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는 신라의 23가지 부대에 대한 간단한 정리.
* 군호(軍號), 당(幢), 정(停)은 각기 신라시대 부대를 뜻하는 명칭임.
* 본 글에 나오는 부대 종류는 신라 전 시기에 걸쳐 존재했던 것들로 통일 전과 후의 군제가 모두 함께 포함되어 있음.
* 본 글에 나오는 부대 구성이나 설치 연도등은 학자들마다 이견이 있는 내용으로 확실하게 정해진 것은 아님.
1. 6정(停) : 진흥왕 5년에 왕경에 대당을 설치하고 지방에는 삼천당(10정)을 배치함으로써 군단설치가 본격화됨.
-대당(大幢) : 진흥왕 5년에 설치. 가장 먼저 설치된 부대로 총 38개 당으로 편성
-상주정(上州停) : 진흥왕대에 설치한 상주정을 문무왕이 귀당(貴幢)으로 개편한 것 같이 기술하였으나 문무왕대의 기록에는 귀당총관과 상주총관을 별도로 임명하고 있음에서 원래 상주정과 귀당은 별개로 설치한 것을 문무왕 13년에 이르러 귀당으로 통합하여 북변에 배치한 것으로 추정
귀주가 28인이므로 귀당도 휘하(麾下)에 28개 부대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
-한산정 : 진흥왕의 한강 유역 점령을 계기로 설치된 것으로 처음 신주정(新州停)이었던 것을 진흥왕 18년에 북한산주가 되었다가 동왕 29년에 남천정(南川停)으로 개명하였고, 진평왕 26년에 한산정으로 개편하여 통일후에 이르기까지 계속 존재함. 36당으로 편성.
-우수정(牛首停) :신라의 동북변을 수비하였던 중심 군단으로서 오늘의 안변(安邊) 지방을 중심으로 비열흘정(比列忽停)을 두었다가 진흥왕 29년에 비열흘정을 폐하고 달홀주(達忽州:고성)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일대 개편이 있었으며 문무왕 13년에 이르러 오늘의 춘천 지방에 우수정을 설치함. 26당으로 편성
-하서정(河西停) : 하서정은 원래 실직정이었던 것을 무열왕 5년에 오늘의 강릉으로 이동하여 하서정으로 개편함. 2당으로 편성
-하주정(완산정) : 신라의 서경을 수비하던 최전방 군단으로서 진흥왕 16년에 오늘의 창녕 지방에 비사벌정을 설치하였다가 신라 경계의 변천을 따라 대야성(합천) 소부리주(부여) 등으로 이동하였으며 통일 후 지방제도를 개편하여 9주를 설치하던 시기인 신문왕 5년에 이르러 오늘의 전주지방에 완산정을 설치함. 26당으로 편성.
2. 9서당(誓幢)
-백금서당(白衿誓幢) : 백제민으로 구성, 문무왕 12년에 설치
-황금서당(黃衿誓幢) : 고구려유민으로 구성. 신문왕 3년에 설치
-흑금서당(黑衿誓幢) : 말갈인으로 구성. 신문왕 3년 설치
-벽금서당(碧衿誓幢) : 보덕성민으로 구성. 신문왕 6년 설치
-적금서당(赤衿誓幢) : 보덕성민으로 구성. 신문왕 6년 설치
-청금서당(靑衿誓幢) : 백제잔민으로 구성. 신문왕 7년 설치
원래 9서당은 통일 신라시대의 중추적인 부대라는 해석이 주류였으나 최근에는 성을 쌓기 위해 고구려와 백제 유민을 동원하기 위한 부대였다는 의견도 있음.
설치된 지 30년이 지난 효소왕 10년 경에는 구성원이 보충되지 않음으로써 비신라인으로 구성된 서당들은 대부분 소멸함.
3. 10정(停)(삼천당)
10정의 설치연대는 모두 진흥왕 5년이며 각정의 편성은 다같이 6당이다. 십정은 모두 각 주에 배치됨
-남천정(南川停) : 지금의 경기도 이천
-골내근정(骨乃斤停) : 지금의 경기도 여주
-음리화정(音里火停) :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
-고량부리정(古良夫里停) : 지금의 충청남도 청양
-거사물정(居斯勿停) : 지금의 전라북도 임실
-삼량화정(參良火停) : 지금의 경상북도 달성
-소삼정(召參停) : 지금의 경상남도 함안
-미다부리정(未多夫里停) : 지금의 전라남도 나조
-벌력천정(伐力川停) : 지금의 강원도 홍천
-이화혜정(伊火兮停) : 지금의 경상북도 청송
음리화정(音里火停), 고량부리정, 거사물정은 금(衿)의 색깔은 청색, 삼량화정, 소삼정, 미다부리정은 흑색, 남천정, 골내근정은 황색, 벌력천정, 이화혜정은 녹색임.
육정이 보병 중심인데 대해서 십정은 기병 중심으로 편성
4. 오주서 : 신문왕 12년에 설치
한산주서(漢山州誓) : 지금의 경기도 광주. 6당
완산주서(完山州誓) : 전라북도 전주. 6당
우수주서(右首州誓) : 지금의 강원도 춘천. 3당
하서주서(河西州誓) :지금의 강원도 강릉. 4당
청주서(菁州誓) : 지금의 경상남도 거창. 6당
5. 삼무당(三武幢) : 비신라계 군관들을 예우하는 차원에서 설치된 군단으로 추정
-백금무당(白衿武幢)
-적금무당(赤衿武幢)
-황금무당(黃衿武幢)
6. 계금당(罽衿幢) :6당으로 편성되어 있으며 군관 배치로 보아 기병대로 추정
7. 급당(急幢) : 진평왕 27년에 설치. 자세한 내용 모름.
8. 사천당(四千幢) : 진평왕 13년에 설치 금색은 황색임. 기병대 3당으로 편성
9. 경오종당(京五種幢) : 군복의 빛깔로 부대를 구분한 것으로 도끼와 방패를 주무기로 하는 보병부대. 청록(靑綠), 적자(赤紫), 황백(黃白). 백흑(白黑), 흑청(黑淸)의 5개 부대로 편성됨. 경오종각당이 각각 삼당으로 편성
10. 이절말당(二節末幢) : 도끼와 방패를 주무기로 한 보병부대로 추정. 2당으로 구성
11. 만보당(萬步幢) : 9주에 각 2당씩 도합 18당 배치
12. 대장척당(大匠尺幢) : 법흥왕대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
지방의 축성 전문 기술자로 구성된 부대로 6정과 구서당에 각각 1당씩 배속된 것으로 추정
13. 군사당(軍師幢) : 진평왕 26년에 설치. 각 주의 직할 성과 촌에서 징발된 농민으로 구성. 금색은 백색임. 도수, 육정, 구서당, 삼무당에 각각 1당씩 배속된 것으로 추정
14. 중당(仲幢) : 신문왕 11년에 설치. 금색은 백색임.
15. 백관당(百官幢)
16. 사설당(四設幢) : 경여갑당은 다른 부대에 배속되어 전투를 지원하는 특수부대로 추정됨.
-노당(弩幢) : 궁수전문부대로 추정. 총수는 15당으로 추정
-운제당(雲梯幢) : 공성무기인 운제 전문부대로 추정. 6당으로 추정
-충당(衝幢) : 공성무기인 충차 전문 부대로 추정. 12당으로 추정
-투석당(投石幢) : 투석 무기 전문부대로 추정. 12당으로 추정
17. 개지극당(皆知戟幢) : 신문왕 10년에 설치. 금색은 흑적백. 기병에 대항하기 위해 갈구리를 주무기로 무장한 부대로 추정됨
18. 삼십구여갑당(三十九餘甲幢) : 경여갑당(京餘甲幢) ·소경여갑당(小京餘甲幢) ·외여갑당(外餘甲幢) 등을 뜻함.
경여갑당은 15당, 소경여갑당은 16당, 외여갑당은 52갑당으로 각각 편성. 경여갑당은 수도에 소경여갑당은 오소경에, 외여갑당은 수도와 오소경 이외의 곳에 각각 배치됨
19. 구칠당(仇七幢) : 신문왕17년에 설치. 금색은 백색.
20. 이계당(二罽幢) : 지방부대로 한산주계당과 우수주계당으로 구성. 기병부대로 추정.
21. 이궁(외궁) : 지방 군단으로 진평왕 26년에 설치된 하서주궁척(河西州弓尺)과 진덕여왕 6년에 설치된 한산주궁척(漢山州弓尺)을 합쳐서 부르는 이름. 궁수부대로 추정됨.
22. 삼변수당(三邊守幢 : 변수(邊守)라고도 함. 신문왕 10년에 설치. 국경수비를 위해 한산변(漢山邊), 우수변, 하서변의 3변에 배치된 보병부대
23. 신삼천당(외삼천) : 외삼천당(外三千幢)이라고도 함. 우수주삼천당(牛首州三千幢 : 강원도 춘천)과 나토군삼천당(奈吐軍三千幢 : 충북 제천), 나생군삼천당(奈生軍三千幢 : 강원도 영월)의 3개 지방군대.
그 외 신라 군사 조직으로 보이는 것들은...
- 시위군(侍衛軍) : 왕궁의 시위군으로는 시위부의 3도(徒)가 있었다. 시위부는 삼국사기 직관지 무관조에 맨 처음에 여러 군관이나 군호와는 별도로 특별히 기록됨
시위부가 처음 조직된 것은 진평왕 6년. 이 후 시위부는 진덕여왕 5년에 3도로 나뉘어 편성됨.
-낭당(郎幢) : 진평왕 47년에 설치됨. 자세한 내용 모름.
-보기당(步騎幢) : 6정의 기동력을 지원하여 보완하는 부대
-흑의장창말보당(黑衣長愴末步幢) : 장창으로 무장한 승려로 구성된 부대
-장창당(長槍幢) : 문무왕 12년 설치. 장창부대
-사자금당주(師子衿幢) : 각 주의 치소에 배치된 지방군. 10개 부대를 편성하여 9주의 치소와 왕경에 각각 편성 배치.
참고자료
-한국의 군제사(김 홍)
-신라의 정치제도 연구(김수인)
-신라 통일기의 군사조직(이명식)
-나당전쟁사(국방군사연구소)
-네이버 백과사전 외 기타...
첫댓글 잘배우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