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징비록] 조선에도 붕당정치로 인한 국론분열이... TV 스크린 /
KBS가 광복 70주년을 맞아 특별기획한 대하드라마 [징비록](극본 정형수 정지연, 연출 김상휘 김영조)이 14일 밤 그 막을 열었다.
드라마 [징비록]은 7년 왜란 당시 병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을 지낸 류성룡 선생이 쓴 '징비록'을 바탕으로 임진왜란이 발생하기 전부터 이순신 장군이 전사한 노량해전에 이르기 까지 조정에서 펼쳐진 이야기들이 그려질 예정이다.
제작진은 붕당정치에 여념이 없던 신료들과 '백성이 근본이다' '정치는 세력이다' '왕이 곧 나라다' 등등 각기 다른 정치관을 가진 대신들 사이에서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쳤던 선조의 갈등과 명품 배우들의 열연을 관전 포인트로 제시했다.

첫 회에선 종계변무가 해결된 대명회전을 받아들고 기뻐하는 선조(김태우)에게 "대국의 은혜에 보답하자"는 일부 대신의 주장에 병조판서 류성룡(김상중)은 "애초 명나라 기록이 잘못된 것이니 대국의 은혜라고 할 수 없다"며 맞서는 모습 등이 그려졌다.
종계변무(宗系辨誣)란 '이인임의 아들 단(旦: 태조 이성계)이 공민왕 우왕 창왕 공양왕 등 사왕(四王)을 시해했다'는 명나라 기록은 잘못된 것이니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종계(宗系)를 고쳐줄 것을 명나라에 주청한 사건이다. 조선을 이를 개국 초부터 끈질기게 요청했으나 명나라는 선조17년인 1584년에야 종계변무 주청사 황정욱에게 정정을 약속하고, 약200년 만인 1588년에 '대명회전'기록을 고쳐 보내주었다.
류성룡은 또 대마도에서 온 사신들로부터 일본 막부의 우두머리인 관백(關白) 토요토미 히데요시(김규철)가 수교에 관한 답이 없을 경우, 전쟁을 일으킬지도 모른다는 말을 듣고 좌상 이산해(이재용), 이덕형(남성진) 등과 일본에 통신사를 보내자 했으나, 답답한 선조는 자신의 왕을 죽인 자가 다스리는 일본은 금수의 나라이니 불가하고, 상국 명나라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며 통신사 파견을 반대하고 나섰다.

나는 이 드라마에 많은 관심과 큰 기대를 갖고 있다. 사료적 가치가 큰 '징비록'을 원전으로 하고 있으니 역사를 훼손할 우려가 적고, 개인적으로 선조와 정여립 역모사건에 대해선 공부를 해서 조금은 알고 있어 흥미도 있기 때문이다.
아쉽게도 정여립 역모 사건의 발생, 그에 따른 수사 등은 이번 주로 끝날 것 같지만, 벌써 좀 잘못 그려진 대목이 눈에 띄었다. [징비록]에선 대동계를 정여립의 군사조직으로 일컫고 상시 군사훈련을 한 것처럼 그렸지만, 대동계는 군사조직이 아니라 신분에 관계없이 대동사상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매달 보름날 한번 만나 정여립의 강론을 듣고 여흥삼아 활도 쏘아보고 창검술을 연마하는 친목단체 성격이었다.
또한 정여립이 역모를 획책하고 있다는 고변이 있은 뒤 정여립이 자결한 것으로 그렸으나, 사실은 서인들이 정여립을 불쏘시개 삼아 동인들을 조정에서 내쫓고 자신들이 정권을 차지하기 위해 정여립을 살해한 뒤 자살한 것처럼 꾸몄다는 얘기가 설득력 있게 다가오는 중이다.
그럼에도 불구, [징비록]은 첫 회부터 팽팽한 극적 긴장감과 좋은 연기 등으로 흥행에 성공할 것 같다는 예감이 든다.
일본에 통신사를 파견하는 문제를 놓고 동인과 서인이 생사를 건 치열한 다툼을 벌이는 동안 백성들 간에도 격론이 오가며 티격태격하는 모습이 오늘의 국론분열을 보는 것 같아 씁쓸했다.
[출처] [징비록] 조선에도 붕당정치로 인한 국론분열이... |작성자 56kimy

징비록’ 주검으로 발견된 정여립…“역모 배후엔 누가?
얼마 후 정여립은 주검으로 발견되고 정여립 일당이 모두 잡히며 역모사건은 마무리되는 듯했다. 그러나 정철과 송익필의 사주를 받은 유생들은 정여립의 역모 사건을 재조사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 유생들의 상소에는 정여립의 난과 류성룡을 관련짓는 대목도 들어있어 긴장감을 높였다.
조선 선조 시대 실존 인물인 정여립은 '천하는 일정한 주인이 따로 없다'는 천하공물설과 '누구라도 임금으로 섬길 수 있다'는 하사비군론 등 왕권 체제하에서 용납될 수 없는 혁신적인 사상을 품은 사상가이기도 했다. 정여립은 모반의 주모자로 몰리자 피신했다가 결국 자살한 것으로 알려져왔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 펌 글 -

[본 카페 참조 글 보기]
정여립 자료보기 - 종중자료 1번 정여립의 기축옥사 제1부 학술대회
36번 정여립의 흔적을 찾아
선영탐방 사진앨범 - 정여립 유적지 복원을 위한 세미나
첫댓글 잘 보았습니다.감사함
징비록 두번세번 봤습니다 가슴 아프고 안타까운 드라마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