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오늘은 하다보니, 다음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금강경 제26분
須菩提 於意云何 可以三十二相觀如來不 <須菩提言 如是如是 以三十二相觀如來> 佛言 須菩提 若以三十二相觀如來者 轉輪聖王卽是如來 須菩提白佛言 世尊 如我解佛所說義 不應以三十二相觀如來 爾時 世尊以說偈言 若以色見我 以音聲求我 是人行邪道 不能見如來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냐? 삼십이상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느냐? <수보리가 말했다. 이와 같고, 이와 같습니다. 삼십이상으로써 여래를 봅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만약 삼십이상을 갖췄다고 해서 [그를] 여래로 본다면, 전륜성왕이 곧 여래일 것이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어 말했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께서 하신 말씀의 뜻을 이해한 바로는 삽십이상을 갖췄다고 해서 [그를] 여래로 봐서는 안 된다고 봅니다. 이 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만약 생긴 모습으로 나를 보려고 하거나 음성으로 나를 구하는 자는 잘못된 길을 걷고 있는 자이기에 결코 여래를 볼 수 없으리라.
우선 위의 한문 및 한글 번역문에서 <......>로 묶은 부분은 어떤 사유로 인해 잘 못 삽입된 것으로 보인다. 내용적으로 봐도 앞뒤 말의 논리가 맞지 않고, 형식적으로 봐도 나머지 다른 이역본들에는 없는 문장이 유독 구마라습 번역본에만 들어있기 때문이다.
삼십이상으로 여래를 볼 수 있느냐? = 삼십이상을 갖춘 것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느냐? = 삼십이상을 갖췄다고 해서 그를 ‘여래’로 볼 수 있느냐? = 삼십이상을 갖춘 자를 ‘여래’로 볼 수 있느냐?
그럼 산스크리트어본에는 어떤 뜻으로 되어 있는가? 산스크리트어 본을 통해 이 부분을 보면 다음과 같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는 삼십이상을 갖춘 자’라고 보느냐?” 수보리가 답했다. “부처님이시여, 저는 그렇게 보지 않습니다. 제가 부처님께서 하신 말씀의 뜻을 이해한 바로는 ‘여래는 삼십이상을 갖춘 자’라고 봐서는 안 됩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진실로 진실로 그러하다. 수보리야, 네가 말한 대로 그러하다. ‘여래는 삼십이상이라고 하는 신체적 특징을 갖춘 자’라고 봐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만약 ‘여래는 삼십이상을 갖춘 자이다’라고 본다면, [삼십이상을 갖춘] 전륜성왕도 또한 여래로 봐야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여래는 삼십이상을 갖춘 자’라고 봐서는 안 된다. ........... 그 때 부처님께서 이것을 계기로 다음과 같은 게송을 읊으셨다.
“생긴 모습에 의해 나를 보려고 하고, 음성으로 나를 찾으려고 하는 자들은 잘못된 길을 걷고 있는 자들이라, 결코 여래를 볼 수 없으리라.”
그럼 불상은 다 뭐고, 부처님의 모습을 떠올려 그것을 놓치지 않고 계속 지켜가는 관상(觀相)염불과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놓치지 않고 계속 부르는 칭명(稱名)염불은 뭔가? 그런 헛수고는 하지 말라는 말인가? 이 금강경의 내용과 상관없이 지극하게 끊어지지 않고 지속해가면 여래가 나타나고, 관세음보살이 나타나며, 색성향미촉법에 머물지 않을 수 있다. 그러니 헷갈리지 말고 하던 대로 열심히 닦아가라. 단지 이 부분은 삼십이상 따위의 설은 잘못된 것이니, 믿지 말라고 가르치고 있을 뿐이다. 다른 이역본의 이 부분을 보면 한 결 같이 여래를 보기 위해서는 여래의 법 그 자체인 법신(法身)을 봐야 한다는 내용이 게송에 담겨 있고, 또 법신은 의식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의식으로 본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삼십이상설을 이해하기 위해 장아함경 제1권의 내용을 한 번 보자.
<장아함경 제1권>
태자가 태어나자 부왕(父王) 반두는 관상가와 여러 점술사들을 불러, 태자의 상을 봐서 길흉(吉凶)을 점치게 했다. 관상가들은 명령을 받아 태자의 상을 봤다. 먼저 옷섶을 헤치고 그 원만한 상을 보고는 점쳐 말했다.
“이런 상을 가진 사람은 반드시 두 길 중 하나로 가게 됩니다. 이는 필연(必然)이어서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만약 속가 집에 머물게 되면 전륜성왕(轉輪聖王)이 되어 4천하의 왕노릇을 할 것입니다. 네 가지 군대[兵]를 구족하고 바른 법으로 천하를 다스릴 때 치우치거나 억울함이 없게 하여, 그 은혜가 천하에 두루 미칠 것입니다. 7보(寶)가 저절로 들어올 것이며, 천 명의 아들을 두는데, 모두 건장하고 용맹스러워 외적을 항복받지만 무기를 쓰지 않고도 천하가 태평할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집을 떠나 도(道)를 배우면 반드시 정각(正覺)을 이루어 10호(號)를 갖추게 될 것입니다.” .............. “너희들은 태자의 32상을 다시 한 번 살펴보라. 32상이란 어떤 것인가?”
관상가들은 다시 태자의 옷을 헤치면서 32상을 설명했다.
“첫 번째는 발바닥이 평평한 것입니다. 발바닥이 평평하므로 땅을 딛을 때 안온합니다.
두 번째는 발바닥에 수레바퀴살의 무늬가 있는 것입니다. 그것은 천 개 바큇살로 돼 있는데, 광명과 광명이 서로 비치고 있습니다.
세 번째는 손가락과 발가락 사이에 거위왕처럼 생긴 얇은 비단결 같은 막이 있는 것입니다.
네 번째는 손발이 천상의 옷처럼 매우 부드러운 것입니다.
다섯 번째는 손가락과 발가락이 가늘면서도 길어 아무도 따를 자가 없는 것입니다.
여섯 번째는 발꿈치가 원만해서 보기 싫지 않은 것입니다.
일곱 번째는 장딴지가 사슴 다리 같아 아래위가 쪽 곧은 것입니다.
여덟 번째는 뼈마디가 서로 물려 마치 쇠사슬처럼 이어져 있는 것입니다.
아홉 번째는 남근(男根)이 말처럼 오므라들어 감춰져 있는 것입니다.
열 번째는 바로 서서 팔을 드리우면 무릎 아래까지 내려오는 것입니다.
열한 번째는 낱낱의 털구멍마다 하나씩 털이 나 있고, 그것이 오른쪽으로 감겼으며, 빛은 감청색 유리와 같은 것입니다.
열두 번째는 검푸른 털이 오른쪽으로 감아 돌아, 위로 쓸려 있는 것입니다.
열세 번째는 몸이 황금빛인 것입니다.
열네 번째는 살결이 부드럽고 매끄러워 먼지가 묻지 않는 것입니다.
열다섯 번째는 두 어깨가 가지런하고 둥글며 풍만한 것입니다.
열여섯 번째는 가슴에 만(卍)자의 형상이 있는 것입니다.
열일곱 번째는 키가 보통 사람의 곱이나 되는 것입니다.
열여덟 번째는 일곱 부위가 모두 판판하고 두터우며 둥근 것입니다.
열아홉 번째는 몸뚱이의 길이와 너비가 니구로(尼拘盧)나무와 같은 것입니다.
스무 번째는 뺨이 사자와 같은 것입니다.
스물한 번째는 가슴이 방정(方整)한 것이 사자와 같은 것입니다.
스물두 번째는 이가 마흔 개나 되는 것입니다.
스물세 번째는 이가 방정하고 고른 것입니다.
스물네 번째는 이가 조밀하여 틈이 나 있지 않은 것입니다.
스물다섯 번째는 이가 희고 깨끗하고 고운 것입니다.
스물여섯 번째는 목구멍이 깨끗해서 갖가지 음식의 맛이 입에 맞지 않는 것이 없는 것입니다.
스물일곱 번째는 혀가 길고 넓어 좌우로 귀를 핥을 수 있는 것입니다.
스물여덟 번째는 범음(梵音)이 맑고 깨끗한 것입니다.
스물아홉 번째는 눈이 검푸른 것입니다.
서른 번째는 눈이 우왕(牛王)과 같고 아래위로 한꺼번에 깜박여지는 것입니다.
서른한 번째는 두 눈썹 사이에 보드랍고, 가늘고, 광택이 나는 흰 털이 있어서, 펴면 한 길이나 되고, 놓으면 오른쪽으로 소라처럼 감겨 진주(眞珠)와 같은 것입니다.
서른두 번째는 정수리에 육계(肉髻:살상투)가 있는 것이니, 이런 것이 32상입니다'.”
조금 황당한 내용이라는 생각이 들 것입니다. 삼십이상설은 금강경에서 말한 대로 거짓말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황당한 거짓말은 잡아함경이나 중아함경에는 나오지 않으나, 장아함경으로 넘어가면 대승불교와 교차점이 되어, 대승불교적인 면이 많이 엿보입니다. 대승불교적이라 함은 많이 과장돼 있고, 종교화, 신비화, 신앙화 돼 있는 것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