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 로(孥)자는 의부(義符)로 아들 자(子)자에, 성부(聲符)로 종 노(奴)자를 했습니다. 자식을 종처럼 부린다는 뜻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농경 사회에서 생긴 말이니까, 일손이 딸려서 식구가 늘어난 것을 환영했고, 특히 힘을 쓸 수 있는 아들이 태어나는 것을 더 기뻐했던 시절의 사회 배경을 생각해서 해석하시기 바랍니다. 노치(孥稚) 노적죄인(孥籍罪人) 처노(妻孥) 죄인불노(罪人不孥) 죄불급노(罪不及孥) 좌노(坐孥)
산 이름 노(峱)자는 산 산(山)자에 친압할 뉴(狃)자를 했습니다. 산다운 산을 뜻하는 글자인 듯싶습니다. 친압할 뉴(狃)자는 의부(義符)로 개 견(犬,犭)자 부수에 성부(聲符)로 수갑 축(丑)자를 했습니다. 수갑 축(丑)자는 손에 끼는 장갑 즉 수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끈 뉴(紐), 찌를 뉴(䂇), 잡곡밥 뉴(粈), 감탕나무 뉴(杻), 여자 아이 뉴(妞), 익을 뉴(忸)자들은 수감 축(丑)자가 들어 있어서 ‘뉴’로 읽습니다. 노지한혜(峱之閒兮) 노지도혜(峱之道兮) 노산(峱山)
원숭이 노(猱)자는 원숭이도 짐승의 한 종류이니까, 개 견(犬,犭)자 변에 원숭이는 나무를 잘 타서 마치 나뭇가지의 한 부분 같이 보이니까, 부드러울 유(柔)자를 했습니다. 부드러울 유(柔)자는 창 모(矛)자 아래에 나무 목(木)자를 했습니다. 부드러울 유(柔)자에서 창 모(矛)자는 창을 표시한 글자가 아니라, 나무 가지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나무 가지가 부드럽지요. 바람이 불면 이리흔들 저리 흔들 흔들립니다. 원숭이 노(猱)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노유(猱狖) 수노승목(數猱升木) 검문관원노도(劍門關猿猱道) 무교노승목(無敎猱升木)
어지러울 노(怓)자는 의부(義符)로 마음 심(心,㣺,忄)자에, 성부(聲符)로 종 노(奴)자를 했습니다. 성냉 노(怒)자는 종 노(奴)자와 마음 심(心)자를 상하(上下)로 배열하였고, 어지러울 노(怓)자는 종 노(奴)자와 마음 심(心)자를 좌우(左右)로 배열하였습니다. 종(奴)을 마음대로 부리려면 잘 안되는 걸 하려니까, 성낼 노(怒)자가 되고, 마음(心,㣺,忄)을 부리려면 마음만 어지러우니, 어지러울 노(怓)자가 됩니다. 혼노(惛怓) 이근혼노(以謹惛怓) 심기락차적희노(心期樂此積希怓) 노노(怓怓)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