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불자광장
 
 
카페 게시글
학생들을 위한 붓다담마 스크랩 45) 어떤 것을 `참으로 알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이 알아야 합니까?
일 행 추천 0 조회 20 10.12.11 20:07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45) Now I wish to discuss a question concerning what we may call “really knowing”:

“To really know something, how much do we have to know?”

45) 이제 ‘참된 앎’이라 부르는 것에 관련된 질문을 검토해 보겠습니다.

“어떤 것을 ‘참으로 알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이 알아야 합니까?”


I ADVISE AND BEG you to listen particularly to the words of the Buddha that I am about to quote. The Buddha said that to really know any object, we must know five things about it, namely: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the object? (2) From what does the object arise? (3) What is its assāda, its enticing quality, its appeal, its allurement? (4) What is the ādīinava, the hidden danger, the sinister power to harm that lies concealed in it? (5) What is the nissaraṇa, the trick by means of which we can get the better of it? What is the device, the skillful means of escaping from the grip of this object?

다음에 인용하는 붓다의 말씀에 특히 귀를 귀울여 듣기 바랍니다. 붓다께서는 어떤 대상을 참으로 알기 위해서는 그 대상에 대해 다음 다섯가지를 알아야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1) 그 대상의 특성 또는 품성은 무엇인가? (2) 그 대상은 무엇에서 일어나는가? (3) 그 대상의 ‘아싸다(assada)', 즉 유혹하는 성질, 매력, 매혹은 무엇인가? (4) 그 대상의 ’아디나와(adinava)', 즉 감추어진 위험, 그 내부에 숨겨져 해를 주는 음험한 힘은 무엇인가? (5) ‘니싸라나(nissarana)', 즉 그 대상을 이길 수 있는 요령, 그 대상의 지배를 피하는 능숙한 수단, 책략은 무엇인가?


So, to really know something we must answer these questions:

First: What are its properties?

Second: What is its origin, its birthplace?

Third: What is its assāda, its attraction?

Fourth: What is its ādīnava, its harmful property, its danger?

Fifth: What is the nissaraṇa, the means of escape from the power of the object?

There are five questions altogether. If you study any object from these five points of view, you will get the better of that object. At the present time, you may be studying on the graduate level or post-graduate level. But if we are not studying from these five points of view, then we are mastered by objects, that is to say, by the world. If we study the world in terms of these five aspects, there is no way we shall be mastered by the world. So let us be careful about study-ing the world. Why are we studying? For what ultimate purpose are we studying? If we are studying so as to build peace in the world, then let us be very careful. Our studies will bring no beneficial results at all if not based on this Buddhist principle.

그러므로 어떤 것을 참으로 알기 위해서는 다음 질문에 답해야 합니다.

첫째 : 그것의 성질은 무엇인가?

둘째 : 그것의 근원, 원천은 무엇인가?

셋째 : 그것의 아싸다(assada), 매혹은 무엇인가?

넷째 : 그것의 아디나와(adinava), 해로운 성질, 위험은 무엇인가?

다섯째 : 니싸라나(nissarana), 그 대상의 지배를 피하는 수단은 무엇인가?

모두 다섯 개의 질문이 있습니다. 이 다섯 면으로 어떤 대상을 공부한다면, 그 대상을 더 잘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현재 여러분은 학사과정이나 석사과정 또는 박사과정을 공부하고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 다섯 면으로 공부하지 않으면, 대상, 즉 세상의 노예가 됩니다. 이 다섯 면으로 세상을 공부하면, 세상의 노예가 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주의깊게 세상을 공부합시다. 왜 공부합니까? 무슨 궁극적 목적을 위해 공부합니까? 세상을 평화롭게 하기 위해 공부하고 있다면, 매우 주의합시다. 이 불교원리에 기초하여 공부하지 않으면, 공부를 한다고 해도 전혀 유익한 결과를 얻지 못할 것입니다.


You have probably never heard of these things called the assāda, āadīnava, and nissaraṇa, yet the Tipiṭaka is full of them. These three words — assāda, āadīnava, and nissaraṇa, hardly ever present themselves to our eyes or ears, but please remember that they appear frequently in the Tipiṭaka. When the Buddha wished to impart a real knowledge of anything, he taught along these lines. Sometimes he cut it short, considering only the last three points. What is the nature of the object’s assāda (its allurement)? What is the nature of its ādīnava (its harmful properties)? Every object has both attractive and harmful qualities. What is the nature of the nissaraṇa (the cunning manoeuvre by means of which we can get the better of it)?

여러분은 아싸다(assada), 아디나와(adinava), 및 니싸라나(nissarana)라고 하는 이 말을 아마 결코 듣지 못했을 것이지만, 삼장 경전에는 이 말이 가득합니다. 아싸다(assada), 아디나와(adinava), 및 니싸라나(nissarana)라는 이 세 개의 말은 우리 눈이나 귀에는 좀처럼 나타난 적이 없지만, 삼장 경전에는 자주 나타난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붓다께서 어떤 것에 대한 참된 지식을 전하고자 하셨을 때, 이 (다섯)면에 따라 가르치셨습니다. 때때로 이 다섯 면을 줄여서, 뒷부분 3개만 언급하셨습니다. 대상의 아싸다(유혹)는 무엇인가? 대상의 아디나와(해로운 성질)는 무엇인가? 모든 다섯 대상에는 매혹과 해로운 성질이 있습니다. 대상의 니싸라나(이길 수 있는 요령)는 무엇인가?


There is, so to speak, a hook hidden in that bait hanging there. The assāda is the juicy bait enticing the fish to bite. The concealed hook is the āadīnava, that is, the dangerous, cruel power to harm which lies hidden inside the bait. And the nissaraṇa is the technique for outwitting the hook and bait. The fish must have a technique for eating the bait without becoming hooked. The thing called the bait then no longer functions as bait, but becomes instead a good piece of food, which the fish can happily swallow without getting hooked.

요컨대, 걸려 있는 미끼에 감추어진 낚시바늘이 있습니다. ‘아싸다’는 물고기가 물도록 유혹하는 감미로운 미끼입니다. 감추어진 낚시바늘은 ‘아디나와’, 즉 미끼 안에 숨겨져 해로움을 주는 위험하고 끔찍한 힘입니다. 그리고 ‘니싸라나’는 낚시바늘과 미끼를 이기는 요령입니다. 물고기는 낚시바늘에 걸리지 않고 미끼를 먹는 요령이 있어야 합니다. 그러면 미끼라고 부르는 것은 더 이상 미끼로 작용하지 못하고, 대신에 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리지 않고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유익한 음식이 됩니다.


Therefore, we ought always to look at the world in terms these five aspects. One aspect of the world, the assāda, the bait, lures us until we become so deeply engrossed in it that we turn a deaf ear and a blind eye to all else. But there is a hook inside it. People who get hooked up on the world cannot break free; they have to drown in the world, that is, in suffering. Now, the ariyans (individuals well advanced in practice) look and see that the assāda, the ādīnava, and the nissaraṇa are such and such. They are thus able to live in the world, swallowing the bait of the world without becoming caught on the hook. They know every object well enough to be fully aware of these five things. Its properties, its samudaya (root cause), it assāda (bait), its ādīnava (hook), and the nissaraṇa (strategem). To know any object we have to learn about and come to know all these five factors, or at a minimum the last three.

그러므로 항상 이 다섯 면으로 세상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세상의 한 면인 ‘아싸다(assada)', 즉 미끼는 사람들을 유혹하여, 그것(미끼)에 깊이 빠지게 하여 그 외의 모든 것에 대해서는 듣지 못하고 보지 못하게 합니다. 그러나 그 미끼 안에는 갈고리가 있습니다. 세상의 갈고리에 걸려든 사람은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걸려든 사람은 세상, 즉 고(둑카)에 빠질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아리얀(성자, 실천 수행에 능숙한 자)은 아싸다(assada)와 아디나와(adinava)와 니싸라나(nissarana)를 여차 여차한(그렇고 그런)것으로 보고 압니다. 그래서 아리얀(성자)들은 갈고리에 걸리지 않고 세상의 미끼를 먹으면서 세상에서 살 수 있습니다. 아리얀(성자)들은 모든 대상을 이 다섯가지 면으로 충분히 잘 압니다. 대상의 성품, 대상의 사무다야(samudaya, 근원), 대상의 아싸다(assada, 미끼), 대상의 아디나와(adinava, 갈고리), 대상의 니싸라나(nissarana, 책략)을 충분히 잘 압니다. 어떤 대상을 알기 위해서는, 이 다섯가지 모두, 또는 최소한 뒷부분 세가지를 배우고 알아야 합니다.


No matter what things we come into contact with in the course of our studies and other activities, we ought to apply this principle to them all. Then we shall know how to discriminate, and shall be able to reap the greatest reward without being hurt. This is called “really knowing”. By acting on this knowledge, it will be an easy task to practise Dhamma and leave behind the defilements. Viewing the world in terms of these five aspects, we shall see it as filled up with assāda or attractive allurement on the outside and āadīnava or danger on the inside. We shall know the world as a swindle, a counterfeit, a deception, an illusion, and shall not become hooked upon it, not become infatuated with it. A mind that always operates with insight will view colours and shapes, flavours, odours, sounds, tactile objects, and mental images rightly in terms of these five aspects. It will not be overpowered by them and there will not develop craving and attachment to the idea of selfhood. Freedom will become its normal day-to-day condition. Ultimately it is not beyond our power to practise Dhamma and make progress towards nibbāna.

공부와 행위를 하는 중에 어떤 것을 접하더라도 그 모든 것에 이 원리를 적용해야 합니다. 그러면 식별하는 법을 알게 될 것이고, 다치지 않고 최대의 이득을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을 ‘참된 앎’이라 부릅니다. 이 앎에 따라 행동하면 담마를 실천하고 오염원을 뒤에 내버려두기가 쉬울 것입니다. 이 다섯가지 면으로 세상을 보면, 외부에는 아싸다(assada), 즉 매혹적인 유혹으로 가득차 있고, 내부에는 아디나와(adinava), 즉 위험으로 가득차 있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세상을 사기, 가짜, 기만, 환영으로 알게 되어, 세상에 걸려들지 않을 것이며 빠지지 않을 것입니다. 항상 통찰이 작용하는 마음은 형색, 소리, 냄새, 맛, 촉각대상, 및 정신적 이미지를 이 다섯가지 면으로 바르게 볼 것입니다. 감각대상에 압도되지 않을 것이며 갈망과 집착이 진전되어 자아라는 생각에 이르지 않을 것입니다. 해방이 자연적인 나날의 조건으로 될 것입니다. 결국 담마를 실천하여 닙바나(열반)을 향하여 진척시키는 것은 우리 능력 너머에 있는 것이 아닙니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