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가차포(手加車包)
기술이 차포를 더한 것과 같다는 뜻으로, 술수나 재능이 탁월함을 이르는 말이다.
手 : 손 수(手/0)
加 : 더할 가(力/3)
車 : 수레 차(車/0)
包 : 쌀 포(勹/3)
장기(將棋)는 바둑에 비해 수가 적더라도 예부터 남녀노소가 즐긴 지적 놀이였다. 양측의 대장이 붉은 한(漢)과 푸른 초(楚)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중국서 비롯됐다는 설이 유력하다.
노홍소청(老紅少靑)이라며 초의 항우(項羽)가 한의 유방(劉邦)보다 연하라 선수로 둔다. 양편이 각16개의 짝으로 두는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 차(車)와 포(包)다.
풍자시인 김삿갓이 시구를 남겼다. "포가 날아 뛰어넘는 곳에 위풍이 장하고(飛包越處軍威壯), 직진하는 차는 먼저 졸을 무찌른다(直走輕車先犯卒)." 수가 가장 중요한 차포(車包)를 더한 것과 같다면 재능이 훨씬 높다는 말이다.
조선 후기 편자 미상의 한문 소화집(笑話集)인 '교수잡사(攪睡雜史)'에 실려 있다. '잠을 깨게 하는 잡된 이야기를 모아놓은 책'이란 글자대로 해학과 음담이 내용의 주를 이룬다.
집대성한 고금소총(古今笑叢)에 물론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 장기를 잘 두는 어느 재상의 이야기에서 성어가 비롯됐다.
그는 수법이 뛰어나 적수가 없을 정도인데다 내기가 아니면 두지 않았다. 이 소문을 들은 영남의 한 선비가 찾아 와 대국을 청하며 가진 것이 없어 질 경우엔 타고 온 말과 하인을 드리겠다고 했다. 세 번을 두어 두 번을 진 선비는 약속대로 말과 하인을 대감에 바치고 떠났다.
수십 일 지나 선비가 다시 찾아 과거에 낙방하고 내려가는 길이라며 대국을 청했다. 지면 고향의 논밭 문서를 걸고 자신이 이길 때는 전번 맡긴 것을 돌려주면 된다고 했다.
재상이 허락하고 대국했는데 이번에는 쩔쩔 매며 세 번을 다 패했다. 언제 수가 이렇게 늘었느냐고 물으니 선비가 답한다. "애초 저의 수법이 대감과 비교해 차포는 더한 것 같습니다(自初小生比 大監文博手加車包)."
서울 머물 때 말을 먹일 데가 없어 일부러 졌다는 말에 대감은 창피를 금할 수 없었다. '한국고사성어(임종대 편저)'에는 바둑에 져서 말을 맡긴다는 기패기마(碁敗寄馬)가 나오는데 세조의 아들 덕원군(德源君)이라고 대감이 명시되는 것 외에 내용은 같다.
어느 한 분야를 잘 하게 되면 자기가 천하제일인 줄 안다. '저는 잘난 백정으로 알고, 남은 헌 정승으로 안다'는 속담대로 세상에는 날고뛰는 재주꾼이 수두룩한데 실제 변변찮으면서 더 우쭐대고 조금 못한 남을 업신여긴다.
교양이 있고 수양을 쌓은 사람일수록 겸손하고 남 앞에서 자기의 재주를 숨긴다. '벼 이삭은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고 했어도 실제 속이 찬 사람은 난득호도(難得糊塗)라 하여 어리숙하게 보이기가 더 어렵다고 했다. 겸손을 모르고 제 세상인양 기고만장하는 사람들은 그 세월이 오래 갈 줄 안다.
▶️ 手(손 수)는 ❶상형문자로 다섯 손가락을 편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마찬가지로 손의 모양에서 생긴 글자는 又(우; 또), 寸(촌; 치) 따위가 있다. 手(수)는 投(투; 던지다), 招(초; 부르다) 따위 다른 글자의 부분이 되면 재방변(扌=手; 손)部로 쓰는 일이 많다. ❷상형문자로 手자는 '손'이나 '재주', '수단', '방법'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手자는 사람의 손을 그린 것이다. 본래 '손'을 뜻하는 글자로는 又(또 우)자가 있었지만, 후에 뜻이 바뀌면서 금문에서는 手자가 '손'과 관련된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手자는 사람의 손을 그린 것이기 때문에 손의 기능이나 역할과 관련된 의미를 전달하게 된다. 하지만 때로는 재주나 솜씨, 수단 등과 같이 손과 관련된 기술을 표현하기도 한다. 그래서 手자는 운전수(運轉手)나 가수(歌手)와 같이 특별한 능력을 지닌 전문가들을 뜻하기도 하는 것이다. 그래서 手(수)는 바둑이나 장기 등에서 두는 기술의 뜻으로 ①손 ②재주, 솜씨 ③수단(手段), 방법(方法), 계략(計略) ④사람 ⑤힘, 도움이 될 힘이나 행위 ⑥필적(筆跡) ⑦권한(權限), 권능(權能) ⑧가락, 곡조(曲調) ⑨바둑돌이나 장기 말을 한 번씩 두는 번수 ⑩손수, 스스로 ⑪쥐다, 손으로 잡다 ⑫속박하다, 묶어 두다 ⑬손바닥으로 치다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발 족(足)이다. 용례로는 죄인의 손목에 걸쳐 채우는 수갑(手匣), 손으로 움직이는 것을 수동(手動),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한 행동 방도를 수단(手段), 늘 가지고 다니면서 기억해 두어야 할 내용을 적을 수 있도록 만든 조그마한 공책을 수첩(手帖), 의료 기계를 써서 환자의 병을 고치는 일을 수술(手術), 정해진 급료 이외에 경우에 따라 덧붙여 주는 보수를 수당(手當), 손과 발 또는 손발과 같이 마음대로 부리는 사람을 수족(手足), 범인을 잡으려고 수사망을 폄을 수배(手配), 순서나 과정을 수순(手順), 손아래나 부하를 수하(手下), 일을 꾸미고 치러 나가는 재간을 수완(手腕), 자기의 생활이나 체험을 적은 기록을 수기(手記), 어떤 일에 손을 대어 시작함을 착수(着手), 잘못하여 그르침 또는 그 짓을 실수(失手), 기쁨과 찬성과 환영을 나타내거나 장단을 맞추거나 할 때 두 손뼉을 마주 두드림을 박수(拍手), 노래 부르는 것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을 가수(歌手), 운동이나 기술에서 대표로 뽑힌 사람을 선수(選手), 얼굴을 씻음을 세수(洗手), 손을 위로 들어 올림을 거수(擧手), 손에 들어옴 또는 손에 넣음을 입수(入手), 북을 치는 사람을 고수(鼓手), 왼손을 오른손 위에 놓고 두 손을 마주 잡아 공경의 뜻을 나타내는 예를 공수(拱手), 손에 땀을 쥔다는 뜻으로 위험한 광경이나 사건의 추이를 보고 자신도 모르게 몹시 긴장됨을 이르는 말을 수악한(手握汗), 손에서 책을 놓지 않는다는 뜻으로 늘 책을 가까이하여 학문을 열심히 함을 이르는 말을 수불석권(手不釋卷), 형제간의 우애를 일컫는 말을 수족지애(手足之愛), 자기에게 직접 딸린 병사 또는 자기의 수족과 같이 쓰는 사람을 일컫는 말을 수하친병(手下親兵), 너무 좋아서 어쩔 줄 모르고 날뜀을 일컫는 말을 수무족도(手舞足蹈), 팔짱을 끼고 보고만 있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당하여 옆에서 보고만 있는 것을 이르는 말을 수수방관(袖手傍觀), 손을 묶인 듯이 어찌 할 방책이 없어 꼼짝 못하게 된다는 뜻으로 뻔히 보면서 어찌할 바를 모르고 꼼짝 못한다는 뜻을 이르는 말을 속수무책(束手無策), 물려받은 재산 없이 스스로의 힘으로 일가를 이룸으로 스스로의 힘으로 사업을 이룩하거나 큰 일을 이룸을 일컫는 말을 자수성가(自手成家), 양손에 떡을 쥐었다는 뜻으로 가지기도 어렵고 버리기도 어려운 경우를 이르는 말을 양수집병(兩手執餠), 사슴이 누구의 손에 죽는가라는 뜻으로 승패를 결정하지 못하는 것을 이르는 말을 녹사수수(鹿死誰手), 쉽게 승부를 낼 수 있음을 이르는 말을 타수가결(唾手可決) 등에 쓰인다.
▶️ 加(더할 가)는 ❶회의문자로 힘 력(力)部는 팔의 모양이 전하여 힘써 일을 하다라는 뜻으로 알통이 나온 팔의 모양이다. 口(구)는 어떤 물건의 모양이다. 加(가)는 위에 얹다. 口(구)는 입으로 보고 加(가)는 힘주어 말하다에서 수다떨다로 생각하였다. 力(력)은 농기구의 모양이라고도 한다. ❷회의문자로 加자는 ‘더하다’나 ‘가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加자는 力(힘 력)자와 口(입 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力자는 농기구를 그린 것으로 ‘힘쓰다’라는 뜻이 있다. 加자는 이렇게 ‘힘쓰다’라는 뜻을 가진 力자에 口자를 결합한 것으로 본래 의미는 ‘찬미하다’나 ‘칭찬하다’였다. 그러니까 加자는 농사일에 힘쓰는 사람들의 노고를 격려한다는 뜻이었다. 그러나 후에 농사일을 통해 생산물이 증대되는 것에 빗대게 되면서 ‘더하다’나 ‘가하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지금은 여기에 壴(악기이름 주)자가 더해진 嘉(아름다울 가)자가 ‘찬미하다’나 ‘칭찬하다’라는 뜻을 대신하고 있다. 그래서 加(가)는 (1)가법(加法) (2)가산(加算) (3)더하기 (4)일부 한자어 앞에 붙어 '덧-'의 뜻을 나타냄 (5)가나다 (6)부여(夫餘), 고구려(高句麗)의 관직명(官職名) 등의 뜻으로 ①더하다 ②가하다 ③들다 ④가입하다 ⑤입다, 몸에 붙이다, 입히다 ⑥치다 ⑦있다 ⑧미치다(영향이나 작용 따위가 대상에 가하여지다), 닿다 ⑨쓸다 ⑩베풀다(일을 차리어 벌이다, 도와 주어서 혜택을 받게 하다) ⑪살다, 거처(居處)하다 ⑫업신여기다, 헐뜯다 ⑬가법,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이로울 리/이(利), 더할 증(增), 더할 첨(沾), 더할 첨(添), 더할 익(益)이고,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깎을 산(刪), 깎을 삭(削), 덜 손(損), 덜 감(減), 내릴 강(降), 덜 제(除), 떨어질 낙/락(落)이다. 용례로는 조직이나 단체 등에 구성원으로 되기 위하여 듦을 가입(加入), 음식에 다른 식료품이나 양념을 더 넣어 맛이 나게 함을 가미(加味), 더하여 증가시킴을 가증(加增), 남에게 해를 줌을 가해(加害), 천연물이나 덜 된 물건에 인공을 더함을 가공(加工), 물체에 더운 기운을 가함을 가열(加熱), 거들어 도와 줌 또는 한 편이 되어 일을 함께 함을 가담(加擔), 더하거나 빼어 알맞게 함을 가감(加減), 더 무겁게 함 또는 더 무거워짐을 가중(加重), 압력을 가함을 가압(加壓), 정한 봉급 외에 특별히 얼마의 액수를 덧붙여 줌을 가봉(加俸), 속도를 더함을 가속(加速), 더하여 셈함을 가산(加算), 조세나 공물 따위를 정한 수량보다 더 바침을 가납(加納), 더하여 많아짐을 증가(增加), 나중에 더하여 보탬을 추가(追加), 어떤 모임이나 단체에 참여하거나 가입함을 참가(參加), 더함이나 더하여 붙임을 첨가(添加), 서로 뒤섞임 또는 서로 왕래함을 교가(交加), 갑절로 늘거나 늘림을 배가(倍加), 무릎에 앉혀 귀여워하거나 연못에 빠뜨린다는 뜻으로 사랑과 미움을 기분에 따라 나타냄으로써 그 언행이 예에 벗어남을 이르는 말을 가슬추연(加膝墜淵), 임금이나 왕후의 존호에 다시 존호를 더함을 가상존호(加上尊號), 남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을 가해행위(加害行爲), 더하지도 덜하지도 말라는 뜻으로 한가위의 풍성한 만족을 이르는 말인 가야물감야물(加也勿減也勿), 눈 위에 또 서리가 내린다는 뜻으로 어려운 일이 겹침을 이름 또는 환난이 거듭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설상가상(雪上加霜), 달걀 위에 달걀을 포갠다는 뜻으로 지극한 정성을 이르는 말을 난상가란(卵上加卵), 달리는 말에 채찍질하기라는 속담의 한역으로 형편이나 힘이 한창 좋을 때에 더욱 힘을 더한다는 말을 주마가편(走馬加鞭), 서로 싸우는 사이에 노기가 자꾸 더해감을 노기상가(怒氣相加), 문장이 썩 잘 되어서 한 점도 가필할 필요가 없을 만큼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을 문불가점(文不加點) 등에 쓰인다.
▶️ 車(수레 거, 수레 차)는 ❶상형문자로 수레의 모양을 본떴다. 车(거/차)는 간자(簡字)이다. 부수로서는 수레에 관한 글자의 의미로 쓴다. 수레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서, 임금이 타는 수레를 의미했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임금의 거동을 뜻하게 되었다. ❷상형문자로 車자는 '수레'나 '수레바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참고로 車자에는 '차'와 '거'라는 두 가지 발음이 있다. 車자는 물건이나 사람을 싣고 다니던 '수레'를 그린 것이다. 수레는 무거운 짐이나 사람을 쉽게 이동하게끔 하는 수단이었기 때문에 당시에는 획기적인 발명품이었다. 갑골문에 나온 車자를 보면 당시의 수레가 잘 묘사되어 있었다. 갑골문에서는 양쪽에 큰 바퀴와 상단에는 차양막이 함께 그려져 있었다. 후에 한자가 세로로 쓰이게 되면서 양쪽에 있던 수레바퀴는 단순하게 획으로 그어졌고 짐이나 사람을 싣던 곳은 田자로 표현되었다. 그래서 지금의 車자는 수레를 세로로 그린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처럼 車자는 수레를 그린 것이기 때문에 부수로 쓰일 때는 '수레'나 '전차'와 관련된 의미를 전달하게 된다. 그래서 車(거/차)는 (1)바퀴를 굴려서 나아가게 만든 운수 수단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기차(汽車), 자동차(自動車), 전차(電車) 등을 말함 (2)장기짝의 하나로 車자를 새긴 것으로, 한 편에 둘씩 네 개가 있다. 차 치교 포 친다. 제 마음대로 이리저리 마구 휘두름을 이르는 말. (3)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수레 ②수레바퀴 ③수레를 모는 사람 ④이틀(이가 박혀 있는 위턱 아래턱의 구멍이 뚫린 뼈) ⑤치은(齒齦; 잇몸) ⑥장기(將棋)의 말 그리고 ⓐ수레(거) ⓑ수레바퀴(거) ⓒ수레를 모는 사람(거) ⓓ이틀(이가 박혀 있는 위턱 아래턱의 구멍이 뚫린 뼈)(거) ⓔ치은(齒齦; 잇몸)(거)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수레 가(軻), 수레 로/노(輅), 수레 량/양(輛), 가마 련/연(輦), 수레 여(轝)이다. 용례로는 임금이 타는 수레를 거가(車駕), 수레와 말을 거마(車馬), 물품 따위를 수레에 실음을 거재(車載), 수레 바퀴를 거륜(車輪), 비나 볕을 가리기 위해 수레 위에 친 우산 같은 덮개를 거개(車蓋),여러 가지 수레의 총칭을 차량(車輛), 차가 다니도록 마련한 길을 차도(車道), 차량의 사람이 타게 된 칸을 차간(車間), 도로를 주행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그어 놓은 선을 차선(車線), 승객이나 화물을 싣는 부분을 차체(車體), 차량을 넣어두는 곳을 차고(車庫), 수레는 흐르는 물과 같고 말의 움직임은 하늘을 오르는 용과 같다는 뜻으로 수레와 말의 왕래가 많아 매우 떠들석한 상황 즉 행렬이 성대한 모양을 일컫는 말을 거수마룡(車水馬龍), 차윤이 개똥벌레를 모았다는 뜻으로 가난한 살림에 어렵게 공부함을 이르는 말을 차윤취형(車胤聚螢), 차윤의 반딧불과 손강의 눈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서의 면학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차형손설(車螢孫雪), 수레에 싣고 말斗로 될 수 있을 정도라는 뜻으로 인재나 물건이 아주 많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거재두량(車載斗量), 수레와 고기가 없음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사람의 욕심에는 한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거어지탄(車魚之歎), 수레의 말은 살찌고 몸의 의복은 가볍게 차려져 있음을 이르는 말을 거가비경(車駕肥輕), 경험이 없는 말로 수레를 끌게 하려면, 먼저 다른 말이 끄는 수레 뒤에 매어 따라다니게 하여 길들여야 한다는 뜻으로 작은 일에서부터 훈련을 거듭한 뒤 본업에 종사해야 함을 이르는 말을 거재마전(車在馬前), 수레바퀴 자국과 말 발자국이라는 뜻으로 수레나 말을 타고 천하를 두루 돌아다니며 노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을 거철마적(車轍馬跡) 등에 쓰인다.
▶️ 包(쌀 포/꾸러미 포)는 ❶회의문자로 勹(포)가 본자(本字), 苞(포)와 통자(通字)이다. 쌀포 몸(勹; 싸다)部는 사람이 몸을 구부리고 있는 모습이고, 巳(사)는 뱃속의 아이를 나타낸다. 뱃속의 아이의 뜻으로 부터 모든 것을 싸는 뜻이 되었다. ❷회의문자로 包자는 '싸다'나 '감싸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包자는 勹(쌀 포)자와 巳(뱀 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巳자는 '뱀'이라는 사전적 의미가 있지만, 사실은 태아의 팔과 다리를 생략해 그린 것이다. 그러니 包자는 자궁과 태아를 함께 그린 것으로 해석된다. 包자의 갑골문을 보면 둥그런 원안에 人(사람 인)자가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자궁에 있는 아이를 표현한 것이다. 그래서 包자의 본래 의미는 '둘러싸다'나 '아이를 배다'였다. 그러나 지금은 단순하게 무언가를 둘러싼다는 뜻으로만 쓰이고 엄마의 뱃속을 뜻할 때는 여기에 肉(고기 육)자가 더해진 胞(태보 포)자가 쓰인다. 그래서 包(포)는 (1)장기짝의 이름의 하나 포자를 새기었는데 한 편에 둘씩 네 개가 있으며, 다른 장기짝을 한 개 넘어서 움직임 (2)촛가지 (3)파오(包) (4)동학(東學)의 교구(敎區) 혹은 집회소. 접(接). 장(帳) (5)일정한 양으로 싼 인삼(人蔘) (6)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싸다 ②감싸다 ③용납(容納)하다 ④너그럽게 받아들이다 ⑤아우르다, 함께 넣다 ⑥아이를 배다 ⑦더부룩하게 나다 ⑧초목(草木)이 무성(茂盛)하다 ⑨꾸러미 ⑩보따리 ⑪푸줏간 ⑫포(꾸러미의 수를 세는 단위) ⑬주머니 ⑭봉지,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머금을 함(含), 에워쌀 위(圍), 묶을 괄(括)이다. 용례로는 어떤 사물이나 현상 가운데 함께 들어 있거나 함께 넣음을 포함(包含), 물건을 싸서 꾸림을 포장(包裝), 물건을 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싸서 간직함을 포장(包藏), 도량이 넓어서 남의 잘못을 이해하여 싸덮어 줌을 포용(包容), 있는 대로 온통 휩쓸어 쌈을 포괄(包括), 도망가지 못하도록 둘러쌈을 포위(包圍), 상대를 허용하여 받아 들임이나 포괄하여 자기편에 가담시킴을 포섭(包攝), 피륙이나 가죽이나 종이 따위로 만든 자루를 포대(包袋), 싸서 가지고 있음을 포유(包有), 어떤 성질이나 뜻을 그 속에 지님을 내포(內包), 자그마하게 포장한 물건을 소포(小包), 거적이나 새끼로 짐을 꾸려 포장함 또는 그렇게 꾸린 짐을 곤포(梱包), 헤엄을 치거나 물에 빠졌을 때 몸이 잘 뜨게 하는 물건을 부포(浮包), 약 따위를 한 봉지 씩 나눠 쌈을 분포(分包), 포장한 짐의 무게를 저울에 다는 일 또는 그 짐을 칭포(稱包), 남을 해칠 마음을 품음을 이르는 말을 포장화심(包藏禍心), 생활에 걱정이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을 팔포대상(八包大商)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