10 : 545돌 한글날 기념으로 제2회 국제 한국어 교육자 대회를 가짐.
주제=외국사람에 대한 한국어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1991년 10/9-15 : 한글도안 상품 큰잔치를 엶.
1991년 12/3 : 《한국 땅이름 큰사전》 펴냄.
1991년 12/5 : 《한글 새소식》 제232호 펴냄.
1991년 12/22 : 《우리말 큰사전》 펴냄.
1991년 12/30 : 《한글》 제214호를 '옛시가에 나타난 우리말의 아름다움' 특집으로 펴냄.
1992년 2/1 : 국민학교 한자 교육 반대 건의서를 대통령과 교육부 장관 등 관계 기관 에 냄.
1992년 3/21 : 한자 섞어 쓰기 주장에 대한 비판 대회를 엶.
1992년 5/29 : 595돌 세종날 기념 연구 발표 대회. 주제=초창기 한글 에 실린 논문에 대한 검토와 평가.
1992년 6/30 : 한글 창간 60돌 및 한글 새소식 창간 20돌 기념 행사를 가짐.
1992년 한글 제216호를 창간 60돌 기념 특집호로 펴냄.
1992년 9/5 : 한글 새소식 제241호를 창간 20돌 기념 특집호로 펴냄
('한글 새소식' 제호를 서 희환 님의 새 글씨로 바꿈).
1992년 9/30 : 한글 제217호를 새 면모(겉장을 새로 도안하여 천연색으로 꾸밈)로
펴냄.
1992년 10/1 : "조선어 학회 수난 50돌 되새김의 밤"을 가짐.
1992년 한메 이 윤재 선생 지은 표준 조선말 사전 을 영인하여 펴냄.
1992년 10/27 : 546돌 한글날 기념 강연회 겸 한메 이 윤재 선생 추모 강연회를 엶.
1992년 10/31 : 546돌 한글날 기념 학술 강연회를 가짐. 주제=미래의 한글.
1992년 12/3 : 문학 한글 제6호를 '도남 조 윤제 선생 연구' 특집으로 펴냄
(겉장을 새로 도안하여 천연색으로 꾸밈).
1992년 12/5 : 한글 새소식 제244호를 펴냄.
1992년 12/20 : 교육 한글 제5호를 '말하기 듣기 교육'을 주제로 하여 펴냄
(겉장을 새로 도안하여 천연색으로 꾸밈).
1993년 1/30 : 조선어 학회 수난 50돌 기념 글모이 얼음장 밑에서도 물은 흘러 를
펴냄.
1993년 1/29 : 말글 정책에 관한 건의서를 대통령에게 냄.
1993년 3/27 : 정기 총회 기념 연구 발표 대회를 엶.
1993년 3/29 : 새 대통령 및 새 정부와 국회 의원 들에게 한글 전용에 관한
청원서를 냄.
1993년 4/23 : "새 나라 건설을 위한 말글 정책 강연회"를 엶.
1993년 5/12 : "대학 수학능력 시험에 쓰일 한자에 대한 우리의 견해"를 밝힌 성명서 를 국립 교육 평가원에 냄.
1993년 7/1 : 특별 연구 발표회를 가짐. 발표자=이 영희 고 송무.
1993년 7/29-31 : 제7회 우리 말글 연수회. 주관=전남 지회.
1993년 8/20 : 한힌샘 주 시경 연구 제5.6호 합집을 '히못 김 두봉 선생 연구' 특집으 로 펴냄.
1993년 10/9 : 한힌샘 주 시경 선생 얼굴상(흉상)을 한글 회관 출입문 옆 빈터에 세 움.
1993년 중국 흑룡강 지회 창립.
1993년 10/16 : "외솔의 국어학과 그 영향"이라는 주제로 연구 발표 대회를 가짐.
1993년 외솔 최 현배 선생 글모이 앉으나 서나 겨레 생각 을 펴냄.
1993년 11/6 : "두번째 온겨레 한말글이름 큰잔치"를 갖고, 그 상 드리는 식을 베품.
1993년 11/27 : "한글 풀어쓰기"를 주제로 연구 발표회를 가짐.
1993년 12/5 : 한글 새소식 제256호를 펴냄.
1993년 12/23 : '21세기 위원회'의 <국제화 전략 보고서> 가운데, 말글 교육 정책
관련 내용에 대해 반박 성명서를 냄.
1993년 12/30 : 한글 제222호를 '북한 언어학 연구' 두번째 특집으로 펴냄.
1994년 2/26 : "지금이 어느 땐데 한자타령이냐!"라는 주제로 21세기 말글 정책
강연회를 엶.
1994년 3/8 : '국제화'라는 미명 아래 한글 전용의 금자탑을 무너뜨리는 정책을
세우려는 민주자유당에 성명서를 냄.
1994년 3/26 : 정기 총회에서 회칙의 일부를 고쳐, 학회 이사장을 '회장'이라 부르고 부회장 약간명을 두기로 함.
1994년 4/16 : "수학능력 시험에 관한 평가와 전망"이라는 주제로 전국 고등학교 국어 교사 좌담회를 가짐.
1994년 5/25 : "서울 시청 현판에 대한 건의서"를 서울 시장에게 냄.
1994년 5/27 : 국민학교에서의 한자 교육을 반대하는 건의서를 교육부 장관에게 냄.
1994년 6/9 : "한결 김 윤경 선생 나신 100돌 기념 강연회"를 엶.
1994년 7/20 : 원본(한문본) 훈민정음 (영인본)을 새로 찍음(1946년에 펴낸 초판의 인 쇄상의 잘못을 바로잡고 이용이 편리하게 함).
1994년 7/28-30 : 제8회 우리 말글 연수회. 광주-전남 지회에서 주관.
1994년 9/25 : 교육 한글 제7호를 '수학능력 시험에 관한 평가와 전망'이라는 주제
아래 특집으로 펴냄.
1994년 9/30 : 한글 제225호를 '한글 학회 부산 지회 창립 30돌 기념 특집'으로 펴냄.
1994년 10/8-12 : 중국 상하이 외국어 대학교에 한국어과가 설치됨에 따라 교류 방안 등을 협의하기 위해 상하이 외국어 대학교 관계자 5명 초청함.
1994년 10/9 : 한글 영인본 새로 펴냄(10권의 책을 7권으로 묶음).
1994년 10/19-31 : '한글학회 한글정보'(컴퓨터 통신 서비스) 개설 기념으로 "우리 말 짜맞추기 큰잔치" 엶.
1994년 10/29 : "옛소설에 나타난 우리말의 아름다움"이란 주제로 특별 연구 발표
대회를 가짐.
1994년 12/5 : 한글 새소식 제268호를 펴냄.
1994년 12/9 : 중국 상하이 외국어 대학교 '한국학 연구 센터' 설립에 따른 행사에
초청을 받아 허 웅 회장 등 중국 방문함.
1994년 12/22 : "한글 풀어쓰기"를 주제로 연구 발표회를 가짐.
1994년 12/30 : 한글 제226호를 '옛소설에 나타난 우리말의 아름다움'이란 공동 연구 주제 아래 특집으로 펴냄.
1994년 12/31 : 문학 한글 제8호를 "가람 이 병기 선생 연구" 특집으로 펴냄.
1995년 1/25 : 한힌샘 주 시경 연구 제7 8호 합집을 "외솔 최 현배 한결 김 윤경
선생 나신 100돌 기념 특집"으로 펴냄.
1995년 3/25 : 1995년도 정기 총회에서 평의원회를 열어 임원을 새로 뽑음과 함께,
박 지홍 서 재극 님을 명예이사로 추대함.
1995년 6/30 : 국어학의 갈말을 샅샅이 거두어 담고, 무분별한 갈말을 다듬어
국어학 사전을 크라운판(양장본)으로 펴냄.
1995년 7/30 : 교육 한글 제8호를 전국 현장 연구 대회에서 뽑힌 국어과 우수 논문들 을 모아 특집으로 펴냄.
1995년 8/10:재단 이사회에서 문 효근 감사 후임으로 이 진우(변호사) 님을 선임함.
1995년 8/15:중국 조선어문 잡지사가 연길시에서 가진 '제1회 정음상' 시상식에,
허 웅 회장 등이 초청 받아 참석함.
1995년 9/20-24:중국 상하이 외국어 대학교 교수 일행이 학회 초청으로 방문, 상호 교류 방안을 협의함.
1995년 9/30:《한글》제229호를 허 웅 회장과 이 강로 이사의 희수 기념 특집호로 펴냄.
1995년 10/9:"세번째 온겨레 한말글이름 큰잔치"를 갖고, 그 상 드리는 식을 베풂.
1995년 10/9-15:549돌 한글날 및 광복 50돌을 기리어 세종 문화 회관 전시실에서 " 한글 사랑 나라 사랑 전시회"를 엶. 이 기간 동안 같은 장소에서 "한글 타자 속도 자랑하기" 대회도 함께 베풂.
1995년 11/30:"성봉 김 성배 선생 가신 열 돌 추모 강연회"를 엶.
1995년 12/9:《한글》영인본(제110호-146호)을 펴냄(모두 9권으로 묶음).
1995년 12/26-28:"제9회 우리 말글 연수회"를 가짐.
1995년 12/27:"초창기《한글》에 실린 글에 대한 검토와 평가"(한글 제10-30호)를 주제로 연구 발표 대회를 가짐.
1996년 1/1:국어와 사회과 교과서에서 괄호 안에 한자를 넣기로 한 교육 개혁 방안 에 대하여 반대하는 성명서를 냄.
1996년 2/1:전자 국어 사전 "한글 우리말 큰사전"(시디-롬 제작)을 펴냄.
1996년 3/29:"열운 장 지영 선생 가신 스무 돌 추모 강연회"를 엶.
1996년 3/29:1996년도 평의원회에서 평의원 10사람을 보충함. 이로써 평의원회는
모두 54사람으로 짜여지게 됨.
1996년 5/14-18:중국 조선어문 잡지사 대표단 일행 5사람이 학회를 방문하여 우리 말글 발전을 위한 협의회 등을 가짐.
1996년 5/25:《한힌샘 주 시경 연구》제9호를 "한글 사랑 나라 사랑" 특집으로 펴냄.
1996년 6/10:광복회와 함께, '옛 조선총독부 청사를 이전․복원하려는 일부 세력의 움직임'에 대해 엄중경고하는 성명서를 냄.
1996년 7/20:《교육 한글》제9호를 "성봉 김 성배 선생 가신 열 돌 추모 특집 "으로 펴냄.
1996년 8/31: 학회 창립 88돌 기념 연구 발표 대회를 엶.
1996년 10/9: 한글 학회 인터넷 홈페이지를 개설함.(http://www.hangeul.or.kr)
1996년 10/9: "넷째 온겨레 한말글이름 큰잔치"를 갖고, 그 상 드리는 식을 베풂.
1996년 10/14~15: 제5회 국제 한국어 학술 대회를 엶(서울 교육문화 회관). 주제: 세계 각국의 한국어 연구현황과 교육 방향.
1996년 10/20: 《한국 지명 총람》강원편을 새로 찍음. 《한글》영인본
(제147호~170호)을 펴냄(모두 7권으로 묶음).
1996년 10/29: 10월의 문화 인물로 뽑힌 건재 정 인승 선생 기념 강연회를 가짐.
1996년 10/31: 애산 이 인 선생 나신 100돌 기념 강연회를 가짐.
1996년 12/8: 영․호남 지구 합동 연구 발표 대회를 엶(동아 대학교).
주제: 국어학 연구 성과와 미래의 연구방향.
1996년 12/10: 국어 교육에 관한 건의서를 정부 각 부처와 국회, 언론사 등에 냄.
1996년 12/16: '국어학 자료 은행논문 20,375편)―《국어학 자료 은행 편람》 ~Ⅳ권 펴냄, "국어학 자료 은행 찾아보기"(시디롬 타이틀) 만듦, 홈페이지에 자료 실음.
1997년 3/29: 정기 총회 기념 연구 발표 대회를 엶.
1997년 4/30: 《교육 한글》제10호를 제5회 국제 한국어 학술 대회 발표 논문 22편을 묶어 펴냄.
1997년 5/5: 《한글 새소식》제297호를 '세종 대왕 나신 600돌 기념호'로 펴냄.
1997년 5/23: 세종 성왕 나신 600돌 기념 연구 발표 대회를 엶.
1997년 7/7~19: 제1회 국외 한국어 교사 연수회를 가짐.
1997년 8/5: 《한글 새소식》제300호를 특집으로 펴냄(34쪽).
1997년 8/30: 학회 창립 89돌 및 《한글 새소식》제300호 펴낸 기념식을 가짐.
1997년 9/19: 중국 상하이에서 "제1회 중국 대학생 한국어 연설 대회"를 엶. 이 대회 는 문화체육부가 후원하고 상하이 외국어 대학교가 현지 진행을 맡음.
1997년 9/30: 《한글》제237호를 '북한 언어학 연구' 세 번째 특집으로 펴냄.
1997년 10/9: "다섯째 온겨레 한말글이름 큰잔치"를 갖고, 그 상 드리는 식을 베풂.
1997년 10/13~14: 세종 성왕 나신 600돌 기념 "제6회 국제 한국어 학술 대회"를 엶
(서울 세종 문화 회관).
1997년 11/1~12/31: 중국 동포에게 책 보내기 운동을 펼침.
1997년 11/14: 10월의 문화 인물로 뽑힌 열운 장 지영 선생 기념 강연회를 가짐.
1997년 12/5: 《한글 새소식》제304호를 펴냄.
1997년 12/25: 《훈민정음》원본(간송 미술관 소장) 영인본과
《훈민정음: 옮김과 해설》을 펴냄(소장용표갑을 만들어 함께 넣음).
1998년 1/22: "국민 여러분! 지금 우리는 '한자 타령'이나 하고 있을 때가 아닙니다" 라는 제목으로 한글전용에 관한 성명서를 냄.
1998년 2/9: 계몽 책자 《초등학교에서의 한자 교육은 절대 안 된다!》를 펴내어 널리 폄.
1998년 2/26: 평의원회에서 임원을 새로 뽑음(이사 11사람, 감사 2사람).
1998년 6/5: 《문학 한글》제11․12호를 "백영 정 병욱 선생 연구" 특집으로 펴냄.
1998년 6/24: 워드 소프트웨어 '아래아 한글'의 개발 투자 중단 발표에 따른 결의문을 냄.
1998년 7/13~25: 제2회 국외 한국어 교사 연수회를 가짐.(18개 나라 35명 수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