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6장 민속언어
○ 제1절 방언(DIALECT)
○ 제2절 속담(PROVERBS)
○ 제3절 길조어와 금기어
○ 제4절 수수께끼
▣ 1. 개요
1) 방언권-등어선(等語線)문제
과천말(果川地域語)은 방언권(方言圈) 가름에서는 경기도방언에 속한다. 경기도 방언은 다시 북부지역 황해도에 인접한 연천·강화·개성·장단 말들이 있고, 남부지역 충청도에 인접한 평택·안성·이천·여주 등의 말이 있다. 그러나 과천말은 이른바 표준말인 서울말의 영향권 안에도 있으므로 이 3가지의 영향 아래 있다고 봄이 옳을 것이다. 그러나 방언권이 설정되는 주요한 원인인 지리적 조건(山·河川·道路) 등으로 볼 때 서울과 경기도·충청도 말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래서 여기서 지은 경계는 서울·시흥·화성·용인·수원·광주 지역까지를 한정하여 과천방언(果川方言)으로 설정하였다.
2) 방언의 취사선택 문제
과천방언으로 선정된 것 가운데, 현재 표준어인 것은 제외하고 고사성어(故事成語)와 한문투의 말과 특수어, 곧 전문용어·학술어·비어 등은 넣지 않았다.
3) 어휘 배열 문제
어휘는 몇가지 범주(신체·계절·의식주·동식물·생활 도구·농사 등)로 나누어서 다시 그것들을 가나다 순으로 배열하였다.
4) 표기법 문제
현재 교육부가 제정공포한 정서법에 따랐으며, 발음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각 낱말마다 국제음성기호(I. P. A)를 적었다.
5) 인용(引用)과 출전(出典) 문제
지나친 전문성을 덜기 위하여 방언의 채집자와 시기 등을 줄이고 다만 인용서와 참고자료를 옆에 간략하게 적어 두었다.
▣ 2. 분류별 방언【주】1)
○ 분류별 방언 [1]
○ 분류별 방언 [2]
○ 분류별 방언 [3]
▣ 분류별 방언 [1]
1) 가구와 건축물(家具·建築物)
개와[瓦] 명사 : gaewa
게와 : gewa
끄림[煤煙] 명사 : ggeulim
내[煙氣] 명사 : nae
돌쪼기[홃] 명사 : doljjogi
뒷간[便所] 명사 : dwisgan
바람빡[壁] 명사 : balambbak
배람빡 : baelambbak
벽 :byeok
싸리문[柴扉] 명사 : ssalimun
살강[食器棚] 명사 : salgang
실겅[棚] 명사 : silgeong
아궁지[溫突吹口] 명사 : agungji
용새마루테기[棟] 명사 : yongsaemalutegi
집마루 : jibmalu
초마[쿊] 명사 : choma
2) 곡물(穀物)
검부락[?屑] 명사 : geombulak
계[糠] 명사 : gye
왕계[糟糠] 명사 : wanggye
까락[芒子] 명사 : ggalak
까끄라기 : ggaggeulagi
까스락 : ggaslak
깜배기[黑穗] 명사 : ggambaegi
뫼쌀[粳米] 명사 : moessal
베[稻] 명사 : be
나락 : nalak
섹경[鏡] 명사 : sekgyeong
씨앗[種子] 명사 : ssias
3) 그릇과 생활도구(器物·生活道具)
가새[鋏] 명사 : gasae
고물개[取仄豚器] 명사 : gomulgae
고무래 : gomulae
귀이개(耳掃器) 명사 : gwiigae
귀후비개 : gwihubigae
널판대기[板] 명사 : neolpandaegi
다레미[츀斗] 명사 : dalemi
똬리[퉹첷] 명사 : ddwali
두지[米櫃] 명사 : duji
베게[枕] 명사 : bege
베룻돌[硯] 명사 : belusdol
보구니[簞] 명사 : boguni
보군지 : bogunji
불저깔[火箸] 명사 : buljeoggal
덥채기(덫) 명사 : deobchaegi
빗자루 : bisjalu
삼태기[튢] 명사 : samtaegi
오지그릇[甕器] 명사 : ojigeuleus
자막대기[尺] 명사 : jamakdaegi
쪽박[瓠] 명사 : jjokbak
쪽찝개[?] 명사 : jjokjjibgae
빗자락[퀃] 명사 : bisjalak
추걱[飯杓子] 명사 : chugeok
화루[火爐] 명사 : hwalu
화리 : hwali
4) 길짐승[走獸]
갈기머리[쫖] 명사 : galgimeoli
갈개머리 : galgaemeoli
괭이[猫] 명사 : gwaengi
겡이 : gengi
고랭이[尾] 명사 : golaengi
산돼지[山猪] 명사 : sandwaeji
살쾡이[野猫] 명사 : salkwaengi
지[鼠] 명사 : ji
토깡이[兎] 명사 : toggangi
호렝이[虎] 명사 : holengi
5) 나무와 풀[木草]
까시나무[荊木] 명사 : ggasinamu
껍떼기[皮穀] 명사 : ggeobddegi
껍띠기 : ggeobddigi
낭구[木] 명사 : nanggu
뿌레기[根] 명사 : bbulegi
이파리[葉] 명사 : ipali
줄거리[莖] 명사 : julgeoli
폭[叢] 명사 : pok
6) 날짐승[飛禽]
꺼위[鵝鳥] 명사 : ggeowi
게우 : geu
기레기[雁] 명사 : gilegi
뚬베기[鷄] 명사 : ddumbegi
베슬[鷄冠] 명사 : beseul
베실 : besil
솔개미[鳶] 명사 : solgaemi
소리개 : soligae
쨍끼[雄雉] 명사 : jjaengggi
주둥이[嘴] 명사 : judungi
주뎅이 : judengi
7) 농기구(農器具)
갈구리(갈고리) 명사 : galguli
깔꾸리 : ggalgguli
꾕이[쿚] 명사 : ggoengi
꾀꽝이[曲쿚] 명사 : ggoeggwangi
보십[犁] 명사 : bosib
얼게미[篩] 명사 : eolgemi
절구꽹이[췍杵] 명사 : jeolguggwaengi
8) 먹거리[飮食]
겨란[鷄卵] 명사 : gyeolan
괴기[肉類] 명사 : goegi
달결 : dalgyeol
끄니때[食時間] 명사 : ggeuniddae
노란자[卵者] 명사 : nolanja
노랑자우 : nolangjau
노랑자위 : nolangjawi
누렁지[燒飯] 명사 : nuleongji
달개알 : dalgaeal
누룽갱이 : nulunggaengi
누룽쟁이 : nulungjaengi
소굼[鹽] 명사 : sogum
쏘주[燒酒] 명사 : ssoju
지렁[醬] 명사 : jileong
찌께기[渣滓] 명사 : jjiggegi
9) 목축(牧畜)
괴삐[찕] 명사 : goebbi
둥어리[?] 명사 : dungeoli
10) 몸[身體]
가랭이[肢] 명사 : galaengi
가심[胸] 명사 : gasim
겨드랭이[腋] 명사 : gyeodeulaengi
겨드랑 :gyeodeulang
눈뚜덩[瞼] 명사 : nunddudeong
눈꺼풀 : nunggeopul
대가리[頭] 명사 : daegali
뒤통시[後頭] 명사 : dwitongsi
등어리[背] 명사 : deungeoli
몸뎅이[身體] 명사 : momdengi
무릅팍[膝] 명사 : muleubpak
발뒷구머리[踵] 명사 : baldwisgumeoli
배꿉[臍] 명사 : baeggub
뺌[햀] 명사 : bbem
복싸뻬[쥝骨] 명사 : bokssabbe
볼탱이[頰] 명사 : boltaengi
사타구니[股間] 명사 : sataguni
새끼손가락[小脂] 명사 : saeggisongalak
세[舌] 명사 : se
쇠 : soe
손툽[爪] 명사 : sontub
쉬염[鬚髥] 명사 : swiyeom
심[力] 명사 : sim
씰개[膽] 명사 : ssilgae
오곰[曲?] 명사 : ogom
창자귀[腸] 명사 : changjagwi
【사진】분류별 방언-1
【사진】분류별 방언-2
【사진】분류별 방언-3
▣ 분류별 방언 [2]
11) 물고기[水魚族]
거이[蟹] 명사 : geoi
궤 : gwe
그이 : geui
고등아[鯖] 명사 : godeunga
되미[켎] 명사 : doemi
메루치[촼] 명사 : meluchi
뱀장아[長魚] 명사 : baemjanga
숭아[魚+秀魚] 명사 : sunga
오징아[烏賊魚] 명사 : ojinga
12) 방위(方位)
복판[中] 명사 : bokpan
우[上] 명사 : u
13) 벌레[昆蟲·爬蟲]
깨구리[蛙] 명사 : ggaeguli
거시[蛔蟲] 명사 : geosi
꼬치[繭] 명사 : ggochi
꼬추 : ggochu
구데기[?] 명사 : gudegi
귀뚜래미[쳸첛] 명사 : gwiddulaemi
동아뱀[??] 명사 : dongabaem
두께비[蟾픓] 명사 : duggebi
등애[?蟲] 명사 : deungae
바그미[强?] 명사 : bageumi
방아깨미[螳螂] 명사 : bangaggaemi
버러지[蟲] 명사 : beoleoji
뻔데기[췎] 명사 : bbeondegi
베룩[蜜] 명사 : beluk
베창이[紅娘子·켡斯] 명사 : bechangi
우렝이[田螺] 명사 : ulengi
14) 부사(副詞)
거진(거의) 부사 : geojin
되게(몹씨, 심히) 부사 : doege
외레·외려(도리어, 오히려) 부사 : oele, oelyeo
15) 수·셈(數·算數)
신다[算數] 동사 : sinda
여덜[八] 수사 : yeodeol
이른[七十] 수사 : ileun
16) 쇠와 돌[金石]
구슬[珠] 명사 : guseul
구실 : gusil
바우[岩] 명사 : bau
17) 시절(철 : 節候)
갈(秋) 명사 : gal
가을게 : gaeulge
요새(近日) 명사 : yosae
으스름(昏) 명사 : euseuleum
18) 옷가지(服飾)
겨입다(重被) 동사 : gyeoibda
끈나풀(紐) 명사 : ggeunnapul
끈나팔 : ggeunnapal
댄추(단추) 명사 : daenchu
두루메기(周衣) 명사 : dulumegi
마르다(裁) 동사 : maleuda
명지(明紬) 명사 : myengji
미영(木綿) 명사 : miyeong
베선(襪) 명사 : beseon
보재기(褓子) 명사 : bojaegi
비나(簪) 명사 : bina
잠뱅이(?) 명사 : jambaengi
잰님(足紐) 명사 : jaennim
조고리(횼) 명사 : jogoli
줌냥(囊) 명사 : jumnyang
기저귀 명사 : gijeogwi
흥겁(布) 명사 : heunggeob
19) 인사·가족(人事·家族)
기지배(女兒) 명사 : gijibae
지지배 : jijibae
게지배 : gejibae
게집아이 : gejibai
기집(女) 명사 : gijib
여편내 : yeopyeonnae
대장쟁이(冶匠) 명사 : daejangjaengi
머심(雇人) 명사 : meosim
모슴 : moseum
메누리(子婦) 명사 : menuli
벼실(官職) 명사 : byeosil
베실 : besil
사내(男兒) 명사 : sanae
사내애 : sanaeae
새댁(新婦) 명사 : saedaek
새색시 : saesaeksi
새사람 : saesalam
싱(女僧) 명사 : sing
20) 지형 지물(地形地物)
개천(小川) 명사 : gaecheon
내깔 : naeggal
시내 : sinae
거품(泡) 명사 : geopum
골짜구니(谷) 명사 : goljjaguni
구녁(穴) 명사 : gunyeok
구녕 : gunyeong
구먹 : gumeok
구뎅이(坑) 명사 : gudengi
도랑(溝) 명사 : dolang
마실(村落) 명사 : masil
모이(墓) 명사 : moi
밭두렁(畔) 명사 : batduleong
봉오라지(山峰) 명사 : bongolaji
【사진】분류별 방언-4
【사진】분류별 방언-5
▣ 분류별 방언 [3]
21) 질병·배설물(疾病·排泄物)
꼽싸(??) 명사 : ggobssa
꼽새 : ggobsae
눈꼽(?) 명사 : nunggob
눈다락치(偸鍼) 명사 : nundalakchi
다래끼 : dalaeggi
땀때(汗疹) 명사 : ddamddae
물사마귀(콙) 명사 : mulsamagwi
벵(病) 명사 : beng
부시럼(腫氣) 명사 : busileom
부스래미 : buseulaemi
부스레미 : buseulemi
헌디 : hundi
손님(天然痘) 명사 : sonnim
여드레미(面?) 명사 : yeodeulemi
원챙이(兎脣) 명사 : wonchaengi
언챙이 : eonchaengi
장님(盲人) 명사 : jangnim
펀수 : peonsu
춤(唾液) 명사 : chum
22) 채소(菜蔬)
고추(苦草) 명사 : gochu
말(夢實) 명사 : mal
배차(白菜) 명사 : baecha
비듬(?·비름) 명사 : bideum
씨래귀(靑莖) 명사 : ssilaegwi
씨라구 : ssilagu
쓰래기 : sseulaegi
차미(眞瓜) 명사 : chami
상추(춻죣) 명사 : sangchu
수세미(長胡蘆) 명사 : ssusemi
채미 : chaemi
23) 천문·자연사상(天文·自然事象)
고도롬(垂氷) 명사 : godolom
벨(星) 명사 : bel
회이리바람(族風) 명사 : hoeilibalam
24) 행위(行爲)
고치다(改) 동사 : gochida
꾀이다(貫) 동사 : ggoeida
꿰다 : ggweda
끄치다(終止) 동사 : ggeuchida
긴다(補綴) 동사 : ginda
깁다 : gibda
미우다(塡) 동사 : miuda
바르다(塗) 동사 : baleuda
버르쟁이(習慣) 명사 : beoleujaengi
샘(猜忌) 명사 : saem
싱그다(植) 동사 : singgeuda
심그다 : simgeuda
야단(치)하다(叱) 동사 : yadan(chi)hada
짜르다(切斷) 동사 : jjaleuda
죄름(睡氣) 명사 : joeleum
줏다(拾) 동사 : jusda
켜다(누에고추에서 실을 내다 : 點火) 동사 : kyeoda
케다 : keda
키다 : kida
페다(伸) 동사 : peda
효염(水泳) 명사 : hyoyeom
25) 형용사(形容詞)
가찹다(近) 형용사 : gachabda
개볍다(輕) 형용사 : gaebyeobda
널다(廣) 형용사 : neolda
노푸다(高) 형용사 : nopuda
뜰다(澁) 형용사 : ddeulda
뜨럽다 : ddeuleobda
마르다(瘦) 형용사 : maleuda
축가다 : chukgada
매웁다(辛) 형용사 : maeubda
맵다(煙) 형용사 : maebda
우섭다(可笑) 형용사 : useobda
26) 꽃과 열매(花果)
가얌(榛子) 명사 : gayam
교얌(?棗) 명사 : gyoyam
뻣(櫻實) 명사 : bbeos
오지(桑實) 명사 : oji
27) 마침말(終結語尾)
물음법(疑問形語尾) :
존대말 : -세요? [-seyo?]
예사말 : -(으)오? [-(eu)o?]
낮춤말 : -냐? [-nya?]
-느냐? [-neunya?]
-니? [-ni?]
-는가? [-neunga?]
【사진】분류별 방언-6
【사진】분류별 방언-7
【참고문헌】
小倉進平, 『南部朝鮮의 方言』, 1924, 서울
河野六郞, 『朝鮮方言學試攷』, 1945, 일본, 東都書籍
金亨奎, 『韓國方言硏究』, 1974, 서울大出版部
崔鶴根, 『韓國方言辭典』, 1978, 文化社
▣ 제2절 속담(俗談)(PROVERBS)
속담은 민중 속에 자리잡고 있는 그들의 역사의 유산이요, 삶의 슬기이며, 시간을 초월하여 필요할 때마다 지혜를 일러주는 스승이다. 또한 시대와 지역을 초월한 전 민족의 언어문화이다. 그리고 시대와 지역에 따라 그 사용의 빈도는 다를 수도 있다. 따라서 일정한 지역에 국한된 속담이란 있을 수 없는 것이다. 여기 실은 속담은 경기도 과천 지역을 포함하는 대표적인 것들이다. 다만, 그 발생지역이 분명하게 과천 지역이 아닌 것과 한자어 고사성어 따위나 제한된 특수 표현은 다루지 않았다. 또 너무 보편화된 격언적(格言的) 성격을 떠난 말도 뺐다.(개밥에 도토리 따위들).
○ 1) ㄱ 으로 시작되는 속담
○ 2) ㄴ 으로 시작되는 속담
○ 3) ㄷ 으로 시작되는 속담
○ 4) ㅁ 으로 시작되는 속담
○ 5) ㅂ 으로 시작되는 속담
○ 6) ㅅ 으로 시작되는 속담
○ 7) ㅇ 으로 시작되는 속담
○ 8) ㅈ 으로 시작되는 속담
○ 9) ㅊ 으로 시작되는 속담
○ 10) ㅋ 으로 시작되는 속담
○ 11) ㅌ 으로 시작되는 속담
○ 12) ㅍ 으로 시작되는 속담
○ 13) ㅎ 으로 시작되는 속담
▣ 제4절 수수께끼
우리 겨레의 생활은 일찍이 농경생활로 사회경제의 생산수단을 삼아왔다. 한편으로 자연질서의 변화와 조화에 순응하고 배우면서 살아왔다. 그런가 하면 정신문화는 수 많은 양식(樣式)의 언어문화를 창출하여 신화·전설·민담·민요·속담 등 민속언어들이 생성되었다.
그 중에서도 ‘수수께끼’는 하나의 삶의 지혜를 가르치고 익히고 느끼는 생활의 철학적 잠언(讖言)이다. 단적으로 말해서 수수께끼는 해학(諧謔)과 슬기와 상상력을 가진 무궁무진한 문답식(問答式) 경전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 속에는 시적 표현(詩的表現), 은유적 묘사(隱喩的描寫), 지적 상상력(知的想像力)을 계발하는 요소가 잠재하고 있다.
여기 실은 것들은 전국적으로 산재한 것 중에서 고전적이고도 그 내용이 현실적이며 논리적인 것들만을 골라서 적었다. 수수께끼는 그 성격상 일정한 지역성을 떠나서 전국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그 배열은 가나다 순으로 하였다.
이 ‘수수께끼’ 수집은 고 김성배(故金聖培) 박사와 그 제자들이 수 년간에 걸쳐 전국적으로 수집 정리한 것들이다. 아래 사항은 참고문헌 속에서 골라 뽑은 것들이다.
○ ㄱ으로 시작하는 수수께끼
○ ㄴ으로 시작하는 수수께끼
○ ㄷ으로 시작하는 수수께끼
○ ㅁ으로 시작하는 수수께끼
○ ㅂ으로 시작하는 수수께끼
○ ㅅ으로 시작하는 수수께끼
○ ㅇ으로 시작하는 수수께끼
○ ㅈ으로 시작하는 수수께끼
○ ㅎ으로 시작하는 수수께끼
▣ 제3절 길조어(吉兆語)와 금기어(禁忌語)
우리 겨레의 생활철학은 수 많은 생활윤리의 교훈인 행복의 조짐의 말과, 그 반대인 금기(Taboo)의 말을 낳게 하였다. 그 길조어와 금기어는 전국적으로 퍼져 있다. 오랜 옛날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남녀노소를 가릴 것 없이 이 말의 영향은 뿌리깊게 자리잡고 있다.
여기서는 전국적으로 퍼져있는 말은 생략하고 주로 경기·서울 지역에서 쓰이고 있는 말만을 싣기로 하였다.
○ 1. 길조어(SAYING IN SLGN OF LUCKY)
○ 2. 금기어(SAYING IN SIGN OF TABOO)
▣ 1. 길조어(吉兆語)(SAYING IN SLGN OF LUCKY)
○ 1) 가공품·생산품·일반물건에 관한것
○ 2) 꿈에 관한 것
○ 3) 동·식물에 관한 것
○ 4) 사람과 일상생활에 관한 것
○ 5) 자연·사물에 관한 것
○ 6) 제사에 관한 것
▣ 2. 금기어(禁忌語)(SAYING IN SIGN OF TABOO)
○ 1) 가공·생산·일반물품에 관한 것
○ 2) 꿈에 관한 것
○ 3) 동식물에 관한 것
○ 4) 사람의 행태와 삶에 관한 것
○ 5) 자연 및 땅과 사물에 관한 것
○ 6) 제사와 귀신에 관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