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위키피디아 한국어판
짜오프라야 강
차오프라야 강
แม่น้ำเจ้าพระยา
 |
길이 |
372 km |
수원 높이 |
25 m |
평균 수량 |
718 m³/s |
유역 면적 |
160,400 km² |
수원지 |
핑 강과 난 강 |
하구 |
타이 만 |
유역 |
나콘사완 도 |
| |
짜오프라야 강(타이어: แม่น้ำเจ้าพระยา)은 타이 방콕을 가로 질러 흐르는 에서 가장 큰 강이다. 북부 산지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365km 이상을 흘러 방콕을 통과하여 타이 만으로 흘러들어 간다. 용수량은 전체 길이는 1,200km이며, 160,000km²의 용수량을 가지고 있다. 매남(แม่น้ำ) 강으로도 불린다.
1. 어 원
유럽에서 제작된 오래된 지도에서는 메남(매남, Menam 또는 Mae Nam)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것은 태국어로 '강'을 가리키는 말이다. (태국어로 '메' 또는 '매'는 '어머니'를 뜻하며, '남'은 '물'을 뜻한다.) 《차오프라야》라는 이름은 봉건계급이며, '장군' 또는 '전하(Lord)'로 번역될 수 있다. 태국에 있는 영어 미디어에서 그 이름은 종종 "왕의 강"으로도 번역된다.
오늘 날의 연구에서 "차오프라야"라는 말은 라따나꼬신 시대에 이르러서야 사료에서 나타난다. 그 당시에 현지에 살던 사람들이 "매남"이라는 말이 이미 사용되었음을 유럽의 사료들에게서 알 수 있다. |

|
(지도) 짜오프라야 강과 타찐 강(Tha Chin River), 그리고 상류의 지류들을 보여주는 지도. |
2. 지 리
차오프라야 강은 나콘싸완 주의 난 강과 핑 강이 교차하는 지점의 나콘 사원(나콘 사완)(박남 포로 불리기도 함)에서 시작된다. 차오프라야 강의 수량을 조절하는 지류는 핑 강이다. 차오프라야 강은 160,000km²의 용수량을 가지는 큰 강이다.
3. 유명한 다리
방콕의 차오 프라야 강을 지나가는 주요 다리는 다음과 같다.
4. 차오프라야 분지
차오프라야 분지는 지류에 의한 것이 아니라 차오프라야 강 자체에 의한 차오프라야 수로의 일부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차오프라야 분지는 20,126㎢의 토지에 배수를 한다.
5. 차오프라야 삼각주
타친 강은 차오프라야 강의 주요 지류이다. 넓게 펼쳐진 차오프라야와 타친 강 그리고 그 지류는 지류가 분기되는 곳에서 시작하여 중앙부와 바깥에서 형성된 지류에 의해서 삼각주 중간에서 합류하여, 차오프라야 삼각주를 형성한다. 차오프라야 삼각주의 많은 지류는 수로로 연결되어 관계와 교통로의 역할을 한다.
(출처) 브리태니커 한국어판
차오프라야 강
(타이 강) [매남]
(영)Chao Phraya River. 타이의 주요강. |
비옥한 중앙평원을 통해 남쪽으로 365㎞ 이상을 흘러 타이 만으로 들어간다. 역사적으로 타이의 수도들이 모두 이 강변에 위치했듯이 지금의 수도 방콕 역시 다른 많은 도시들과 함께 이 수로변에 자리잡고 있다. 이 물줄기를 통해 타이의 주요수출품인 티크와 쌀이 운송된다. 타이인들은 여러 세기 동안 이 강과 여기에 딸린 운하시설을 배수·오락·어업·수원 등으로 이용해왔다. 차오프라야 강의 원류인 핑·왕·욤·난 강이 타이 북부의 산맥에서 발원하며, 방콕에서 북쪽으로 227㎞ 떨어진 나콘사완에서 핑 강과 난 강이 합류하여 차오프라야 강의 본류가 시작된다. 본류는 정부가 건설한 댐 및 관개망이 있는 차이나트와, 싱부리·앙통·논부리·방콕을 구불구불 흘러 사무트프라칸에서 바다로 흘러든다. 나콘사완에서 본류가 형성되어 바다로 유입될 때까지 낙차는 24m가 채 안 된다.
차오프라야 하계(河系)는 16만 79㎢에 이르는 지역을 배수하며 여러 주요관개사업의 기반을 이룬다. 이 강의 유역은 타이 만의 수심이 얕은 일부분이 퇴적물로 메워져 이루어진 반도지대에 자리잡고 있으며, 많은 지류들이 교차하며 흐른다. 차이나트 근처에서는 한 지류인 나콘차이시 강이 서쪽으로 갈라져나가 본류와 평행하게 흐르다가 차오프라야 강 어귀에서 서쪽으로 41㎞ 떨어진 사무트 사콘에서 바다로 흘러든다. 본류는 여러 차례 갈라졌다가 다시 합치기를 반복한다. 차이나트 아래에서 노이 강('보다 작은 강'이라는 뜻)이 서쪽으로 갈라졌다가 삼코크에서 본류와 합류하며, 로프부리 강은 동쪽으로 갈라졌다가 로프부리 시와 프라나콘시아유타야 시를 거쳐 본류로 다시 흘러든다. 프라나콘시아유타야 시에서는 북동쪽의 펫차분 산맥에서 발원하는 큰 파사크 강을 동편으로부터 받아들인다. 구불구불한 차오프라야 강을 따라 파라나콘시아유타야 시까지 조수의 영향을 받는다. 방콕 주위에 있는 해발 2m의 삼각주에는 해마다 일어나는 홍수로 비옥한 충적토지대가 형성되어 벼농사가 발달했다. 이곳에서 차오프라야 강과 서쪽의 매클롱 강, 동쪽의 방파콩 강이 운하망을 통해 연결된다. 방콕 아래쪽 41㎞ 구간에는 부두와 다른 항만시설들이 줄지어 들어서 있다. 심해 운하 어귀는 종종 준설작업이 필요하며 1만t 이상의 배는 정박시킬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