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TALISM·브루탈리즘 건축
① 건축비평가 Reyner Banham에 의해 이론적으로 정의 ② 건축구성원리 및 특성 · 전체를 각 기능별 요소로 분리하고 건축의 구성요소로서 각 요소의 정체성(Identity)과 연관성 (連關性)을 강조 · 각 구성요소를 정직하고 솔직하게 표현하는 건축의 윤리성(倫理性)과 진실성(眞實性)을 강조 · 구조와 재료를 정직하고 솔직하게 표현하고 설비와 서비스 시설을 노출시킴 · 건물의 공간적, 구조적, 재료적 개념을 발견해서 그 개념을 뚜렷하게 기억될 수 있는 이미지의 형태로 정직하게 표현 ③ 분류 · 신 브루탈리즘(New Brutalism) : Alison & Peter Smithson의 이론에 기반을 두고 건축에 있어서 미학보다는 윤리성, 진실성을 강조하며 주로 영국 내에서 전개된 건축사조 · 국제적 브루탈리즘(International Brutalism) : 르 꼬르뷰제(Le Corbusier)의 후기작품에서 유래된 노출콘크리트(Exposed Concrete)의 거친 질감(質感, Texture)에 의한 미학적(美學的) 측면을 강조한 건축사조 ④ 주요 관련건축가 · Alison & Peter Smithson · James Stirling, 1926~ · Louis I. Kahn, 1901~1974
Alison & Peter Smithson ① 팀텐(Team X)의 구성원으로 활동 ② 브루탈리즘의 개념을 최초로 주장 ③ 주요작품 · Hunstanton 중·고등학교, Norfolk, UK, 1952~1954 : 재료를 그대로 사용하고 구조와 설비를 노출시킴으로서 건축의 윤리성(倫理性)과 진실성(眞實性)을 강조한 최초의 브루탈리즘적 작품 · Golden Lane 주거단지 계획안, 1952 · Sheffield 대학교 계획안, 1953 · Economist Building, London, UK, 1964
James Stirling, 1926~1992 ① 영국에서의 활동 초반기에 브루탈리즘적 경향의 작품을 남김 ② 주요작품 · Ham Common 공동주택, London, UK, 1955~1958 : 철근콘크리트 구조와 주재료인 벽돌을 시각적(視覺的)으로 정직하게 표현 · Leicester 대학교 공학부 건물, Leicester, UK, 1959~1963 · Cambridge 대학교 역사학부 건물, Cambridge, UK, 1964~1967
Louis I. Kahn, 1901~1974 ① 건물의 기능, 구조, 설비를 외부적으로 솔직하게 표현함으로서 형태의 자율성을 강조 ② 제공하는 공간(Servant Space)과 제공받는 공간(Served Space)을 공간적, 구조적으로 분리하고 외부적 형태로 표현 ③ 주요작품 · Center For British Art & Studies Yale University, Connecticut, USA, 1951~1953 · Richard Medical Research Building University Of Pennsylvania, Pennsylvania, USA, 1957~1960 · Salk Institute Laboratory Buildings, Califonia, USA, 1959~1962 · Kimbell Art Museum, Texas, USA, 1966~1972 · Bangladeshi 정부종합청사, Decca, Bangladeshi, 1972~197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