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30세대의 골프에 대한열기가 큰가봅니다.
그들의 골프사랑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
[Weekender] Young players breathe new life into golf
(주말판) 젊은이들이 골프로 새로운 삶을 산다
Made accessible by virtual courses, once-stodgy sport becomes a booming pastime for young generation amid pandemic
한 때 진부했던 스포츠가 팬데믹 속에 가상코스로 접근할 수 있어서 젊은 세대에게 인기있는 놀이가 되고 있다.
By Kang Jae-eun 강재은 기자
Published : Aug 28, 2021 - 16:01 Updated : Aug 28, 2021 - 16:45
Korea Herald
Five months after taking up the sport, Kim Arum finds herself more frequently at golf ranges -- real or virtual -- than at restaurants or cafes.
김아름씨는 시작 한지 5개월이 되었는데 식당이나 카페보다는 골프레인지에 -실제 또는 가상- 가고 있는 자신을 발견했다.
She often hangs out with friends on the green, practices almost every other day at an indoor golf studio after work and splurges on golf hats, golf shirts and pants. It has become her favorite pastime these days, said Kim, who works at a TV station in Seoul.
그녀는 퇴근후 인도어 골프연습장에서 거의 이틀에 한번 친구들과 함께 골프 셔츠와 바지, 모자를 뽐내면서 연습을 하면서 즐긴다.
While many indoor sports suffered a blow from the virus crisis, this particular one has found a new life, particularly among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많은 실내 스포츠가 바이러스 때문에 어려운 가운데 이 스포츠는 특히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사이에서 새로운 생활을 발견했다.
According to the Korea Leisure Industry Institute, the number of people in their 20s who visited a golf course at least once last year is estimated to have jumped by 92 percent from a year earlier. Among the 30s, the number rose by 31 percent. 한국레저연구소에 의하면 20대중에 작년에 한 번이상 골프장에 간 사람은 그 전해보다 92%가 상승했다. 30대는 31% 상승했다.
The institute estimates up to 1.2 million people in this age demographic will play golf at least once next year. 연구소는 이 연령대중 백이십만명이 내년에 한번은 골프를 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Screen golf 스크린 골프
The biggest reason for the rising popularity of golf among the youth: Simulated golf games offered at “screen golf” studios that can be found in any neighborhood in Seoul and other major cities.
젊은 층 사이에서 골프의 인기가 상승하는 가장 큰 이유는: 서울이나 다른 주요도시에서 볼 수 있는 모의골프게임을 할 수 있는 “스크린 골프”때문이다.
An hour of screen golf costs 13,000 won to 30,000 won ($11-$26) per person, which is a fraction of the cost of playing it on an actual course.
스크린골프는 한사람이 시간당 13,000원에서 30,000원 정도가 드는데 실제 코스에서 지불하는 비용에 비해 훨씬 적다.
The contactless trend sparked by the pandemic also had an effect.
팬데믹에 따른 비접촉추세도 영향을 미쳤다.
“Screen golf fits perfectly well with the ‘untact’ era,” says professor Shin Jin-ho of Seowon University, using a Korean term for minimizing physical contact.
“스크린 골프는’언택트’ 시대에 완벽하게 들어맞는다.”고 서원대학교 신지호교수는 신체적 접촉을 최소화하는 우리나라용어를 사용해서 말했다.
“You don’t need friends to play screen golf and young people are used to gaming culture, which is pretty much the idea of screen golf.”
“스크린 골프를 위해서는 친구가 필요 없고 젊은이들은 이러한 스크린 골프의 게임문화에 익숙하다.
The widely-accessible screen golf is what led Kim So-hyeon to fall in love with the sport itself.
김소현씨는 쉽게 접근할 수 있어서 스크린 골프와 사랑에 빠졌다.
The 26-year-old got into golf after hanging out with her friends at a screen golf room early this year. Now she’s hitting balls at outdoor fields two to three times every week.
26세의 김씨는 올해초 친구들과 어울려서 스크린골프를 시작했다. 지금은 매주 2~3회 야외 골프장에서 골프를 친다.
For Park Hyo-seong, who manages two screen golf outlets, the golf boom is real, proved by actual numbers.
두개의 스크린골프장을 운영하고 있는 박효성씨에 의하면 골프 붐은 실제 숫자로 증명되고 있다.
The two facilities he manages -- one in Gyeonggi Province and the other in Yeoksam-dong, southern Seoul, generated 40 million won in sales last month.
그가 운영하는 2개의 매장 – 경기도와 역삼동 – 에서 지난 달 매출이 4천만원 이었다.
Most of it came from customers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newly registered in the past three years. These age groups now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e two shops’ membership base, he said.
대부분의 매출은 지난 3년가안에 등록한 20대와 30대 고객이었다. 그에 의하면 두 매장의 회원의 반이상은 새로운 가입자였다.
“My boss told me this was a historic record in monthly sales since he started this business 10 years ago. Our sales have shattered records every month this year,” said Park.
“사장님은 자신이 10년전에사업을 시작한 이래 가장 큰 매출이라고 말했다. 올해 들어 매달 매출이 기록을 깨고 있다.”고 박씨는 말했다.”
Young golfers have emerged as a key target group for companies in the related business.
젊은 골퍼들은 관련 비즈니스의 핵심 타겟그룹으로 부상했다.
Kakao, the company behind the messenger app of the same name, has entered the field, with Kakao VX. The firm is quickly catching up with the market No.1 Golfzon.
메신저앱으로 유명한 카카오는 카카오 VX로 시장에 진입했다. 회사는 시장 1위인 골프존과 함께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Golfing in style 골프패션
For some young golfers, fashion is also a big part of the golf experience. And fashion brands are adding vibrant colors and unconventional designs to golf wear in an attempt to appeal to younger customers.
일부 젊은 골퍼들에게는 패션이 골프를 즐기는 큰 부분이다. 패션 브랜드들은 생생한 색깔과 관습적이 아닌 디자인을 골프웨어에 적용하여 젊은 소비자들의 마음을 끌고 있다.
In April, Kolon Industries FnC launched Golden Bear, an online shopping mall targeting golfers in their 20s and 30s. Their clothes incorporate street wear designs to reflect the changing view young people have about golf outfits.
코오롱 FnC 는 20대와 30대 골퍼들을 겨냥한 온라인 쇼핑몰 골든베어를 새로 열었다. 의상은 젊은이들이 골프웨어를 보는 시각을 반영했다.
“In the past, golf clothes were considered functional clothing. But nowadays, they are a style of their own. It’s becoming hyper-feminine and experimental, almost to the point where older golfers might consider it ‘too much,’” said a spokesperson from Kolon Industries FnC.
“과거에는 골프웨어를 기능성 의상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지금은 그 자체가 스타일이다. 나이든 골퍼들은 너무하다 싶겠지만 극도로 여성적이고 실험적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코오롱FnC 대변인은 말했다.
Some turn to professional tailors for custom-made golf outfits.
일부는 맞춤 골프복장을 만드는 재단사로 변신했다.
A professional tailor in Seongsu-dong, who requested to be identified only by his surname Oh, said he had a lot of young customers order bespoke golf clothes and was able to pay off the loss generated from his suit business.
자신을 오라는 성으로 불러 달라는 성수동의 직업재단사는 많은 젊은 고객들이 맞춤 골프의상을 주문해서 신사복 비즈니스에서 발생한 손실을 보전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Tailored golf wear has personality but is more versatile than business suits. I think that’s why young people purchase them, even though they are expensive,” he said.
“맞춤 골프복은 개성이 있고 신사복보다 다용도이다. 나는 이런 이유 때문에 젊은이들이 비싸지만 이 것을 사는 이유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According to data from the Korea Leisure Industry Institute, the market for golf attire grew 11 percent from the previous year and reached 5.13 trillion won in 2020. This is a 50 percent increase compared to 2016.
한국레저연구소의 자료에 의하면 골프의상 시장은 전년대비 11%상승했고 2020년에 5조1,300억이었다. 이 숫자는 2016년에 비해 50% 상승한 것이다.
Next year it’s projected to grow over 6 trillion won.
내년에는 6조 이상으로 성장할 것이다.
Still expensive 아직 비쌈
While the prestige associated with golf may have faded away, cost still remains a hurdle for many young golfers like Jeong Deok-young, who studies at Yonsei University.
골프에 대한 특권은 사라졌다고 하지만 비용은 연세대학교학생 정덕영 군 같은 많은 젊은 골퍼들에게는 장벽이다.
He does multiple English teaching gigs, but still has to save up money for a few months to afford a round on an outdoor course. The 24-year-old uses reservation apps like Kakao Golf Reservation to search for discounts.
그는 여러가지 영어교습일을 하고 있지만 야외코스에서 라운딩을 하려면 몇 개월동안 돈을 모아야 한다. 24세의 이 청년은 할인하는 곳을 찾기 위해 카카오 골프예약 앱을 이용한다.
“I think the biggest hurdle is still the cost. It is a lot more expensive then what I was used to in Indonesia. I understand that there’s the difference in labor cost, but it is pretty expensive,” he said.
“내가 생각하기에는 가장 큰 장벽은 비용이다. 내가 이용하던 인도네시아에 비해서 훨씬 비싸다. 나도 인건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은 이해하지만 대단히 비싸다.”고 말했다.
The average weekday green fee, or the fee paid to use a golf course, in South Korea was 2.3 times that of Japan in 2020. The green fees increased even more during the pandemic, leading some to post a public petition urging golf course businesses to stop raising prices.
2020년 한국의 주중평균그린피는 일본보다 2.3배 비싸다. 그린피는 그린피 인상을 중단하라는 청원을 이 끌 정도로 팬데믹 중에도 인상되었다.
Some are concerned of the “Golf Poor” -- people who become poor because they spend too much of their disposable income on the sport -- a byproduct of the “Flex” culture prevalent on social media.
일부 사람들은 “골프푸어”를 염려한다. – 스포츠에 가처분소득을 너무 많이 소비하여 점점 가난해져 가는 사람 – 소셜미디어에서 유행하는 “플랙스” 문화의 부산물.
“There are a lot of young customers who rent their homes but come to play golf during the day in our Yeoksam-dong branch. I think we are seeing more and more ‘Golf Poor’ because of social media and the admiration young people have for golfers,” said Park.
“우리 역삼동지점에는 낮에 세를 살면서 골프를 치러오는 젊은 고객들이 많다. 내 생각으로는 쇼셜미디어와 젊은이들의 골프에 대한 동경 때문에 “골프푸어”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박씨는 말했다.
2021. 8. 29.
김 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