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절된 관계에 대한 누아르 시리즈(2004)
- 장 베르나르 푸이(Jean Bernard Pouy, 1946-), 파트리크 레날(Patrick Raynal, 1946-), 성의 역사와 아이를 가지고 싶은 욕망(Histoire de sexe et désir d'enfant, 2004)(쥬아네(Pierre Jouannet, 1942)와 나움-그라프(Véronique Nahoum-Grappe, 1949-) 외 12명, 김성희 옮김, 알마, 2009, 198쪽.) pp. 120-139
- 쟝 베르나르 푸이(Jean Bernard Pouy, 1946-) 프랑스. 추리 소설가. 시나리오 작가. 『스피노자 헤겔을 차지하다(Spinoza encule Hegel in Very Nice, 1983』
- 파트릭 레날(Patrick Raynal, 1946-) 프랑스 작가 편집자. 시나리오작가 번역가, 기자.
제3장 상상 속의 혈통 107
산업화된 생식의 우울한 전망 109 베로니크 나움-그라프(Véronique Nahoum-Grappe, 1949-)
단절된 관계에 대한 누아르 시리즈 120 - 장 베르나르 푸이(Jean Bernard Pouy, 1946-), 파트리크 레날(Patrick Raynal, 1946-)
의식의 지능 140 - 모리스 블로쉬(Maurice Bloch, 1939-)
느와르 소설이 상층 억압에 대한 저항일까? 아니면 자기 억제를 위한 통로일까? 여기서 문제를 돌려서 보면, 어린 시절의 귀신이야기, 또는 유독히 여고[여중]괴담 등이 기표로서 등장하는 이유와 다른 점일까? 얼핏 그리스 신화에서 정념이 왜 비극으로 다루어지는가?에 연관이 있을까? 벩송이라면 지성의 한계에서 오는 정태적 종교의 성향이 아닐까 한다. 이 논자의 느와르 소설의 문제는 혈통 아버지의 상실과 기표 아버지의 오리무중일 것 같다. 귀신은 인격성의 이중화를 거치는 장면일 것 같고, 정념은 자연의 필연성와 우연을 넘을 수 없다는 숙명에 대한 부인이 아닐까? (49PMC)
느와르 필름이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많아지고, 또한 한 장르로서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것은 가족의 해체 또는 혈통의 약화가 당연시되는 시대로 되어 가는 것 같다. 물론 가족의 해체가 전반적 확장되기보다, 그런 부류의 삶이 예전에는 눈에 잘 안 띄는 사각지대에 있다가 이제는 공공연하게 드러났기 때문에 많이지고 당연시된 것으로 보인다. 한때 우리나라 시트콤 중에서 안녕, 프란체스카 2005(MBC 월 밤 11시 5분: 노도철 PD와 신정구 작가)가 있었는데, 가족과 떨어져 서울 사는 30대에 전후 여성에게 상당히 주목받은 적이 있었다. 시대의 변화는 느리다. 즉 작년 동성애를 반대하는 교회의 저항으로 박원순 서울시장이 동성애의 권리 공식화하지 못했다. 느와르는 계속 관심으로 떠오를 것이다. (49QLF)
***
제3장 상상 속의 혈통 107-151
단절된 관계에 대한 누아르 시리즈 120-139
- 장 베르나르 푸이(Jean Bernard Pouy, 1946-), 파트리크 레날(Patrick Raynal, 1946-)
느와르 소설*은 현 시대가 지닌 상상을 연구하고 그 이상으로 활용하는 장르다. 심포지엄보다는 뒷골목을 더 선호하며 1930년대 이후로 그 뒷골목에서 마음껏 뒹굴고 있다. 추리 문학은 본질적으로 세상의 고통과 역기능에 관한 이야기를 서술하는데 그 점에서 사회 비평에도 참여한다고 할 수 있다. (120) -주*: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 영국에서는 고딕소설, 즉 중세 고딕 양식의 성을 배경으로 보통 유령이나 살인 따위의 기괴한 사건을 다루면서 신비감과 공포감을 나타내는 소설이 유행했는데, 그 소설이 프랑스에 유입되면서 붙여진 이름이 바로 느와르 소설(roman noir)이다. 일반적으로 주로 범죄와 폭력을 다루는 어둡고 침울하고 기괴한 분위기의 소설을 지칭하는 용어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횡적인 방식으로 모든 느와르 소설을 포함하는 장르를 두고 프랑스에서는 폴라르(polar)라는 명칭을 부여하고 있다(신문, 잡지계에서 그렇게 이름 지었다). .. 도스토예프스키(Dostoïevski, 1821-1881)나 까뮈(Camus, 1913-1960), 소포클레스(Σοφοκλῆς, 전495-전406), 발작(Balzac, 1799-1850)의 혈통을 잇고 있다고 여기면서 거의 중상모략에 가까운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지켜왔다. (121) [추리소설을 다루는 잡지 이름도 폴라르(Polar)이다. 프랑스인 영화비평가이며 편집자인 게리프(François Guérif, 1944-)에 의해 1979년에 발간되었다.]
∙관계가 단절된 인물들 122
폴라르는 행동을 바깥에서 보이는 대로 기술하고(‘나’라고 말하면서 외부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는 주인공 화자의 행동까지도!) 내면적인 설명의 전개에 지체할 여유는 거의 없다는 점에서 행동주의와도 약간은 닿아 있다. 그럼에도 본보기나 비유 또는 원형으로 자주 고려되는 상황, 인물, 주제들과 관련해서는 물론 인상주의적인 성격도 띠고 있지만 거의 민족지학적인 목록을 제시한다. 그것은 폴라의 장점가운데 하나이다. (122)
가족이라는 공간으로 그곳은 행복했다고 믿었던 것 이상으로 고통을 겪었을 가능성이 있는 공간으로 비친다. (123) [가족의 환경과 주인공(나)이 살아갈 환경의 대비, 차이 등이 돋보이는 것이 아닐까? 가족은 나와는 별개라는 의식이 잠재하는 입양아 같은 ... ]
최근 폴라르 작품들에는 의학과 생명윤리가 한창 등장하고 있다. 이 주베는 가령 플뢰브 느와르(Fleuve Noir) 출판사의 새로운 시리즈에서 폭넓게 다뤄지는 중이다. (123)
∙성과 욕망 124
미스터리 소설과 추리 소설은 악행과 범죄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 그런데 알려진 대부분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살인 범죄의 대다수가 확장된 의미의 가족 내에서 일어난 일이라고 한다. 느와르 소설이 범죄를 가족 관계의 확실한 구성요소로 설정한 데에는 그럴 만한 근거가 있다는 뜻이다. (124)
한편 범죄 소설은 정신병리학(psychopathologie)에 관심을 기울인다. 타락하기 쉽고 병을 일으키고 따라서 반사회적인 성은 이야기 속 욕망의 동기이자 구성요건으로 자주 등장한다. (125)
매혹적이고 악한 여성 인물(그물 스타킹을 신은 요부로 묘사된다)을 통해 위험한 유혹을 그리는 이야기는 느와르 소설이 시작되었을 때부터 늘 등장하는 내용이다. 프레보(Prévost, 1697-1763)의 어느 귀인의 회상록(Mémoires et aventures d'un homme de qualité) 제7권 마농 레스꼬(Manon Lescaut 1731)가 발표된 1731년을 그 시작으로 봐야 할까? (126)
1934년에 문학 활동을 그만둔 더쉬엘 해밋(Dashiell Hammett, 1894–1961)의 말타의 매(The Maltese Falcon, 1930)에 등장하는 매혹적이고 기만적이고 사악한 여성은 자신을 사랑하게 된 주인공에 의해 응징을 받는다. 이 작품은 영화로 만들어져 유명해진다. 로버트 알드리치(Aldrich, 1918–1983) 감독의 필름 느와르 키스미 데들리(Kiss Me Deadly 1955)에도 같은 부류의 여성이 등장하는데 영화는 길을 잃고 헤매고 있는 한 여성을 만나는 것으로.. 세상의 파멸과 관계가 있다. (126)
수많은 잔혹한 이야기에서 다소 행복한 결말에 이르는 과정의 중심에는 어머니보다는 아버지가 있다. 코엔형제(Joel Coen, 1954-, Ethan Coen 1957-)의 영화 애리조나 유괴사건(Raising Arizona 1986)에서는 아버지가 되고자 하는 욕망이 불행과 폭력적인 죽음을 부른다. (127-128)
따라서 끊임없이 시달리는 아버지라는 인물이 누아르 소설에서 핵심이 되는 까닭은 가족의 공간에 상처를 남기는 범죄가 일어났을 때 바로 해결에 나서는 인물이 아버지이기 때문이다. (128)
추리작가 조르주 심농(Georges Simenon, 1903-1989)이 특히 많이 사용하는 그러한 가족의 모습은 정치와 사회 그리고 범죄를 하나의 관계 안에 묶는다. (128)
핸슨(Joseph Hansen, 1923-2004), (129)
따라서 이야기의 필수적인 골자 안에 놓이는 동성애자는 성적인 인물이라기보다는 사회적인 인물이다. 예를 들어 아기날도 실바(Aguinaldo Silva, 1943-)의 살인자의 공화국(República dos Assassinos, 1979)(fr.La République des assassins, 2003)에 나오는 게이에 대한 해석은 사회학적인 명철함을 드러내고 있다. 핸슨(Joseph Hansen, 1923-2004)의 작품 무덤 도굴꾼(Gravedigger, 1982), 백트랙(Backtrack, 1982)에서도 또 다른 예를 확인할 수 있는데, 그 주인공 브랜드스테터(La saga Dave Brandstetter) 는 늙어가면서 자신의 젊은 흑인 애인을 차차 아들처럼 여기게 된다. (130)
폴라르에는 미래의 아이에 대한 꿈이 등장하지 않는다. 주인공은 아이였을 때 꿈을 잃어버렸고 그래서 언젠가 아이를 가질 거라고 소망할 수도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131)
∙어머니의 지배적인 이미지 131
느와르 소설은 전체가 나 안에서 나의 의식과 의사에 따른 해석 안에서 파악된다. 나는 용감하고 고독하고 남성적이다. 나에게 초자아는 필요 없다. 나의 물리적인 존재 자체에서 뿜어져나오는 일종의 힘이 초자아를 대신한다. 피터 로런(Peter Loughran, 1938-)의 기차여행(The Train Ride, 1966)에서와 같은 몇몇 드문 경우를 제외하면 나에게 그것[Id]조차 필요 없다. (131)
예를 들어 까뮈(Albert Camus, 1913-1960)의 마음을 그토록 흔들어 놓았던 제임스 케인(James Cain, 1892-1977)의 포스트맨은 벨을 두 번 울린다(Le facteur sonne toujours deux fois, 1934)의 결말에는 그러한 가능성이 세 줄로 요약되어 있다. 부모의 모습은 소용돌이 지대처럼 제시되는 경우가 많다. 레이먼드 챈들러(Raymond Chandler, 1888–1959)의 큰 잠(The Big Sleep, 1939)에서 나오는 ‘따돌림 당하는’ 늙은 아버지, 사라진 어머니(제임스 엘로이(James Ellroy)의 작품에서 살해당했지만 사건의 시작이 되는 어머니), 앨프레드 히치콕(Alfred Hitchcock, 1899-1980)의 사이코(Psycho, Psychose, 1960)에서 죽었지만 함께 있는 어머니, 해를 끼치고 거세 콤플렉스가 있거나 근친상간까지 범하는 어머니(짐 톰슨(Jim Thompson, 1906-1977)의 소설 특히 사기꾼들(The Grifters, 1963)에서 자기 아들을 사고로 죽이는 어머니) 등 등 혼란 그 자체다. 폴라르에서 주인공이 어머니에게 품고 있는 사랑이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경우에는 어머니들이 자주 문제를 일으킨다(프레테리크 다르(Frédéric Dard, 1921–2000)의 산 안토니오(San-Antonio, 1949-2001)에 나오는 온화한 엄마마저도 불만에 찬 돈 후안을 만들어 냈다). 라울 월시(Raoul Walsh, 1887-1980)의 영화 화이트 히트(White Heat, L'enfer est à lui, 1949에서 나오는 굉장한 어머니는 폴라를 하나의 신경발작으로 요약하는 일을 혼자서 해냈다. 배우 제임스 캐그니(James Cagney, 1899-1986)가 분한 아들이 교도소 식당에서 어머니의 죽음을 알게 되는 순간 그는 단지 통제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파괴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 세리 느와르(Serie noire)도 소포클레스(Sophocle, Σοφοκλῆς, 전495- 전406)의 외디푸스 왕(Œdipe roi, Οἰδίπoυς τύραννoς/Oidípous túrannos)을 재번역해 다시 펴냈다는 점... (132-133)
깨어진 혈통관계와 거기에서 비롯되어 가족의 범위를 넘어서까지 영향을 끼치는 악몽은 추리 소설이 언제나 즐겨 다루는 소재다. (133)
∙가족이 없는 주인공 133
셜록 홈즈(Sherlock Holmes), 룰타이유(Rouletabille), 아르센 루팡(Arsène Lupin)에게는 가족이 없다. 메그레 경감(Le commissaire Maigret)에게는 아내가 있지만 슬리퍼와 하이힐, 스튜 냄비로 축약된 상상의 존재에 지나지 않으며, 나바로(Navarro) 형사에게는 딸이 하나 있긴 하지만 현실로 돌아왔음을 부여 주는 역할만 할 뿐 가족 문제나 인간관계 문제를 안겨주는 사람들은 오히려 그의 부하들이다. 최근의 예를 보자면, 풀프(Le Poulpe, 낙지)에게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있긴 하지만 오래 전에 자동차 사고로 죽은 것으로 나온다.(134)
따라서 느와르 소설에서는 행복한 가족이 거의 없고, 있다 해도 아주 일찌감치 살해당한다.(136)
[도시] 챈들러(Raymond Chandler, 1888–1959)나 엘로이(James Ellroy, 본명 Lee Earle Ellroy, 1948-)에게는 로스앤젤레스, 제임스 리 버크(James Lee Burke, 1936)에게는 마이애미, 마누엘 바스케스 몬탈반(Manuel Vázquez Montalbán, 1939-2003)에게는 바르셀로나, 레오 말레(Léon Malet, 1909-1996)에게는 파리, 이조(Jean-Claude Izzo, 1945-2000)에게는 마르세유.. (136)
그런데 느와르 소설에서 가족은 마피아를 가리키는 말이다. ... [그 대표 작품으로] 마리오 푸조마리오 푸조(Mario Puzo, 1920–1999)의 [소설] 대부(The Godfather, 1969)에서 시작해 프란시스 코플라(Francis Ford Coppola, 1939-)의 영화 대부(The Godfather, I: 1972)(II, 1974, III 1990), 그리고 닉 토슈(Nick Tosches, 1949-)의 놀라운 소설에 이르기까지 많은 예 ..(137)
소프라노스(Sopranos)같은 텔레비전 드라마를 보면 그러한 가족의 중복이라는 문제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얻을 수 있다. 그 드라마에는 두 가족이 뒤섞여 나오는데 진짜 가족과 온갖 골칫거리의 근원으로 가짜 가족(마피아)은 자성(自省)과 충성의 근원으로 그려진다. 육척 아래, 식스 피트 언더(Six Feet Under)에는 아버지가 죽은 뒤 시체를 중심으로 살아나가기 위해 애쓰는 가족이 나오는데, ... (138)
결국 삼위일체에서 부재중인(또는 해를 끼치는) 성부 때문에 그리고 문제를 지나치게 많이 일으키는 성령(성모) 때문에 홀로 남겨진 성자, 즉 주인공은 광적이고 침울한 이시대에 아무하고도 관계가 없는 그리스도가 되는 수밖에 없다. 자기 자신의 죽음과의 관계는 예외인데, 짐 톰슨(Thompson, 1906-1977)의 소설이나 아벨 페라라(Abel Ferrara, 1951-)의 영화에서 그런 내용을 볼 수 있다. 느와르 소설의 주인공은 사건에서 이겼을 때조차도 뭔가를 이를테면 순수함, 친구, 믿음, 아이에 대한 꿈을 잃는다. (138)
[느와르 소설의 주인공] 자신이 목숨을 걸었던 그 운명, 모두가 떠난 뒤에도 끝까지 그의 곁에 남아있는 그 운명 말이다. (139)
(49PNA)
** ** * -
알드리치(Robert Burgess Aldrich, 1918–1983) 미국 영화감독, 제작자. 베라 크루즈(Vera Cruz, 1954), 키스미 데들리(Kiss Me Deadly 1955) The Big Knife (1955),
발자크(Honoré de Balzac, 1799-1850) Histoire des Treize(1833-1839 사이) 으제니 그랑데(Eugénie Grandet, 1833), 고리오 영감(Le Père Goriot, 1835)
제임스 리 버크(James Lee Burke, 1936) 텍사스주 휴스턴 출생, 미국 추리소설 작가. Série Dave Robicheaux Série Billy Bob Holland Série Hackberry Holland, ,
케인(James Mallahan Cain, 1892-1977) 미국 작가. 포스터맨은 벨을 두 번 울린다(Le facteur sonne toujours deux fois, 1934), Mildred Pierce, 1941)
카뮈(Albert Camus, 1913-1960) 프랑스의 소설가, 극작가. 주요수상 노벨문학상(1957), 이방인(異邦人) L'Étranger, 1942), 시지프스의 신화(Le Mythe de Sisyphe, 1942) 칼리굴라, Caligula 1944) 페스트(La Peste, 1947) 정의로운 자들(Les Justes, 1949) 반항인(L'Homme révolté 1951), 전락 轉落(La Chute 1956)
챈들러(Raymond Chandler, 1888–1959) 미국 작가. 시카고 출신인데, 일차대전 이후 1918년대 이후 로스앤젤레스에 살았다 .이지만 큰 잠(The Big Sleep, 1939), Farewell, My Lovely, 1940), The Lady in the Lake, 1943), The Little Sister, 1949) The Long Goodbye, 1953) Playback, 1958) Poodle Springs, 1959). . ,
코엔 형제(Joel Coen, 1954-, Ethan Coen 1957-) 미국 영화 감독들, 애리조나 유괴사건(Raising Arizona 1986, fr.. Arizona Junior), No Country for Old Men, 2007, fr. Non, ce pays n'est pas pour le vieil homme)
프란시스 코폴라(Francis Ford Coppola, 1939-) 미국 영화 감독, 영화제작자. 대부(The Godfather, 1972), The Conversation (1974), The Great Gatsby (1974), 대부 2(The Godfather Part II, 1974), 대부 3(The Godfather Part III, 1990)
다르(Frédéric Dard, Frédéric Charles Antoine Dard, 1921–2000) 프랑스 소설가. 추리 소설의 시리즈 산 안토니오(San-Antonio, 1949-2001)(l'un des plus gros succès de l'édition française d'après-guerre)가 유명하다. 극작으로 눈은 더럽혀졌다(La neige était sale 1950), 비열한 놈들은 지옥으로 간다(Les salauds vont en enfer, 1954, 악몽(Le Cauchemar de Bella Manningham, 1978), 맨체스터 안개(Les Brumes de Manchester, 1986).
도스토에프스키(Fiodor1 Mikhaïlovitch Dostoïevski : Фёдор Михайлович Достоевский, 1821-1881) 러시아 작가. Le Double. 1846 Crime et Châtiment 1866 Les Démons 1871 Les Frères Karamazov 1880
엘로이(James Ellroy, 본명 Lee Earle Ellroy, 1948-)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출생, 미국 작가 시나리오 작가. 특히 느와르 소설 작가이다. Trilogie Lloyd Hopkins, 1987) Quatuor de Los Angeles(1988-1992) Trilogie Underworld USA(1995-2009)
아벨 페라라(Abel Ferrara, 1951-) 미국 영화시나리오 작가 및 감독. The Driller Killer (1979) Ms. 45 (1981) King of New York (1990) Bad Lieutenant (1992) The Funeral (1996)
그랑블라(Pierre Grimblat, 1922-) 프랑스 시나리오 작가, 영화감독. 텔레비전 시리즈 제작자. 나바로(Navarro)(1989-2007, avec Roger Hanin - Série : 106 épisodes sur 18 saisons). 영화로는 밤의 제국(L'Empire de la nuit 1962), 슬로건(Slogan 1969)
더쉬엘 해밋(Samuel Dashiell Hammett, 1894–1961) 미국 하드보일 탐정 작가, 시나리오 작가, 정치활동가. 샘 스페이드(Sam Spade) 주인공을 창조한 말타의 매(The Maltese Falcon, 1930), 주인공 Nick and Nora Charles을 만든 The Thin Man, 1934), the Continental Op (Red Harvest, 1929) and The Dain Curse, 1929) 등이 있다.
핸슨(Joseph Hansen, 1923-2004), 미국 작가. Lost on Twilight Zone, 1964), Strange Mariage, 1965), Homosexuel notoire, 1968), 무덤 도굴꾼(Gravedigger, 1982), 백트랙(Backtrack, 1982).
히치콕(Alfred Joseph Hitchcock, 1899-1980) 영국 영화감독, 영화제작자. 시나리오작가. Suspicion, Soupçons, 1941, Notorious, Les Enchaînés 1946, Dial M for Murder, Le crime était presque parfait, 1954, Rear Window, Fenêtre sur cour 1954, Vertigo, Sueurs froides 1958, North by Northwest, La Mort aux trousses, 1959, 사이코(Psycho, Psychose, 1960), Birds, Les Oiseaux 1963
이조(Jean-Claude Izzo, 1945-2000) 프랑스 작가. Clovis Hugues, un rouge du Midi, 1978, Total Khéops 1995, Le Soleil des mourants 1999.
르블랑(Marie Émile Maurice Leblanc, 1864-1941) 프랑스 작가. 모험 추리 소설. 알센 루팡, 신사 도둑(Arsène Lupin, gentleman-cambrioleur, 1907) 포탄의 폭발(L'Éclat d'obus (1916) 황금 삼각형(Le Triangle d'or, 1918) 시계 8번 종치기(Les Huit Coups de l'horloge, 1923) - 알센 루팡(Arsène Lupin)은 신사 도둑(le gentleman-cambrioleur)으로 주인공이다.
르루(Gaston Leroux, 1868-1927) 프랑스 소설가. 추리 소설가. 테오프라스 롱게의 이중 삶(La Double Vie de Théophraste Longuet 1903), 노란 방의 불가사의(Le Mystère de la chambre jaune, 1907), 오페라 유령(Le Fantôme de l'Opéra 1910) 밤에서 인간(Un homme dans la nuit, 1910). / 노란 방의 불가사의(Le Mystère de la chambre jaune, 1907)의 주인공은 조세핀(Joseph Joséphin), 별명 룰타비유(Rouletabille)이다.
피터 로런(Peter Loughran, 1938-) 아일랜드 작가. 기차여행(The Train Ride : The Story of a Man with a One-Way Ticket, 1966)(fr. London-Express, 1967), 소중한(Dearest, 1983), 쟈키(Jacqui, 1984), 제삼의 짐승(The Third Beast, 1990).
레오 말레(Léon Malet, 1909-1996) 프랑스 작가, 시인, 추리소설 작가. 연작 네스토르 부르마(Série Nestor Burma)
마누엘 바스케스 몬탈반(Manuel Vázquez Montalbán, 1939-2003) 바르셀로나 출생, 스페인 소설가, 수필가, 시인, 신문기자. 추리소설 작가. Série Pepe Carvalho Galíndez
쟝 베르나르 푸이(Jean Bernard Pouy, 1946-) 프랑스 인성자유주의 작가. 느와르 소설, 문학 총서 편집자. 추리 소설가. 시나리오 작가. (L'Homme à l'oreille croquée, 1987), La Belle de Fontenay, 1992), 에르엔86(RN86, 1992), 꼬마 여시종의 고자질 했다(La petite écuyère a cafté 1995)(풀프가 등장하기 시작하는 소설) / 스피노자 헤겔을 차지하다(Spinoza encule Hegel in Very Nice, 1983) / 풀프(Le Poulpe)는 1995년에 시작된 추리 소설 총서. 푸이(Jean-Bernard Pouy)의 작품의 주인공이 풀프(le Poulpe)이다.
마리오 푸조(Mario Gianluigi Puzo, 1920–1999) 미국작가, 시나리오 작가, 신문기자. 대부(The Godfather, 1969), Fools Die (1978), The Sicilian (1984)
프레보(Antoine-François Prévost, l'abbé Prévost ou d’Exiles, 1697-1763), 프랑스 작가, 종교인, 마농레스꼬(Manon Lescaut 1731), Histoire d'une Grecque moderne(1740) Cleveland(1731)
파트릭 레날(Patrick Raynal, 1946-) 프랑스 작가 편집자. 시나리오작가 번역가, 기자.
심농(Georges Simenon, 1903-1989)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벨기에 작가. 메그레 반장의 캐릭터를 처음으로 구상한 것은 1929년의 일로, 1930년에 메그레(Maigret)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불안의 집(La Maison de l'inquiétude)이라는 단편이 조르주 심이라는 이름으로 발표된다.
소포클레스(Sophocle, Σοφοκλῆς, 전495- 전406) 그는 그리스 3대비극 시인의 한사람이다 - 아이스퀼로스(Eschyle, Αἰσχύλος, 전 526-456)과 (Euripide, Εὐριπίδης, 전 480-406). - 외디푸스 왕(Œdipe roi), 안티고네(Antigone), 엘렉트라(Électre), 필로크테테스(Philoctète, Φιλοκτήτης), 이크네우타이, 추적자(Les Limiers, Ἰχνευταί)
톰슨(Jim Thompson, 1906-1977) 미국 작가, 느와르 소설가, 시네마 시나리오 작가. (Le Démon dans ma peau, 1952), 사기꾼들(The Grifters, 1963), 1275 âmes, 1964).
닉 토슈(Nick Tosches, 1949-) 미국 신문기자, 소설가, 전기 작가, 시인. 작품으로 Cut Numbers, 1988, 삼신론(Trinities, 1994, Chaldea and I Dig Girls, 1999, In the Hand of Dante, 2002,
토핑(Tito Topin 1932-) 프랑스 시나리오, 작가, 시나리오 작가. 연속극 나바로(Navarro), 저서로는 Shanghaï Skipper 1985 La Belle Vie 1997 Les Enfants perdus de Casablanca 2011
라울 월시(Raoul Walsh, Albert Edward Walsh, 1887-1980) 미국 영화감독 The Thief of Bagdad, Le Voleur de Bagdad, 1924 The Big Trail, La Piste des géants, 1930 They Died with Their Boots On, La Charge fantastique, 1941 Gentleman Jim 1942 화이트 히트(White Heat, L'enfer est à lui, 1949 (Blackbeard, the Pirate, Barbe-Noire, le pirate 1952
# 주인공
셜록 홈즈(Sherlock Holmes)(1854년~1957년)는 아서 코난 도일(Arthur Ignatius Conan Doyle, 1859-1930)의 추리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이다. 셜록 홈즈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영국을 무대로 하는 가상의 탐정으로 아직도 전 세계에 많은 팬이 있다.
조세핀(Joseph Joséphin), 별명 룰타비유(Rouletabille)은 르루(Gaston Leroux, 1868-1927)의 소설 노란 방의 불가사의(Le Mystère de la chambre jaune, 1907)의 주인공이다.
아르센 루팡(Arsène Lupin), 프랑스 추리 소설 작가인 르블랑(Marie Émile Maurice Leblanc, 1864-1941)의 작품들의 주인공. - 알센 루팡(Arsène Lupin)은 신사 도둑(le gentleman-cambrioleur)으로 주인공이다.
메그레 경감(Le commissaire Jules Maigret)은 심농(Georges Simenon, 1903-1989)의 75편 추리소설과 28편 소설의 주인공이다.
나바로(Navarro) 형사. 그랑블라(Pierre Grimblat, 1922-)와 토핑(Tito Topin 1932-)이 만든 연속극이다. 나바로(Navarro)(1989-2007, avec Roger Hanin - Série : 106 épisodes sur 18 saisons).
소프라노스(Sopranos)는 1999년에 2007년 사이에 미국 범죄드라마 연속극 데이비드 체이즈(David Chase, Davide DeCesare, 1945-)가 창안한 극이다. / 소프라노스(The Sopranos 1998), 스코틀랜드 작가 앨런 워너(Alan Warner, 1964)의 소설. 1998년에 살타이어회(Saltire Society)가 주는 올해의 상(Saltire Society Scottish Book of the Year Award)을 수상했다. 이 작품은 영국 극작가 리 홀(Lee Hall 1966-)이 영원한 원조를 하는 우리의 부인(Our Ladies of Perpetual Succour)이란 제목으로 2015년 스코틀랜드 국립극단에 올려졌다.
육척 아래, 식스 피트 언더(Six Feet Under), 미국 텔레비전 범죄 연속극, 미국 영화 텔레비전 연극 제작자인 앨런 볼(Alan Erwin Ball 1957-)이 창안한 것이다. 2001년에서 2005년 전 미국 방영에서 일등을 할 정도였다.]
(49P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