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 |
(와이즈만) 입학사정관제,초등부터 알아야 하나요? |
권장 연령 |
3~6학년, 학년별로 3명 |
모집 일자 |
2011년 12월 20일(화) ~ 12월 26일(월) |
모집 인원 |
12명 |
신청 자격 |
서평을 성실하게 써주실 행복맘이상 회원님 |
신청방법 |
1. 본 게시물 본인블로그 스크랩 주소 (전체공개필수) 2. 아이연령과 보고싶은 이유 |
♣ 후기글 작성시 유의사항 사진첨부하셔서 블러그글로 올리지 마시고 일반게시물로 작성해주세요 (태그,또니또사랑, 또니또카페 글귀 꼭 부탁드립니다) | |
♣ 미서평시 미서평자 발표란에 공지하고 미서평시 활동정지됩니다 타카페와 중복신청하지마세요 중복당첨적발시 서평단원으로 활동하실수없습니다 | |
도서 발송 |
당첨자 발표후 일주일 내 업체에서 발송 지역별로 수령일이 2~3일정도 차이는 있을수 있습니다. 도서 미수령시 북마스터에게 쪽지로 연락 주시면 확인해 드리겠습니다. |
서평 등록 |
도서 수령 후 14일 안에 4곳에 포토리뷰 온라인서점 2곳 / 개인 블로그 / 카페 |
즐깨감 입학사정관제 준비서
입학사정관제, 초등부터 알아야 하나요?
이미경 이지은 글/누똥바 그림/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감수/168쪽/값 12,000원
판형 180×230/초판 2011년 12월 25일
▶ 차례
1장 입학사정관제가 뭔가요?
입학사정관제는 왜 생겼지?
중·고등학교의 입학사정관제
우리나라 대학교의 입학사정관제
외국 대학교들의 입학사정관제는 어떨까?
따뜻한 입학사정관제 1. 입학사정관 이야기 1
2장 내 꿈이 제일 중요해요
진로 설계가 먼저 필요해요
나는 무엇이 되고 싶은가?
나는 어떤 잠재력을 가지고 있을까?
따뜻한 입학사정관제 2. 입학사정관 이야기 2
3장 초등학생은 이렇게 실천하세요
스스로 노력하는 공부가 기본!
책을 통해 큰 배움을 얻자
교과 외 활동으로 나를 표현해 봐
소통 능력을 키워 나를 드러내자
따뜻한 입학사정관제 3 선배 이야기
4장 입학사정관제를 준비하려면 뭐가 필요해요?
입학사정관제의 꽃 자기 소개서
평소 생활을 보여 주는 학교 생활 기록부
나의 장점이 담기는 추천서
입학사정관과 만나는 심층 면접, 토론
따뜻한 입학사정관제 4 선생님 이야기
5장 입학사정관제는 이렇게 진행돼요
미리미리 살펴봐-사전 공고
실력과 열정이 잘 드러나도록 준비하자-서류 심사
솔직하게, 노력한 모습을 보여-심층 면접/토론
멋진 꿈이 이루어졌어-최종 선발
따뜻한 입학사정관제 5 선배 이야기 2
부록
질문 있어요 입학사정관제 10문 10답
▶이 책을 만든 사람들
글 이미경
대학교에서 생물학, 대학원에서 과학교육학을 전공한 뒤, 중․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다가 (주)창의와탐구 영재교육 연구소에서 과학 프로그램 및 교재를 기획하고 개발하였습니다. 지금은 영재교육연구소 연구소장으로 있으면서 수학 과학 분야에서 와이즈만의 구성주의 교육 연구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글 이지은
연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고, 한겨레 <함께하는 교육>의 기획위원으로 '이지은의 통통학습법'을 연재하고 있습니다. 늘 따뜻한 시선으로 학생들을 만나고 강의하고 글을 쓰는 교육 전문가입니다. 쓴 책으로는 《즐깨감 자기주도학습》 《마법고양이 초코와 신비의 공부비법》 《전교 1등 어린이 노트법》 《중학교에서 완성하는 자기주도학습법》 《수능이 끝나면 그네를 타라》 《초등 4학년부터 시작하는 자기주도 학습법》〈현명한 부모는 자녀 스스로 꿈을 키워가게 한다(강의CD)〉 등이 있습니다.
그림 누똥바
다음커뮤니케이션에서 일러스트레이터로 일하다가 지금은 프리랜서로 독립하여 왕성한 활동 중인 선생님입니다. 인생을 즐겁게 살아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그림을 그리고 있으며 그림을 통해 많은 사람들과 만나는 것이 꿈입니다. 지금은 웹진에 카툰 <멍구와 나>를 연재 중이고, 복합다중예술집단인 ‘이벽 프로젝트’에서 전시 활동 중입니다. 그린 책으로는 《모모짱의 도키도키 도쿄》 《우리 집은 실험실》 《수학 show》 등이 있습니다.
감수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창의 영재수학과 창의 영재과학 교재 및 프로그램을 개발했습니다. 구성주의 이론에 입각한 교수학습 이론과 창의성 이론 및 선진 교육 이론 연구 등에도 전념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고의 사설 영재교육 기관인 와이즈만 영재교육에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교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첫댓글 http://blog.daum.net/commang94/14169983
3학년
입학사정관제가 아직은 조금 낯설지만 가벼운 마음으로 접하고 싶어요..
잠재력 체크리스트도 한번 해보고 싶어져요..^^
http://blog.daum.net/khr0937/18329257
9세 11세
입학사정관제라는 것이 책을 볼수록 어려워 지는거 같아요. 그렇다고 손 놓고 있을 수도 없고 그러네요.
아이들이 이제 3학년, 5학년 올라가는데 어느학년으로 책을 받아보아야 할지 모르겠네요.. 이왕이면 큰애 기준으로
신청해봅니다.
1. http://blog.daum.net/yjwjws/6286143
2. 초3, 초5
3. 입학사정관제라는 말을 참 많이도 듣게 됩니다. 입학사정관제라는 말을 들으면 답답할 때도 있구요.
아직은 잘 모르겠지만, 아니 알아가야 한다는것을 느끼고 있지만, 점점 시간이 지나갈수록 두렵기만 하네요.
입학사정관제 초등부터 알아야 할까요? 정말 알고싶은 질문이네요... 꼭 알고 싶어요.
http://blog.daum.net/jskima76/145
초2===> 초3
아직 온몸으로는 느끼지못하지만....입학사정관제가 뭔지 정확하게 알고 싶어요
우리아이한테 갈팡질팡하는 멘토가 아닌 정확한 멘토가 되고싶네요
http://blog.daum.net/ranlee74/1599
예비초3
입학사정관제에 대해 궁금한게 많아요..
아이를 잘키우고 싶은 엄마의 마음으로 신청합니다.
http://blog.daum.net/novelflo/250
예비 초등 6학년
어쩐지 지금 꼭 읽어야 될 것 같은 책이네요. 더 늦기전에....^^
1. http://blog.daum.net/a2tta2/6372582
2. 14세, 11세
3. 말은 많이 들려와도 정작 저도 내용을 잘 모르고 있는 입학사정관제. 아이들과 함께 알아보고 싶어 신청합니다.
1. http://blog.daum.net/yemom51
2. 초등3학년
3. 입학사정관제 엄마들 사이에서 이야기들이 많은데 저는 정작 잘 모르겠더라구요.
똑똑한 아이에겐 현명한 엄마가 있는 듯 합니다.
아이에게 현명한 엄마가 되기 위해 꼭 필요한 책인듯 합니다.
1.http://blog.daum.net/godlove1018/1140
2.현재 초등 2학년
3. 사실 이제 큰 아이가 3학년 올라가는 터라 아직 입시등에 관한 정보를 많이 모르고 있고 특히 입학사정관제에 대해선 거의ㅠ.ㅠ... 책이 넘 자세하고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는 것 같아요. 아이나 엄마 모두 읽어보면 넘 좋을것 같아 신청합니다~~~
1.http://blog.daum.net/ghksltptkd/384
2.초2
3.요즘 많이 듣는 단어중에 하나인 입학사정관제.
하지만 그것이 무엇인지는 전혀 모르고 있어요.
어떤것이고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알고 싶어서 신청합니다.
1. http://blog.daum.net/mami1/931
2. 초2 내년 초3되네요
3. 입학사정관제 처음 이 말이 나올때 강연회를 다녀왔어요 뭐랄까?? 감은 오는데 아직 현질적으로 어떻게 와닿지는 못한 상황이라 할까요?? 아이들이 적성 꿈 잘하는것 위주 스스로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하는 좀더 구체적으로 아이와 함께 개념부터 진로선택이나 방향까지 찬찬히 살펴볼 수 있을꺼같아요 아는만큼 잘 이끌어줄 수 있을꺼같아요 입학사정관제에 대해 제대로 함께 배우고 체계적으로 내 아이의 성향을 파악해보고 싶어집니다
http://blog.daum.net/pukuo/960
초4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강의는 몇번 들어본 적이 있어서 낯설지는 않지만 무엇부터 준비할지는 막막했는데요.
아이가 직접 책을 읽고 자신이 스스로 준비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정말 의미있는 일인 것 같아요.
이 책을 읽고 이번 겨울방학 때 입사제를 위해 스스로 노력하는 모습을 보일 것 같거든요.
http://blog.daum.net/bepa01/15627452
3학년 되는 여아입니다.
입학사정관제는 도대체 무엇인지..아직 저에게는 먼~일로 생각되어졌는데,, 아닌 것 같아요.
읽어보고 좋은 정보를 얻고, 딸아이에게도 이야기 해 주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