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이름이 동사가 된 순간 :
마케팅의 승리
기업 이름이 동사가 된 순간
: 마케팅의 승리
©Shutterstock
기업의 성공은 종종 연간 매출액으로 측정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마케팅이 너무 좋아서 기업명이
동사가 될 정도로 성공한 기업들이 시선을 끈다.
좋은 예가 바로 구글 (Google)이다.
오늘날 우리는 인터넷에서 무언가를 검색할 때
흔히 “구글 해봐”라고 말한다.
실제로 수많은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이름이 동의어가 될 때 큰 성공을 거둔다.
그렇다면 가장 유명한 동사들(기업명)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다음 장에서 브랜드가 동사가 된 사례를 살펴보자.
Hoover- 후버
©Shutterstock
영어권에서는 청소기를 돌린다고 할 때 이렇게 표현을 많이 한다.
"I am going to hoover". 청소기 브랜드 Hoover가 모든 청소기를
대표하는 것을 넘어 "청소기를 돌린다"라는 동사가 되어버렸다.
Google- 구글
©Shutterstock
이제 "구글 하다"는 검색 엔진에서
무언가를 검색하는 것을 의미하게 되었다.
Zoom-줌
©Shutterstock
"줌하다"는 이제 화상 회의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하게 되었다.
YouTube-유투브
©Shutterstock
"유튜브하다" 는 유튜브에서 콘텐츠를 만든다는 의미로,
"유트브 본다"는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음악을 듣는 것을
의미하며, 때로는 몇 시간 동안 계속하기도 한다.
Photoshop- 포토샵
©Shutterstock
"포토샵하다" 또는 "뽀샵하다"는 이제 그래픽이나
이미지를 편집하거나 조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Xerox- 제록스
©Shutterstock
영어권에서는 복사한다고 할때
"무언가를 제록스하다"라고 자주 쓰인다.
대게 무언가를 "복사하다"의
기본적인 표현 방법이 되어버렸다.
FedEx-페덱스
©Shutterstock
또한 패키지를 익일 배송해야 할 경우,
보통 "페덱스하다"고 말한다.
Uber-우버
©Shutterstock
독일어에서 ‘Über’는 ‘위’, ‘위쪽’, 또는 ‘가로로’를 의미하는 단어지만,
이제는 일상에서 주로 "택시 타다" 또는 "타는 것" 으로 쓰이고 있다.
Skype-스카이프
©Shutterstock
"스카이프하다"는 영상 통화를 하거나
메시지를 보내거나 파일을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Netflix-넷플릭스
©Shutterstock
우리나라엔 "라면먹고 갈래?"가 있다면, 영어권에서는
"Netflix and chill (넷플리스 보면서 놀자)" 라는 표현이 있다.
Twitter-트위터
©Shutterstock
"트윗하다"는 트위터에 메시지를
게시하는 것을 의미하게되었다.
카카오톡
©Getty Images
누군가에게 메세지를 보낼때 우리는 "카톡하다",
또는 전화는"보톡하다"라고 말한다
WhatsApp-왓츠앱
©Shutterstock
한국에서는 잘 쓰이진 않지만, 그외 많은 국가에서는
WhatsApp 메신저를 주로 사용한다. 따라서 누군가에게
메세지를 보낼때 "왓챕하다" 라고 쓰이게 되었다.
Dropbox-드롭박스
©Shutterstock
"드롭박스하다"는 파일(예를 들어 사진이나 문서)을
저장하거나 공유하는 것을 의미하게 되었다
Airbnb-에어비앤비
©Shutterstock
"에어비앤비를 했다"는 것은 휴가를 위해
임대 숙소를 예약한 것을 의미한다.
카카오 페이
©Shutterstock
"카카오 페이하다"라는 말은 돈을 보내거나 받는
방식으로 온라인 송금을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Facebook-페이스북
©Shutterstock
"페이스북 하다" 라는 말은 전세계 모든 페이스북
유저들과 연결되었다는 의미를 지게되었다.
FaceTime- 페이스타임
©Shutterstock
"페이스타임 하다"는 영상통화를
한다는 의미로 쓰이고있다.
Spotify- 스포티파이
©Shutterstock
한국에서는 다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들이 자리를 잡고있지만,
해외 대부분 국가들은 스포티파이 앱을 사용한다.
스포티파이 앱에서 노래를 찾을 때 흔히
"스포티파이 하다 (Spotify it)" 라고 표현한다.
Instagram-인스타그램
©Shutterstock
영어권에서는 인스타그램에 포스팅을 할때
"그램 하다(gram it)"로 사용한다.
LinkedIn-링크드인
©Shutterstock
"링크드인하다"는 것은 LinkedIn 플랫폼에서
적극적으로 네트워킹을 하려는 전문직
종사자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근마켓
©Shutterstock
이제는 중고거래를 할때 "당근하다" 라는
표현이 더 흔하게 쓰이게 되었다.
Amazon-아마존
©Shutterstock
국내에는 쿠팡이 자리 잡고 있어 "쿠팡하다" 라는 표현이 쓰이지만,
영어권에서는 "아마존 하다-Amazon it" 이라는 표현이 자주 쓰인다.
TikTok-틱톡
©Shutterstock
틱톡은 짧은 비디오를 만들고/보는 것이다.
이 플랫폼에서 컨텐츠를 생성하는 사람들을
"틱톡커"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들은 엄청난 양의 콘텐츠를 만들고
수백만 명의 팔로워를 끌어들인다.
Tinder- 틴더
©Shutterstock
틴더 데이트(Tinder date)는 성인 데이트 엡이다.
이제 "틴더하다"라는 표현은 해당 플랫폼을 사용하는
말을 벗어나 "앱으로 데이트 상대를 찾는다" 라는 의미가 되었다.
출처 Starsinsi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