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연합뉴스) 정찬욱 기자 = 코레일이 8월에 주중 요금할인과 KTX 역방향 할인 등을 폐지하기로 해 편법 요금 인상이라는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정부로부터 부채 감축 압박을 받아온 코레일이 수익성 개선 등을 위해 각종 할인제도를 개편키로 한 것이다.코레일은 현재 시행 중인 할인제도 중 이용 실적이 많은 정기 고객 등에 대한 할인혜택은 강화하고 도입목적인 '수요 확대'효과가 낮아 실효성이 없거나 형평성에 어긋나는 요금할인은 폐지·축소하는 방향으로 요금할인제도를 개편키로 했다고 31일 밝혔다.

개편 내용에 따르면 종전 주중 월∼목요일 할인을 전 요일 정상운임으로 일원화하고 KTX 역방향 및 출입구석과 철도이용계약수송 할인을 폐지키로 했다.
코레일은 그동안 수요 확대를 위해 이용률이 비교적 낮은 월∼목요일에 KTX는 7%, 새마을·무궁화호 열차는 4.5%의 요금을 각각 할인해왔다. 또 KTX 역방향과 출입구석은 5%, 철도이용계약수송은 10%를 할인했다.
또 2010년 11월 경부고속철도 2단계 개통으로 신경주역·울산역 우회에 따라 개통 초기 한시적으로 거리 증가에 따른 운임인상분을 특별할인해 왔던 것도 다른 노선과 형평을 맞춰 정상운임으로 환원한다.
기존 선인 구포 경유 경부선 KTX는 변동이 없다.
코레일은 ITX-청춘 개통 초기 수요확대를 위해 단계적 조정을 전제로 도입한 특별할인(30%)도 15%로 조정하고 이용이 저조한 2층 가족석은 일반 발매로 전환키로 했다.
ITX-청춘 개통시 특별할인 조정계획은 2012년 30%, 2013년 20%, 올해 10%, 내년 정상 운임이다.
이 같은 요금할인제도 폐지와 조정으로 해당 이용객들은 요금을 더 내야 된다.
코레일은 대신 출·퇴근 고객이 주로 이용하는 KTX와 새마을호 정기승차권 할인율은 현행 50%(청소년 60%)에서 추가로 최대 7%를 할인한다.
현재 정기권 이용객은 하루 평균 5만5천명으로, 전체 이용객의 15.9%(KTX 7.6%, 일반열차 21.3%)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KTX의 경우 정기권 이용객이 개통 첫해인 2004년 연간 누적 8천202명에서 지난해 7만1천770명로 10년 만에 9배가량 증가했고, 현재는 매일 1만1천명이 KTX로 출·퇴근과 통학을 하고 있다.
또 승차율이 낮은 열차 위주로 제공되는 KTX 파격가 할인제도도 이용기간이 비수기에 해당하는 경우 할인 좌석 규모를 현재보다 10% 더 늘리고 올해 추석부터 역귀성 열차는 최대 70%까지 할인키로 했다.
동대구∼부산 등 이용 구간별로 잔여석이 많이 생기는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은 최대 50%까지 반값으로 이용할 수 있는 파격적인 상품도 운영한다. 현재 동대구∼부산간 일부 KTX에 대해 시범적으로 상품을 운영 중이다.
정부 사회복지 정책에 따라 시행되는 노약자, 장애인, 유공자 등에 대한 공공할인도 현행대로 유지된다.
할인제도 개편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레츠코레일 홈페이지(www.letskorail.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종철 코레일 여객본부장은 "시시각각 변하는 고객들의 요구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할인제도를 개발하고 있다"며 "고객 안전·편의시설도 확충, 더 안전하고 편리한 열차서비스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jchu2000@yna.co.kr
(끝)
------------------------------------------------------------------------------
칠도가 민영화되면 요금이 오른다고 하면서 민영화 반대논리를 펴고 있다. 요금이 오르고 비싸면 다른 대중교통(버스, 고속버스)을 이용하면 된다. 철도는 적자 부실덩어리이다.
철도민영화는 세계적 대세이며 철도가 없는 나라도 있겠지만 세계 200여국중 철도를 국영하는 나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India, Sri Lanka,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연방 ,영국, 이탈리아, 베트남 등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한국과 독일은 공기업방식이다.
이런 저런 꼴 보기 싫으면 철도민영화를 하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